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대학생들의 읽기 능력 연구

        최봉실 ( Bong Sil Choi ),배주연 ( Joo Yeon Bae ) 한국초등특수교육학회 2014 초등특수교육연구 Vol.16 No.1

        이 연구는 광주 N 대학교 학생들의 읽기 능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보이고 있는 읽기 오류에 대해 알아보는 목적이 있으며, 3개 계열, 7개학과 15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측정내용은 읽기오류의 생략, 첨가, 대치, 도치, 더듬거림, 자소 음소대응, 개별단어 읽기 어려음, 누락, 띄워 읽기, 순서 바꾸어 읽기 등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읽기오류 유형을 보면, 더듬거림(78.6%)유형에서 가장 많은 오류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는 대치(67.1%)로 나타났다. 계열별로는 이공계열에서 생략(65.3%), 보건계열에서 대치(78.8%), 인문계열에서는 비슷한 단어 혼동(48.2%)으로 많이 나타났다.

      • KCI등재

        온라인 미술치료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최봉실(Bong-Sil Choi),류현숙(Hyun-Sook R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

        목적 본 연구는 COVID-19의 세계적 유행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및 대인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해 온라인 미술치료 수업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일 대학의 간호학과 3학년 학생 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미술치료 수업은 온라인을 통해 8주 동안 매 차시별로 2시간씩 13차시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으로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수업의 효과에 대한 종속변수의 검증은 대응표본 t-test를 사용해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프로그램 적용 후 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t=2.667, p= .012) 전체와 하위영역 중 해석능력(t=2.262, p= .030), 역할수행능력(t=2.730, p= .010), 목표설정능력(t=2.477, p= .018), 메시지전환능력(t=2.563, p= .01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대인관계 정도(t=2.340, p= .025) 전체와 하위영역 중 신뢰감(t=2.220, p= .033), 개방성(t=3.095, p= .004)에서 수업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이를 통해 본 연구의 온라인 미술치료 수업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 향상에 효과적인 교육임이 확인하였고, 후속연구를 통해 그 효과를 확인하는 반복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online art therapy class on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 3rd year students of one nursing department. The art therapy classes were provided online for 2 hours twice a week for 13 sessions for nursing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with SPSS. Results After art therapy classes, the subject’s communication competency(t=2.667, p=.012) and in the sub-domains interpretation(t=2.262, p= .030), role performance(t=2.730, p= .010), initiative communication(t=2.477, p= .018), perspective-taking(t=2.563, p= .015)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terpersonal relationship(t=2.340, p=.025) and in the sub-domains trust(t=2.220, p=.033), disclosure(t=3.095, p=.004)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online art therapy class is effective nursing education for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nursing students.

      • KCI등재

        플립러닝을 적용한 정신간호학수업이 간호대학생의 학습전이동기 및 학습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권영란(Young-Ran Kweon),최봉실(Bong-Sil Choi)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1

        본 연구는 플립러닝을 적용한 정신간호학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학습전이동기 및 학습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시에 위치한 2곳의 종합대학에서 연구 참여에 동의한 간호학과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플립러닝을 활용한 정신간호학 수업은 2018년 3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48명을 대상으로 주별로 50분 Pre-class와 70분 In-class로 총 120분씩 6차시를 진행하였다. 이 기간 동안 50명의 대조군은 기존의 강의식 수업으로 120분이 진행되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플립러닝 적용 후 효과 확인을 위해 학습전이동기 및 학습자기효능감의 차이를 t-test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플립러닝을 적용한 실험군은 강의식 수업에 참여한 대조군에 비하여 학습전이동기(t=6.791, p<0.001) 및 학습자기효능감(t=3.490, p=0.001)이 증가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플립러닝은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학습전이동기와 학습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간호대학생의 실무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플립러닝을 다양한 교과목 수업에 활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s of a psychiatric nursing education applied with flipped learning o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elf-efficacy of nursing college stud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tudents in the third grade of nursing department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t 2 general universities located in G city. Psychiatric nursing classes using flip-learning were conducted for 6 sessions of 120 minutes in 50 minutes pre-classes and 70 minutes in-classes per week for 48 students. During this period, the 50 control groups were given 120 minutes of traditional lecture sessions. Data were collected during March 1 to April 30, 2018,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t two times: prior to the intervention and after the interven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χ2-test, t-test and independed t-test. The study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th flipped learn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learning transfer motivation (t=6.791, p<0.001) and learning self-efficiency (t=3.490, p=0.00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traditional lecture. Flipped learning has been shown to contribute to enhancing learning transfer and learning self-efficiency to enable self-directed learning. Based on this research, the flipped learning should be applied to various subjects so that nursing students can improve their practical skills.

