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기의 경산화파 예운불화 연구

        최성규 ( Choi Sung Kyu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6 종교문화비평 Vol.30 No.30

        예운상규는 경산화파의 화맥 안에서 전승되는 불화의 형식으로 작업에 임했으며 또한 전승시킨 불모(佛母)이다. 19세기 중반부터 전하고 있는 그의 불화는 1930년에까지 이르고 있다. 경산화파는 불모들의 계보 가운데 비교적 화맥이 잘 밝혀져 있고 전해지는 불화의 소재가 어느 정도 파악되어 그 특징을 살펴 볼 수 있다. 조선 후기에는 대부분 사찰 불화의 수요가 그 지방 승려들에 의해 충족되었고 이에 따라서 다양한 승려가 많이 모이는 대사찰 중심으로 배출된 화승들은 자신의 출신 사찰을 중심으로 인근지역 안에서 활동함으로써 지역에 따른 화사(畵師) 집단이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화사 집단 가운데 서울·경기지역에서 활동한 화사들을 경성화파 또는 경산 화파라 부른다. 예운 불화는 조선 후기 서울·경기지역 불화와 같이 시대와 양식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18세기 초와 18세기 말~19세기 초, 19세기 말로 분류하는데, 현존하는 근대기 예 운의 불화는 도상과 표현기법에 있어 다양한 경향의 불화 제작과 새로운 문물의 유입을 통한 신경향의 불화를 남기고 있다. 근대기 예운의 불화의 상당수는 서양화의 명암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스승인 응석 의 맥을 이어 새로운 도상과 구도법을 창안하였다. 서양화의 명암법을 적용해 그린 그의 불화들은 당시 후원자들로부터 상당히 인기가 있었던 듯하며 현재 전국에서 작품이 남 아 전한다. 예운은 전통 도상을 기반으로 일반 회화나 민화와 같은 각종의 회화자료, 그 리고 새로 유입된 외국의 인쇄물 등의 시각적 체험과 자료들, 당시의 풍물·풍속 등 새 로운 요소들을 수용하기 시작하는 등 끊임없이 변화를 주기위한 시도들을 하였다. 표충사 <삼세불도>처럼 원과 같은 기하학적 도형을 사용해 화면에 집중감을 주면 서도 때로는 수많은 권속들을 적절히 분류하고 구획하여 시각적 효과를 살린 불화들과 기존 불화의 구성요소들을 새롭게 재구성하거나 일부를 첨삭하는 등의 방법으로 주제를 강조한 불화들을 제작하였다. 화면분할식 불화와 함께 새로운 불화를 시도하려 했던 그의 창작 의도가 보다 명확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근대기 예운 불화의 의미는 화사의 창의성이 발현된 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후 새롭게 만봉에 의해 전승이 되고 현재에까지 이어짐으로 해서 역사적 변천을 살필 수 있다는 점이 또한 중요하게 평가될 수 있는 것이다. Yeun Sang-kyu was a Buddhist painter, known as “Mother of Buddha Image Paintings(佛母)” who was inherited by Gyeongsan School and kept the tradition intact till 1930. His Buddhist Image paintings are handed down from the mid-19th century on and his painting styles and lineages are well known and even the painting materials he used are cleary identified. So much he is recognized as unique and distinctiv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Buddhist paintings in the temples are provided and enshrined by the local monk painters and the large temples have accordingly housed a group of monk painters in their own territories. This monk painters were eventually clustered with the painter groups. “The Gyeonseong or the Gyeongsan School” was one of the most active painter groups who got together in Seoul and Gyeonggi area. Yeun`s Buddhist paintings so far extant in terms of iconography or drawing skills reveals inheritances of various styles of the previous traditions; early and late 18th century, or early and late 19th century styles are included. Moreover, on top of those mixture of traditions, he added a new trend of paintings based on the up-coming new cultures. Even western painting skills of shading were imbued with his many a Buddhist paintings and his creative new form of icons and compositions are keenly felt the influences of his direct master Eungseok`s style. His new Buddhist depictions seem to be popular among the connoisseurs and the collectors so that his art objects are spread out through the country. He tried to explore the new experiments with the visual effects, the painting materials and even utilizing of the folk painting subjects. The “Samse-bul-do(三世佛圖)” of Pyochung temple is an example of the modern skills of paintings, quite differed to traditional ones; applying the geometric shape of circles in the screen, newly alloting the Bodhisattvas and the protective figures, reconfiguring the Buddha images, sectional division of the canvas, etc. Likewise, Yeun`s style changes in his extant paintings show us his creativity along with the modern tranformation of Korean Buddhism. And his legacy is handed down to Manbong, who is one of descents of Yeun and connected to today`s Buddhist painting traditions.

