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을 통한 과학영재들의 창의·인성 탐색

        최규리(Choi, Kyoulee),김세현(Kim, Sehyeon),최경희(Choi, Kyoungh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3 영재와 영재교육 Vol.12 No.1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들을 위한 창의•인성 교육 방법의 하나로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보고, 영재들의 자기 성찰과 과학에 대한 태도 및 창의적 인성 검사를 활용하여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이 창의•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은 ‘기후변화’ 토픽과 관련하여 지역공동영재학급 중학교 1학년 20명을 대상으로 6회에 걸쳐 총 11차시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는 순차적으로 연관된 사고과정에 의한 문제발견이 다양한 창의적 사고 과정과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여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후변화와 관련된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을 통해 영재들은 환경문제의 심각성과 중요성을 깨닫고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인식함으로써 과학에 대한 태도가 대체로 유의미하게 변화되었으며, 모둠활동을 통해 협동과 의사소통 등을 배움으로써 창의•인성 및 인성적 요소뿐 아니라 창의적 성향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창의•인성 교육방법으로서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문제이해단계에서 충분한 논의와 사고과정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토론 시 고려해야할 창의•인성 교육 요소들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며, 글로벌 시민의식이나 생명존중 등 다양하고 포괄적인 관점에서 토의가 일어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qualities which can be found in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by applying the Future Problem Solving Program (FPSP) to science gifted students, and what they felt and learned from the viewpoint of creativity and character. We applied the FPSP about climate change (total 11 times run over 6 sessions) to 20 first grade students of gifted class in the local community of middle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problem finding through a thinking process related in consecutive order leads to the proposing of effective solutions through the various divergent thinking processes and communications. The FPSP had positive influences in the attitude to science, and creative personality as well as character education. The science gifted students realized the importance and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roblem, thought the measures are urgently needed, and learned teamwork and communication skills.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method, this study suggested that FPSP consists of enough discussion and thinking process on problem finding, provides the guideline about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nd presents differing perspectives about global citizenship, life respect, and so on.

      • KCI등재

        예술 감상을 통한 과학 관련 사회문제 공감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정찬미(Jung, Chanmi),최규리(Choi, Kyoulee),백은주(Baek, Eunjoo),유정숙(Yoo, Jungsook)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교과교육학연구 Vol.2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문제기반 과학-예술 융합교육의 효과성 측정을 위하여 예술 감상을 통한 과학 관련 사회문제 공감 측정 도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사회문제기반 과학-예술 융합교육 콘텐츠 설계 요소를 바탕으로 문헌고찰을 통해 이론적 구인을 예술적 관찰, 과학적 상상, 사회적 공감으로 정의하고 7개의 하위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 7개 영역을 측정할 수 있는 초기 측정도구(28문항)를 개발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한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합된 응답 결과 중 289개의 활용 가능한 자료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이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의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하여 부적합한 2개의 문항을 제거하고 관찰표현, 감상 태도, 상상, 공감 등 4개 요인으로 구성된 26문항의 측정도구를 최종 확정했으며, 최종 척도의 신뢰도는 양호했다(Cronbach’s α=.943).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측정 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CFI=.890, TLI=.878, RMSEA=.076), 구인 타당도 검증 결과 개념 신뢰도, 수렴 타당도, 판별 타당도 모두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발된 본 측정 도구는 공감 향상을 목표로 하는 사회문제기반 과학-예술 융합교육 프로그램 및 콘텐츠의 설계, 적용, 효과 파악 및 환류를 통한 개선의 과정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n empathy scale of science-related social issue through art appreciation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social problem-based science-art convergence education. To this end, first, based on the design elements of science-art convergence education content with social issues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the theoretical factors were defined as artistic observation, scientific imagination, and social empathy, and seven sub-factor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 initial scale (28 items) to measure these seven areas was developed and with the scale, test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the collected response results, 289 available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is data was analyz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reliability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Through EFA, two unsuitable items were removed, and a measurement tool was finalized with 26 items consisting of four factors of observational expression, attitude of appreciation, imagination, and empathy. The finalized scale showed good reliability (Cronbach’s α=.943). The result of the CFA showed the goodness of fit of the measurement model was good (CFI=.890, TLI=.878, RMSEA=.076), and confirmed that the convergence validity constituting the construct validity and the verification of concept reliability were also good. The developed measurement tool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pplying, understanding the effects, and improving the social issues-based science-art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and contents aiming empathy improvement.