      • KCI등재

        중소병원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 및 근무 중 폭력문제

        정은진(Eun-Jin Jeong),최봉실(Bong-Sil Choi)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0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근무 중 폭력문제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조사 연구이다. G광역시 소재 중소병원에 1년 이상 근무 중인 247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회복탄력성은 3.38점, 사회적지지는 3.62점, 근무 중 폭력문제는 1.77점 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로, 회복탄력성은 남성(t=2.62, p=.009), 종교있음(t=5.04, p<.001), 고정근무 및 기타(t=-2.63, p=.009)와 마음을 터놓을 지인 3명이상(F=6.09, p<.001), 스트레스는 느끼지 않는다(F=6.49, p=.002), 그리고 좋은 건강상태에서(F=19.75, p<.001)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적지지는 남성(t=2.22, p=.027), 종교있음(t=3.16, p=.002), 마음을 터놓을 지인 3명이상(F=13.62, p<.001), 스트레스는 느끼지 않는다(F=4.38, p=.014)와 좋은 건강상태에서(F=6.74, p=.001)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근무 중 폭력문제는 근무부서로 응급실이(F=4.74, p=.003), 폭력의 심각성은 보통이상과 심각하다가(F=21.09,p<.001), 스트레스 정도는 느낀다가(F=11.24, p<.001)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nvestigate nurses resilience, social support, violence proble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47 nurses who have worked for more than a year in small-medium sized hospital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Findings indicated that the mean scores of resilience, social support, violence experiences were 3.38, 3.62 and 1.77. The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revealed that the level of resilienc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jects who are male (t=2.62, p=.009), religious believers (t=5.04, p<.001), have fixed working hours or other working patterns (t=-2.63, p=.009) and more than three people to whom they can open themselves up (F=6.09, p<.001), and are not stressed (F=6.49, p=.002) and in a good health (F=19.75, p<.001). The level of social suppor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jects who are male (t=2.22, p=.027) and religious believers (t=3.16, p=.002); have more than three people to whom they can open themselves up (F=13.62, p<.001), and are not stressed (F=4.38, p=.014) and in a good health (F=6.74, p=.001). the level of violence problem was high in emergency rooms (F=4.74, p=.003) among the departments where the subjects work in the level of violence was assessed mostly higher than average or serious (F=21.09,p<.001), and a significantly high rate of the subjects said that they are stressed (F=11.24, p<.001).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사고와 대인관계가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류현숙(Hyun-Sook Ryu),최봉실(Bong-Sil Choi)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2021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8 No.6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긍정적 사고 및 대인관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의사 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와 P시에 소재하는 2개 대학 간호학과 학생 171명이었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Pearson s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결과, 대인관계(β=.404, p<.001)가 큰 영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났고, 긍정적 사고(β=.274, p=<.014)가 그 다음 순서로 나타났다. 회귀모형의 적합도에 대한 F 통계량은 20.940(p<.001)로 유의하였고, 설명력은 47.9%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대인관계와 긍정적 사고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1 nursing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located in G and P c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communication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were interpersonal relationships(β=.404, p<.001) and positive thinking(β=.274, p=<.014). Communication competency was explained 47.9% of varia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ositive thinking.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ositive thinking in nursing students were the influential factor on communication competency.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ositive thinking in order to improve communication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and it is considered to be useful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to improve communication competenc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