      • 명사의 의미망 분석을 통한 정신지체아동과 일반아동의 개념 및 의미발달 비교

        최성규 ( Sung Kyu Choi ),김영옥 ( Young Ok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3 No.2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아동의 효율적인 언어지도를 위한 방안을 탐색하기 위하여 표적어휘에 대한 의미망 분석을 통하여 개념과 의미어휘의 발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반 유치원 아동 20명과 초등학교 일반아동 40명, 그리고 특수학급에 입급된 정신지체아동 60명을 대상으로 구체물로 제시할 수 있는 14개의 명사를 제시하여 의미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아동은 표적어휘에 대한 개념과 의미어휘가 연속적으로 발달하여 어휘발달에 대한 개념과 의미의 구분이 필요하지 않으나, 정신지체아동의 경우에는 개념에 비해 의미는 연령이 낮을수록 발달에 있어서 확연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정신지체아동의 언어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지도방안의 차별성이 요구됨을 본 연구에서는 시사하였다. Language development and language skills have become increasingly recognized as critical concerns in the educ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cluding mental retarded. Most linguists agree on the sequence of language development during the first five years of life. Also, most mental retarded children who are attending the elementary levels indicated developmental direction and speed, even though the children delay in developmental speed with the ordinary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with the development on concept and meaning vocabulary in schema between mental retarded and ordinary children. Sixty mental retarded children and sixty ordinary children were participate to compare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and meaning vocabulary. Fourteen vocabularies selected from Korean Standard Receptive Vocabulary Test. The results were that (a) the mental retarded children indicat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age development in concept and meaning vocabularies; (b) in ordinary childr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ept and meaning vocabularies in age development; and (c) the two groups show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ocabulary development of concept and meaning.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importance of teaching meaning vocabularies is emphasized in language instruction for mental retarded children.

      • KCI등재후보

        청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태도 및 요구분석

        최성규 ( Sung-kyu Choi ),김기생 ( Ki-saeng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5 No.2

