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기업가정신의 구성요소와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최윤미 ( Yoon Mi Choi ),류정현 ( Jong Hyon Ryu ),이상훈 ( Sang Hun Lee ),박한림 ( Han Rim Park ),오헌석 ( Hun Seok Oh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5 HRD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사회적기업가정신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 사회적기업가정신은 어떤 요소로 구성되고 어떤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지를 탐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리나라의 사회적기업 관련 전문 기관과 전문가가 추천하는 인증 사회적기업을 운영하는 사회적기업가 10명을 눈덩이 표집한 뒤 심층면담하여 사회적기업가의 경험사건을 수집하였고, 사회적기업 가정신의 구성요소와 형성과정을 테마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기업가정신을 형성하는 공감, 혁신, 실용의 세 가지 구성요소가 도출되었고, 이들 요소는 사회적 가치 창출이라는 사회적기업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면서 사회적기업가와 사회적기업을 성장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요소의 역동적 관계와 지속적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기저에는 사회적기업가가 겪어 온 경험과 지향가치가자리 잡고 있다. 사회적기업가의 경험이 개인적 경험으로부터 증폭경험, 외부경험으로 확장되는 과정에서 사회적기업가정신이 형성되고 신장된다. 본 연구결과는 사회적기업가정신의 본질을 규명하고 사회적기업가정신이 타고난 것이 아닌 경험을 통해 후천적으로 육성되는 특성이라는 점을 밝힘으로써 사회적기업가를 대상으로 한 인적자원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rasp the essence of social entrepreneurship and to investigate how social entrepreneurs developed their social entrepreneurship.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10 social entrepreneurs in Korea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Findings showed that social entrepreneurship was composed of compassion, innovation, and practicality. While these elements were constantly interacting to achieve the original purpose of social enterprise and social value creation, and drove the social entrepreneurs and social enterprise to grow. Personal experience and value were the underlying factors that enabled continued expansion of the social entrepreneurs. Social entrepreneurship was formed and developed through the experiences of social entrepreneurs in the process of being expanded to amplifying experience, external experience from personal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nurturing and developing social entrepreneurs by identifying the essence of social entrepreneurship and suggested that social entrepreneurship revelation was fostered by the characteristics acquired through this experience, rather than innate.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 분석

        최윤미 ( Yoon Mi Choi ),이형철 ( Hyeong Cheol Lee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科學敎育硏究誌 Vol.36 No.1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의 발문 사고 유형 분석을 통해 현장 수업에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향후 수시 개정되는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개발에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6학년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문장 중에서, 본 연구의 조작적 정의에 부합하는 2,446개의 발문을 추출하였고, 이것을 Blosser의 분류체계를 조금 수정한 분석틀로써 발문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추출된 2,446개 발문 중에서 제안적 발문요소가 49.2%로 가장 높게, 그리고 평가적발문요소가 1.4%로서 가장 낮게 나왔다. 둘째, 학년별로 발문의 유형을 살펴본 결과, 모든 학년에서 제안적 발문요소가 가장 많이 나왔다. 또, 학년이 올라갈수록 재생적, 제안적, 예상적 발문요소는 점차 조금씩 줄어드는 경향을, 적용적, 확산적, 평가적 발문요소는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과학과 4개 영역인 에너지, 물질, 지구, 생명 영역에 나타난 발문의 유형을 분석해 보았을 때 에너지 영역의 발문 수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화학 영역이었다. 4개 영역 모두제안적 발문요소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재생적, 예상적 발문요소는 에너지와 물질 영역이 다른 두 영역보다 조금 더 많았고 적용적, 확산적 발문요소는 지구와 생명 영역이 다른 두 영역보다 조금 더 많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s for developing next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a spot of science class through analyzing patterns of questions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under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o get a meaningful results, the 2,446 questions extracted by operation definition from 3~6 grade science text books were analyzed by modified analysis frame work based on Blosser`s classified syste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2,446 questions, the propositional pattern element had the highest rate, 49.2%, the appreciable pattern element had the lowest rate, 1.4%, of all pattern elements. Second, from the results of comparing patterns of questions in each grade`s science textbook, as the grade went higher, the rate of the applicable and the divergent pattern element tended to increase, and that of the other elements tended to decrease. Third, as the results of comparing patterns of questions of 4 each field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the energy field questions were the largest in number, followed by the substance field. The rate of the propositional pattern element was the highest of all question elements in common in each field . In the reproductive and the propositional pattern element, the energy and the substance field had a little higher rate than the other fields. On the other hand, in the applicable and the divergent pattern element, the earth and the life field had a little higher rate than the other fields.

