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ECD 국가의 여성 일-가정양립에 대한 성과 -자유주의 경로의 검증-

        최성은 ( Seong Eun Choi ),양재진 ( Jae-jin Yang ) 한국정책학회 2014 韓國政策學會報 Vol.23 No.3

        영미권 자유주의 국가들은 사민주의 국가나 보수주의 국가보다 복지수준이 낮다. 그러나 사민주의 국가만큼은 아니지만 적어도 보수주의 국가보다 높은 수준의 여성고용과 출산율을 자랑하고 있다. 저복지 국가임에도 어떻게 일-가정 양립이 가능한 것일까? 이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본 연구는 여성의 일-가정양립에 관한 자유주의 경로요인을 노동시장의 특성 측면에서 밝히고, 그 요인들의 인과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OECD 18개 국가를 대상으로 1980년부터 2008년간의 관련 자료를 패널데이터 셋으로 구축하여 결합시계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여성 일-가정양립의 성과에 비정규직뿐만 아니라 정규직부문에서도 고용보호수준이 낮은 노동시장유연화, 집안일의 외주화, 여성의 교육프리미엄, 여성이 가구주인 한부모 가정이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최근 한국이 여성고용률과 출산율을 제고하려는 노력에 있어, 고학력 노동시장에서의 여성(특히, 기혼여성)에 대한 진입장벽을 해소하고, 정규직 파트타임 제도 도입 등을 통한 노동시장 이중구조의 변화와 집안일 외주화에 대한 정부의 활성화 대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Liberal welfare states such as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have considerably higher birth rates and female employment than conservative welfare states, such as Germany, which spend more on social services.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reconciliation between work and family has been operating in liberal states whose social spendings are low. Five path-factors were extracted from a review of the existing literature: affirmative action for gender equality; a flexible labor market (meaning high flexibility for regular workers as well as non-regular workers); the outsourcing of domestic work; the education premium (educational attainment); and single-parent families. Using panel data on 18 OECD countries from 1980 to 2008, a pooled time series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liberal mode of reconciliation between work and family. The results revealed that four major factors- a flexible labor market, the outsourcing of domestic work, the education premium, and single-parent families -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conciliation between work and family. Affirmative ac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 should incorporate ideas about labor market flexibility and the outsourcing of domestic work into its recent efforts to reconcile work and family and increase the fertil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아담 자가예프스키의 ‘자화상 연작’에 나타난 잃어버린 고향의 이미지와 정체성 탐구

        최성은(Choi, Sunge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2 외국문학연구 Vol.- No.48

        세계 제 2차 대전이 끝난 뒤 폴란드는 패전국인 독일에 속했던 서부 지역을 할 양받는 조건으로 국토의 1/4에 해당하는 동부 지역을 소련에 빼앗기게 되었다. 그 결과 리보프에 거주하던 폴란드인들이 새롭게 폴란드 영토가 된 슐레지엔 지방으로 이주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고향이나 뿌리를 상실한 수많은 사람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유년기에 리보프를 떠나야만 했던 아담 자가예프스키도 바로 이런 강제 이주민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크라쿠프에서 시인으로 등단한 자가예프스키는 1970년대 말, 사회주의 정부와의 정치적인 갈등으로 말미암아 폴란드를 떠나야만 했고, 30여 년의 세월 동안 해외에서 거주하며 작품 활동을 했다. 강제 이주민 출신의 대표적인 작가인 자가예프스키에게 공간의 변화는 스스로의 정체성을 규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오랜 세월 낯선 공간에서 유랑 생활을 하면서 자가예프스키는 자기 자신을 향해 ‘나는 누구인가’, 그리고 ‘나의 자아는 어떤 모습으로 변모하고 있는가’에 대한 존재론적인 물음을 끊임없이 던졌고, 이것은 그의 작품에서 핵심적인 화두가 되었다. 시인은 ‘나’ 또는 ‘자화상’을 표제로 한 여러 편의 시를 꾸준히 발표하면서 시공간의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바뀌는 자아의 유동적이고, 역동적인 이미지를 진솔하게 담아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아담 자가예프스키의 자화상 연작과 자전적인 경험을 테마로 한 일련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고향의 상실과 공간의 변화가 시인의 작품 세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고, 자신의 뿌리와 정체성을 탐구하기 위한 일관된 시도가 작품 속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양상으로 표출되고 있는지, 그리고 시인이 안고 있는 근원적 고통과 방랑의 모습이 어떻게 그려지고 있는지 분석해보았다. After the Second World War ended, the USSR took over the eastern Polish provinces, which were equivalent to one-fourth of the national land, while Poland received the western region of Germany. As a result, Polish people in L’vov were forcefully moved to the Schlesien region, which was now Polish land, and a number of people lost their homeland and their roots. Adam Zagajewski(1945~ ), who had to leave L’vov in his childhood, was one of these immigrants. Zagajewski who started his literary career as a poet in Kraków, stayed in Paris for some 30 years while wandering as a poet after leaving Poland due to political differences with the Socialist government in the late 1970s. For Zagajewski, who can be considered a representative expelled immigrant writer, ‘change of space’ is an important element to regulate his own identity. Zagajewski had posed ontological questions to himself - ‘Who am I’ and, ‘How does my self change’- while wandering through strange spaces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This was an important concern in his works. The poet frankly expressed a flexible image of the self, changing according to changes of time and space, while publishing several poems with titles such as ‘I’ or ‘self-portrait’. This study investigated how loss of homeland and change of space affected the poetic world of Zagajewski focusing on his ‘self-portrait series’ and works based on autobiographical experiences. I tried to analyze how Zagajewski’s struggle to explore his roots and identity is specifically represented in his works.