        통합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청각장애아동도 건청아동과 함께 생활하면서 수업 할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학교 교사의 대부분은 청각장애아동의 독특한 요구에 맞는 교수학습 전략을 수립하거나 실행하는데 여러 제한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청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요구도를 분석하여 청각장애아동의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국의 청각장애학교 20개교의 학교장에게 공문을 발송하여 14개 학교에서 동의를 얻었고, 312매의 설문지를 발송하여 238매(76.3%)의 자료를 수집하여 F와 χ2로 결과를 검증하였다. 청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청각장애학교 교사의 태도는 재직학교, 연령, 근무한 학교 수, 담당부별, 성별, 청각장애학교교사 자격증 소지 유무, 근무년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등과 같은 변인별과 관계없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리고 청각장애아동이 통합교육에 적응하지 못하고 다시 청각장애학교로 돌아갈 수 있는 요인은 수업에 대한 부담감과 또래 아동과의 의사소통 결여가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하였다. 청각장애학교 교사는 청각장애아동의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하여 언어수준을 함양시킬 수 있는 방안과 정서적 안정 및 건전한 인성을 발달시킬 수 있어야 하고, 일반학교 교사는 청각장애아동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청각장애아동의 효율적인 통합교육 운영방안은 청각장애학생, 부모, 청각장애학교 및 일반학교 교사, 그리고 행정적인 지원 방안 등이 총체적으로 계획되고 운영될 때 가능하다고 본 연구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ttitudes and effective management for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ed concerning inclusion from teachers for thestudents with hearing impaired. Prior to initiating direct contact with the teachers, the principals of the all schools for the hearing impaired in Korea were contacted via mail, and their permission secured. 238 teachers from fourteen schools for the hearing impaired participated. One-way ANOVA procedures with repeated measures based on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teachers`` attitudes toward inclusion, and Chi-Square were utilized to analyze what factorswere solved to guarantee effective management for the hearing impaired in inclusion environments. Thirty-question survey, twenty four using five-point Likert scale and six using chi-square were developed. This study concluded that : (a) the attitudes toward inclusion for the hearing impaired was accepted nega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different levers of instruction, ages,the private and public schools, sex, teacher licences, teaching experiences, inclusion attitudes, and communication skills. The main problem why the hearing impaired may not adopt was due to the difficulties of learning. And (b) the main problem why the hearing impaired return to school for the hearing impaired was the difficulties of learning and communication problems with hearing peers.

      • KCI등재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교과서 개발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구성요인의 구조모형 분석

        최성규 ( Sung Kyu Choi ),김정규 ( Jung Gyu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2

        이 연구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교과서 개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교과서 개발과 관련된 설문 문항은 20개로 구성되었다. 특수교사 274명의 응답 내용을 SPSS와 AMOS 프로그램으로 자료처리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는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교과서 개발에 대한 구성요인 5개 중에서 ``일반교과서 사용의 타당성``, ``일반교과서 사용에 청각장애 특성 고려``, 그리고 ``교과서 재구성 요구`` 등의 특성이 고려되는 요인에만 차별화된 인식을 나타내었다. 둘째, 청각장애학생의 교과서 개발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에서 차별성을 보이는 배경변인은 소속, 교직경력, 그리고 특수교육 교육과정 지식 정도이다. 그러나 학교급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특수교사는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교과서 개발에서 통합교육, 특수학교 등과 같은 교육환경의 구분과 청각장애학생의 특성 등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결론적으로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교과서는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일반학교 교과서 사용, 일반학교와 특수학교 등에서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 그리고 수업의 효율성 등을 보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함을 이 연구에서는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factor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toward text books which were used for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regardles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The 274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ith 20 items were developed, and SPSS and AMOS program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three factors in text book development such as use of text book for hearing students, use of hearing students text book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impairment, and restructure of text books for hearing impairment; (b) the educational environment(special school and special class), teaching experiences, and the knowledge of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were different background factors to perceive in development of the text book for hearing impairment; and (c) the special school teachers had that the text books for hearing impairment had to develop based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uch as inclusion and special school, and interoperability to inclusion and special school environments, and concern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impairment.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text books for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had to be emphasi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 KCI등재