      • KCI등재

        심리극을 활용한 단회기 집단상담에서의 보편성, 응집력, 그리고 상담만족도 간의 관계

        최윤미(Choi, Yoon-Mi),유지언(Yu, Ji-E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과학연구 Vol.0 No.54

        본 연구는 단회기 심리극 잡단을 통하여 집단상담의 대표적인 치료요인인 보편성과 응집력이 집단상담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는 심리극 워크숍 참가 상담전공자 144명과 심리극 집단상담 참가 일반인 20명이 참가하였다. 참가자들은 단회기 심리극 워크숍과 집단상담 직후 집단응집력 척도, 보편성 하위척도, 그리고 상담만족도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보편성, 응집력, 그리고 집단상담 성과는 서로 유의한 정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집력 전체와 응집력의 하위변인인 수용, 집단분위기, 그리고 관여는 보편성과 집단상담 성과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단기 집단 상담에서 보편성이라는 집단원들간 경험의 유사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준다. 또한 부분적으로 응집력을 매개로 하여 보편성이 상담 성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최근 추세화되고 있는 단기 집단상담에서 보편성에 초점을 맞추어 집단상담을 진행함으로써 응집력을 높이고 상담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집단성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 of cohesion in universality and outcome of group counseling based on psychodrama. 144 counseling majors and 20 ordinary people were in this study, and completed Group Cohesion Scale (Kang, 1994), Universality subscale in Therapeutic Factor Scale (Yalom, 1985), and Client Satisfaction Questionnaire (Larsen, 1979).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universality had the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hesion and group counseling outcome, and cohesion also showed the positive relation with group counseling outcome. Second, cohes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universality and group counseling outcome. This study improved therapeutic value of focusing on similarity among group members during group work as well as cohesion. Thus,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are usefully utilized in counseling setting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of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비서용 실천지능검사의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최윤미(Choi Yoon-mi) 한국비서학회 2008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비서의 실천지능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를 개발하기 위한 과정의 일환으로서, 실천지능의 관점에서 비서의 능력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비서용 실천지능검사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최근 심리학이나 교육학 분야에서 등장하고 있는 새로운지능의 개념으로서 실천지능이란 무엇이고 경험 및 암묵지와는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 살펴보고, 아울러 실천지능을 평가하기 위한 국내·외의 실천지능 검사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토대로 비서의 실천지능을 개념화하고, 비서용 실천지능검사의 개발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concept of practical intelligence has been discussed in the field of psychology and education.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concept of practical intelligence, and attempted to relate job performance abilities of secretaries to it and to explore the directions of a measure of practical intelligence for secretaries. To fulfill the research purpose, the concepts and major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intelligence were critically reviewed. Up-to-date approaches on measuring and assessing practical intelligence were examined, and examples of practical intelligence tests were suggested. Also, the concept of practical intelligence for secretaries was conceptually defined, and directions for developing practical intelligence test for secretaries were also proposed.