      • KCI등재

        재난 및 안전부문 예산분석과 재정운용정책에의 시사점

        최성은(Seng Eun Choi)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4 Crisisonomy Vol.10 No.9

        본 논문은 재난 및 안전부문 예산의 범위설정과 분류를 통해 재난 및 안전부문 재정운용이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통합적 재정운용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자연재난, 사회재난 및 안전부문의 사업대상과 사업의 성격에 의거하여 각 부처의 해당사업 예산을 분류하여, 광의의 재난 및 안전부문 예산과 협의의 재난관리예산을 추계하였다. 각 부처에 흩어져 있는 재난 및 안전부문 투자를 일관된 재정투자방향하에 통합적으로 관리하게 위해서는 재난 및 안전 부문 예산의 범위설정과 규모추계가 선결되어져야 한다. 이는 보다 체계적인 재난관리 재정투자의 청사진을 마련한다는 측면에서 합리적인 재난관리체제 구축에 있어 주요한 축이 될 것이다. 재난 및 안전 부문 재정투자는 R&D나 교육, 훈련 등 사전적 예방에 대한 투자증진이 주요한데, 이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의 R&D 투자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재난예방부문 재정사업에 대한 사전적, 사후적 평가를 강화하고, 사후적 평가의 재원배분에의 피드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재난발생 이후 복구를 위한 재난발생 이후의 재정투자에 있어서는 재정운용의 유연화가 필요하다. 재해복구 과정에서는 재해발생지역 해당지자체의 역할이 무엇보다 주요하므로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관련 지출에 자율성과 책무성을 강화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도 필요하다. The paper analyzes security budget in Korea with reclassification of all corresponding programs of the governments. It provides the definitions, categories, and the size of security budgets, and classifies the broad category and the narrow category of security budget in Korea. The classification is based on the nature of the disasters and secur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The re-recognition of security budget for all corresponding programs may provide fodder for effective fiscal management and integrativ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s.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programs such as R&D, education and training is relatively well established directions for future budget allocations. The cautions on rapid irrelevant budget increases in preventive programs may require reinforcement of program evaluations and feedback system. In the stage of damage restoration, flexible fiscal operation is the main issue. Given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where disaster areas are located, systematic improvement may be needed to reinforce the autonomy and responsibility of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지방정부의 저출산 대응정책의 정책도구 유형분석 : 세종시 사례를 중심으로

        최성은(Choi, Seong Eun),설진배(Sul, Jin Bae) 한국지방정부학회 2020 지방정부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정부 저출산 대응정책의 정책도구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여 저출산 대응정책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저출산 정책지원 분야를 8개 유형으로 구분하고, 정책도구를 직접성과 적극성을 기준으로 9개 유형으로 분류하여, 세종시의 저출산 대응을 위한 자체사업(2013년~2018년)에 적용한 후 그 특징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정책지원 분야별 사업의 수는 자녀교육, 자녀양육, 출산지원, 임신지원, 가정생활, 일자리, 결혼 및 정주여건, 기타 순으로 많았다. 둘째, 저출산 대응정책의 집행에는 간접도구가 주로 활용되었다. 셋째, 정책지원 분야별로 활용된 정책도구를 보면, 임신지원과 출산지원 분야의 경우 직접성과 적극성이 높은 직접공급방식의 정책도구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반면, 그 밖의 자녀양육, 자녀교육, 결혼 및 정주여건, 가정생활, 일자리 분야는 직접성이 낮고 적극성이 중간수준인 서비스 공급자에 대한 보조금 지급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지역 특성을 고려한 보다 효과적인 정책도구 활용의 필요성과 지방정부의 저출산 대응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ek a direction for policies responding to the low fertility by analyzing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olicy tools used by local governments. In this research, the study categorizes the types of policy tools into nine types based on the levels of directness and proactiveness and, the fertility support projects conducted by Sejong City from 2013 the 2018 are divided into eight policie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upport projects were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education for children, child-rearing, childbirth support, pregnancy support, family life, employment, marriage and residency condition. Second, indirect tools were mainly used to enforce the low fertility policy. Third, the direct tools, which have high levels of directness and proactiveness, were employed the most in pregnancy support and childbirth support. For other areas such as child-rearing, children education, marriage and residency conditions, family life, and employment, indirect tools which have a low level of directness and an average level of proactiveness were mostly use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more effective tools to resolve the low fertility issue.