        TV광고를 활용한 마인드맵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최성규 ( Sung Kyu Choi ),황시영 ( Si Young Hwa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TV광고를 활용한 마인드 맵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정신지체아동 2명을 대상으로 TV광고를 활용한 마인드 맵 프로그램을 12주 동안 40분간 24회기 적용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정신지체아동의 수용과 표현어휘력이 향상되었다. 품사에 있어서 명사, 동사, 그리고 형용사의 증가에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수용어휘력에서 형용사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아동의 흥미를 자극할 수 있는 TV의 광고를 활용한 언어지도가 수용 및 표현어휘력 발달에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하고 있다. Mind map strategy may be one language teaching method to expand thought which is related with language development.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have generally lots of problems in language development. Vocabulary ability is an important developmental stage to learn social language flu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effects of the mind map strategy with TV advertisement to develop vocabulary ability for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wo mentally retarde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wenty four target vocabularies which were selected from TV advertisement were applied for this study. Pre- and post-test were utiliz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mind map strategy with TV advertisement to develop vocabulary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mind map strategy with TV advertisement was effective to develop receptive vocabularies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d (b) the mind map strategy with TV advertisement was effective to develop expressive vocabularies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In the part of speech, this strategy was most influenced to an adjective rather than noun and verb.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mind map strategy with TV advertisement was effective to develop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ies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의 장애유형 결정을 위한 진단,평가 전문가 모형 개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최성규 ( Sung Kyu Choi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의 장애유형을 결정하기 위하여 퍼지이론에 기초하여 진단·평가 전문가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자 수행되었다. 먼저 진단·평가 전문가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장애아동 전담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5명, 치료사 5명, 원장 5명, 특수교육지원센터에 재직하고 있는 특수교사 5명, 그리고 특수교육 전공 교수 3명과 진단·평가와 관련 있는 심리학과 교수 2명으로 전문가팀을 구성하였다. 전문가팀은 먼저 지능검사, 적응행동검사, 사회성숙도, 기초학습기능검사, 가정과 학교환경검사의 퍼지행렬 각각에 대하여 퍼지 추론규칙을 생성하였다. 전문가 팀에 의해 생성된 각 검사의 전문가 진단·평가 추론규칙의 구성표를 병렬조합하였다. 다음으로 전문가 모형 프로그램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진단·평가 전문가 모형의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학생의 장애유형 결정을 위한 진단·평가 전문가 모형의 개발에 기초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발달장애학생의 장애유형 결정을 위한 진단·평가의 신뢰도를 확보하고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professional model for determination the type of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is study the terminology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limited in the mental retardation, learning disabilities, slow learner, and underachiever. The professional team was organized with 25 persons such as professors, teachers, principles, and therapist who were teaching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rofessional team created the fuzzy inference rule based on the five tests, intellectual test, independent behavior, social maturity, basic learning aptitude, and home and school environment test. And the professional team generated the diagnosis·evaluation model to determine the type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combined five tests. The database based on the professional diagnosis·evaluation model was developed. The reliabilities was secured for diagnosis·evaluation model to determine the type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professional diagnosis·evaluation mode ensured to determine the type of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 KCI등재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배경 변인별에 따른 실천적 지식 정향의 암묵적ㆍ명시적 인식과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요인의 관계 분석

        최성규 ( Choi Sung-kyu ),김정규 ( Kim Jung-gyu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4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실천적 지식 정향을 암묵적과 명시적으로 구분하여 배경 변인별로 차이를 분석하고,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요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전국의 청각장애학교 309명의 자료를 t 또는 F 검증하였고, 상관관계와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실천적 지식 정향에 대한 암묵적 인식은 배경 변인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실천적 지식 정향에 대한 명시적 인식 개인적 정향과 경험적 정향에 대해서만 교직경력에 한정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실천적 지식 정향에 대한 암묵적과 명시적 인식이 교육과정보다는 교수학습 요인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실천적 지식의 경험적 정향은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요인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좋은 수업은 교직경력의 영향을 지배적으로 받으며 발달하고 있음을 이 연구에서는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licit and explicit recognition of practical knowledge orientation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he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al knowledge orientation and the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factors. Data of 309 hearing impaired schools teachers nationwide were verified by t or F, and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licit perceptions of the teacher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b)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licit perception of practical knowledge orientation and the personal orientation and experiential orientation only within the teaching career; and ⓒ(c) implicit and explicit perceptions of teachers' perceptions of practical learning affect the teaching- learning factors rather than the curriculum. Especially, experiential orientation of practical knowledge influenced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factors at the same tim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good classes of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are dominantly influenced by teaching career experien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