      • KCI등재

        한 유치원 교사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참여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최윤미 ( Yoon Mi Choi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5 교육인류학연구 Vol.18 No.1

        연구자는 한 유치원 교사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참여경험을 탐구하고자 하 였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연구자가 연구 참여자가 되는 자문화기술지를 사용하였으며 탐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가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참여 동기는 교사로서의 전문성 신장 및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적 필요성으로 인해 지원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의 참여는 관리자 및 동료 교사들에게 업무 가중이라는 어 려움을 야기시키기도 하였고 그로 인해 연구자는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참여에 심적인 부담을 느끼기도 하였다. 둘째, 연구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의 참여를 통해 가르치는 사람에서 가르 침을 받는 사람으로, 의미 있는 국외 체험 연수, 나에서 우리를 생각하기 등의 현장에서 경험하지 못한 교육적 경험을 하였다. 셋째, 연구자는 1년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참여를 종료하며 개인적 차원에 서는 교사로서 전문성 신장, 직업적 성장의 의미를 부여하였고 조직적 차원에서 는 유치원에 긍정적 영향, 교육의 연계, 교직사회의 활력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였 다.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제도의 정착을 위해 제도의 홍보, 연수프로그램의 다양 화, 참여대상자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abbatical year of a kindergarten teacher by way of an auto-ethnography.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 and expectation raises a teacher`s expertise and spare enough time for research. The absence of a teacher is said to result in adverse consequences by overloading her colleagues. This prompts him/her to feeling apologetic throughout the year. Second, the opportunities of various educational experiences are provided: change from a teacher to a learner, a meaningful training course abroad and extension of one`s perspective from "myself" to "ourselves." Third, while the sabbatical year leaves a lot to be desired, it turns a teacher into an educational expert and a professional. This has positive impact on kindergarten and educational continuity, by given a sense of vitality into the teaching community. Finally, we propose a diversified and expanding participation of teachers in the sabbatical year.

      • KCI등재

        중도장애학생을 위한 지역의 특수학급 간 공동 교육과정 계획,운영 활성화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조사

        최윤미 ( Yoon Mi Choi ),정희섭 ( Hee Sup J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중도 장애학생을 위해서 지역의 특수학급이 공동으로 교육과정을 계획·운영하는 것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 그 조사결과를 기반으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서 경기도 소재 5개 교육지원청의 초등학교 현직 특수학급 담당교사 235명을 대상으로 우편물 및 메신저를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응답결과를 취합·분석하였다. 그 결과, 특수학급 담당교사들은 지역의 특수학급 간 공동 교육과정 계획·운영이 장애가 심한 재학생들의 장애보상교육 등의 특수교육적 요구를 지원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적극적인 참여 의사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지역의 특수학급 간 공동 교육과정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과 외 활동(체험활동, 생활기술 교육, 전환교육, 치료지원 등) 중심으로 인근지역 3-5개 학급이 학기 혹은 연간 단위로, ``교사 요인``(교사인식, 교사 간 네트워크 형성)과 ``운영 요인``(시간 운영 계획, 영역 및 내용 선정, 예산 편성 및 분담)이 조화된 계획·운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추구하는 프로그램의 목표를 설정하는 ``강령 마련``, 갈등을 해소해 가는 ``숙의 과정``, 구체적인 방안이 도출되는 ``설계 단계``로 이루어지는 전략적 방안을 제안했다. The study aims to conduct survey on special educators` recognition on planning and running common curriculum between local special classes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to search for suggestions to invigorate it based on the results. For this, I conducted surveys on 235 special class teachers who works in elementary schools under 5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es in Gyonggido by mail and messenger and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ponses. As a result, special class teachers thought planning and running common curriculum between local special classes would have effects on supporting to special education demands including disability compensa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showed positive participation intentions and reacts. Also, in order to invigorate it, focussing on extracurriculum activities(experiences, living skills, conversion educations and rehabilitation support), necessity of planning and running neighboring local 3-5 special classes harmonized with ``teacher factors``(teacher`s recognition, forming network between teachers) and ``operation factors``(Time management, selection of fields and contents, planning and allocating budget) by semester or academic year was stressed. Based on the results, I made a strategic suggestion consisting of ``planning agent`` to set up goal of the pursued program, ``consultation process`` to resolve problems and ``design stage`` to get specific sol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