      • KCI등재

        국제통상 ; 중국의 지역별 수출과 경제성장의 인과관계 분석(1952-2004)

        최성일 ( Sung Il Choi ) 국제지역학회 2008 국제지역연구 Vol.12 No.3

        본 논문은 1952-2004년 걸쳐 중국의 수출과 경제성장 간의 인과관계를 지역별(동부, 중부, 서부), 시대별(개혁개방 전후)로 고찰해 본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변수들의 안정성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단위근 검정을 실시했으며, 다음으로 변수간 장기적인 안정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공적분 검정을 수행했고, 마지막으로 오차수정모형을 추정함으로써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전체기간에서 동부지역은 수출이 경제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서부지역에서는 그 정도가 약하게 나타났다. 동부지역의 경우 개방정책이 집중적으로 나타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개혁개방 이전에는 수출과 경제성장 간의 인과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개혁개방 이후에는 수출이 경제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혁개방을 전후하여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했던 중서부 지역의 경우, 중부지역은 개혁개방 이전에는 무역과 경제성장 간에 인과관계가 보이지 않았으나 개혁개방 이후에는 양방향 인과관계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서부지역의 경우에는 오히려 개혁개방 이전에 무역이 경제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개혁개방 이후에는 반대로 경제성장이 무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ports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based on the provincial data over the period from 1952 to 2004. To reflect the regional and chronical characteristics, this paper divides China into three regions; Eastern, Central and Western regions, and also the whole period into two sub-periods; before and after 1979 when the Open-door policy(ODP) was initiated and applies Granger causality analysis The Granger causality tests showed that exports Granger cause economic growth in the Eastern region, but not in the Central and Western regions, as a whole. When the period is divided, in the Eastern region, causal 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not found before the Open-door policy. For the second period, however it turns out that exports cause the region`s economic growth. This result is consent with the fact that the region has been a main beneficiary of the policy. For the Central region, the tests showed no causality in the pre-ODP period, but significant bidirectional causality in the post-ODP period. Meanwhile, in the Western region, exports turned out causing economic growth significantly before the ODP, while economic growth appeared to causing trade after the ODP.

      • KCI등재

        “是+N<sub>施</sub>+VP” 형식과 “有+N<sub>施</sub>+VP” 형식의 비교연구

        최성은 ( Choi Sung-eun ) 한국중국학회 2017 中國學報 Vol.80 No.-

        “是+N<sub>施</sub>+VP”형식과 “有+N<sub>施</sub>+VP”형식은 사용빈도가 높으며, 때로는 두 형식에서 “是”와 “有”의 기능과 의미가 혼동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두 형식은 각각의 통사적 기능과 의미 기능을 지니고 있다. “是+N<sub>施</sub>+VP”형식에서 “是”는 유일 존재, 한정성을 내포하며, 비한정 지칭의 “N<sub>施</sub>”이 놓이면 비문이 된다. 반면 “有+N<sub>施</sub>+VP”형식은 비유일 존재, 비한정성과 결합하며, 한정 지칭의 “N<sub>施</sub>”이 뒤에 위치하면 비문이 된다. 이로 인해 “是” 뒤에 비한정 지칭의 “N施”이 위치하면 “是”의 의미가 변하게 되며, “有”는 반대로 한정 지칭의 “N<sub>施</sub>”이 뒤에 놓이면 “有”의 기능이 변화한다. 또한 “有+N<sub>施</sub>+VP”형식에서 동사는 한정적으로 쓰이는데, 단문에서는 소유관계를 나타내는 동사를 사용해서 표현해야 성립할 수 있다. 그러나 “是+N<sub>施</sub>+VP”형식은 동사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문형에 있어서도 “有+N<sub>施</sub>+VP”은 의문문, 부정문으로 표현할 수 없다. “是+N<sub>施</sub>+VP”형식과 “有+N<sub>施</sub>+VP”형식은 각각 표지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是”는 동작 주체를 강조하는 표지로서 “有”와 달리 능동의 기능을 내포하고 있는 반면, “有”는 관계성 소유관계를 나타내는 표지로 쓰이고 있으며, 수동의 기능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복문에서 “有+N<sub>施</sub>+VP”형식은 화자가 만족, 안위 등의 심리적 이득을 얻을 경우에 성립할 수 있다. “是”와“有”는 존재, 소유의미를 지닌다는 점에서 동일하지만 심층적 의미기능은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것은 “是”와 “有”의 어법화와 주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요컨대, “是+N<sub>施</sub>+VP”형식과 “有+N<sub>施</sub>+VP”형식에서 “是”는 동작 주체 초점 표지로 쓰이고 있으며 “有”는 관계성 소유관계 표지로 역할을 하고 있다. The “shi(是)+Nag+VP” type and the “you(有)+Nag+VP” type are frequently used, and sometimes the function and meaning of “shi(是)” and “you(有)” are confused. However, these two forms have their respective syntactic and semantic functions. In the “shi(是)+Nag+VP” type, “shi(是)” represents a unique existence and is used as a definite mark. If “Nag” having an indefinite marking function is placed, “shi(是)+Nag+VP” type is not established. On the other hand, the “you(有)+Nag+VP” type combine with a non-specific existence and and is used as an indefinite mark. If “Nag” having a definite marking function is placed, “you(有)+Nag+VP” type can not be established. Therefore, if the indefinite “Nag” is located after “shi(是)”, the meaning of “shi(是)” changes, and if “Nag” is located after “you(有)”, the function of “you(有)” changes. Also, the verb in “you (有)+Nag+VP” type is very restrictive. In short sentences, they should be expressed as verbs representing mutual ownership relations, which can be recognized as sentence patterns. However, the “shi(是)+Nag+VP” type is not restricted by the verb. Even in the sentence pattern, “you(有)+Nag+VP” type can not be expressed as a question sentence or a negative sentence. The “shi(是)+Nag+VP” type and the “you (有)+Nag+VP” type have a marker function. “shi(是)” is a marker that emphasizes the subject of action. Contrary to “you(有)”, it contains the function of active, while “you(有)” is used as a marker to represent relationship of ownership and it has the function of passive. Also, in the complex sentence, “you (有)+Nag+VP” type can be established when the speaker obtains a psychological benefit such as satisfaction or comfort. “shi(是)” and “you(有)” are the same in that they have existed and possessed meaning, but the in-depth meaning function is different, which affects the Grammaticalization and subjectivization of “shi(是)” and “you(有)”. In conclusion, “shi(是)” is used as the focus of operation subject in the “shi(是)+Nag+VP” type and in the “you(有)+Nag+VP” type, “you(有)” is used as a relationship mark of ownership relationship.

      • KCI등재

        피부건강에 대한 인식과 관리에 관한 연구

        최성임(Choi, Sung-Im),권영낭(Kwon, Young-Nang),이계영(Lee, Geai-Yo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7

        본 연구는 서울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피부미용전공과 비전공 여학생들의 피부건강관 리의 관심도와 피부상태, 인식 및 관리 행위의 차이점 및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전공자들과 비전공자들의 대 한 비교 분석은 동일한 생활권에서 궁극적으로 전문 학습과 비 전문학습의 일반적인 상태에 대한 지식과 행위를 의 미하는 것으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전공 여대생이 비전공 여대생에 비해 피부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1). 피부미용 전공 여대생은 복합성 피부, 비전공 여대생은 건성 피부가 많 은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피부 관리 실태에서 색조화장 후 전공여부에 따른 이중세안 정도, 각질 정 리 횟수, 마사지나 팩 관리횟수, 선크림 사용 항목에서 각각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1, p<.001, p<.01, p<.01). 오 백식품 및 인스턴트식품의 영향정도와 수분섭취 항목에서 각각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1).(p<.05). 화장품 사용 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효율적인 구매를 하는 경향이었으며, 탁월한 기능이 있을 때는 경제적 부담이 있어도 구입 의 향 항목에서 적극적인 성향인 것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001). 본 연구의 결과는 피부미용 산업 및 교육 분야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research female university students' concern with beauty care, their skin condition, knowledge and treatment comparing the majors with the non-majors in Seoul. This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m focused on their educational and behavioral differences in beauty care in the same living space,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ajors' average point on the concern with skin health care was higher than the non-majors(p<.01). There were more combination skin type in the major group, and more dry skin type in the non-major group. Also,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e two groups in frequency of double cleansing after makeup, exfoliating, massaging or applying mask packs, using sunscreen(p<.01, p<.001, p<.01, p<.01). Further, intake rates of instant food and moisture were meaningfully different between them(p<.001, p<.05). In addition, the majors more tended to purchase cosmetics efficiently through lots of channels, and showed more active attitude to buy high-price cosmetics with outstanding properties although they have financial burden(p<.001). It wa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d in skin care industry and education area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