      • KCI등재

        기후변화 교육 방향 탐색을 위한 2009개정 중학교 과학과 교과서 내용 분석

        오윤정(Oh, YoonJeong),최규리(Choi, Kyou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0

        This study investigated contents on climate change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of 2009-revision to find desirable orientation of climate change education. Analysis criteria were developed based on IPCC fifth assessment reports considering the physical science basis of climate change, climate mitigation, climate response. Total of 26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of 2009-revis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limate change content was mainly included in unit of atmosphere in 2nd grade science textbooks and unit of earth system and hydrosphere in 1st grade textbooks. Second, global warming and carbon cycle content was mainly included. Third, analysis of climate change observational data or climate change as natural phenomena were appealed. Therefore, it needs to design and implement climate change education considering diverse topics such as ocean and cryosphere, changes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responses for future.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2009개정 중학교 과학과 교과서에 수록된 기후변화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IPCC 제5차 평가보고서를 바탕으로 기후변화의 과학적 근거, 기후변화 완화, 기후변화 대응을 고려한 분석틀을 개발하 고 이 분석틀을 이용하여 2009개정 중학교 과학과 교과서 1, 2, 3학년 총 26권에 반영된 기후변화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기권을 다루는 2학년 과학과 교과서, 지구계와 수권을 다루는 1학년 교과서에 기후변화 관련 내용이 다수 수록되어 있었다. 둘째, 지구 온난화 및 탄소 순환 관련 내용을 주로 다루고 있었다. 셋째, 제시한 관측 자료를 분석할 것을 요구하거나 자연현상으로서 기후변화를 제시하는 형태가 주로 나타났다. 이에 중학교 과학과에서는 해양과 빙권 등 다양한 주제, 기후변화가 야기한 변화와 미래를 위한 대응, 지식과 실천을 아우르는 여러 활동을 고려하여 기후변화 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고등학교 유형별 진로계획과 진로개발역량의 관계 탐색

        오윤정(Oh, Yoonjeong),최규리(Choi, Kyou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유형별로 진로계획과 진로개발역량의 관계를 비교하여 현재 고교체제가 갖는 의미와 고등교육에의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분석에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KRIVET)의 2019년 진로교육현황조사 고등학생 원 자료(raw data, n=8,365)를 활용하였다. 학교유형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χ2검정 및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 간 차이를 밝히기 위해 사후분석을 실시하여 부집단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유형에 따라 고등학생들의 진로계획과 진로개발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대부분의 고등학생들이 희망직업이 있고 대학교육을 받고자 하는 반면, 학교유형에 따라 대학원 이상의 교육을 희망하거나(과학고ㆍ영재고), 취업 이후 대학 진학을 계획하는 것으로(마이스터고) 나타났다. 진로개발역량과 진로계획 사이에도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고교 졸업직후 진로계획을 세우지 못한 응답자와 희망교육 수준을 결정하지 못한 응답자의 진로개발역량이 낮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고교체제가 대체로 교육목적에 부합하고 있으나 희망직업 선택 이유와 진로개발역량이 학교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을 고려해볼 때 학교유형에 적합한 진로교육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ns and career competencies by Korean high school types and explore the meaning of the current high school system and its implications for higher education. For the analysis, raw data for high school students (n=8,365) of the 2019 Career Education status Research of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KRIVET) were used. To confirm the difference by school type, a χ2 test and an analysis of variance were performed, and post-hoc analyse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plans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high school students by school types. Most of the high school students had a desired occupation and wanted university education, whereas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nd Gifted High School students desired graduate school relatively.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between career capabilities and career plans. Based on this, the current high school system accords with educational purpose, but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reason for desired job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by school type, the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suitable for the school type was suggested.

      • KCI등재

        사제동행 과학진로체험활동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교육 소외계층 학생들의 과학정체성 변화 탐색

        이향연(Rhee, Hyang-yon),최규리(Choi, Kyoulee),정윤숙(Chung, Yoonsook)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1 교과교육학연구 Vol.25 No.5

        본 연구에서는 과학에 흥미와 적성을 가진 소외계층 학생들의 과학정체성이 과학진로체험활동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탐색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토하고 이들을 과학기술인재로 양성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공계 분야에 흥미를 가지고 있지만 가정환경, 성별, 지역적 여건 등으로 교육적 지원이 요구되는 학생들이 학교별3명 이내로 과학교사와 함께 팀을 이루어 10개월 동안 과학진로체험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중학교 30팀, 고등학교 80 팀이 참여하였으며 이 중 사전·사후 과학정체성 검사에 참여한 197명을 대상으로 과학정체성의 변화와 과학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참여 요인의 변화를 대응표본 t-검정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전검사에서 학생들의과학진로포부와 과학자아개념은 낮은 편이었고 과학참여에 있어 과학수업 참여만이 보통 이상의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프로그램 참여 이후 학교 밖 과학참여 수준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과학진로포부에 유일하게 영향을 미치던 가정에서의 참여와 더불어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변화되었다. 과학자아개념에 대해서도 과학수업 참여와 학교 밖 과학참여의 영향은 가정에서의 참여보다 낮았으나 프로그램 참여 이후 가정에서의 참여보다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변화되었다. 특히 여학생은 과학자아개념과 과학교사에 대한 인식 수준이 낮았으나 프로그램 참여 이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과학자아개념에서의 성별 차이 역시 사라지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진로체험활동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과학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인은 물론 요인들 사이의 관계 또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학생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학교 밖 과학참여의 교육적 효과와 교육 소외계층 학생들의 긍정적인 과학정체성 형성에 기여하는 교육적 중재에 대해 논의하고 이들을 과학기술인재로 양성하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how the science identity of underprivileged students with interest in science changes through participation in science career experience programs. Three or less students from secondary schools teamed up with their science teacher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for 10 months. A total of 197 students responded to pre- and post-science identity tests. The paired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changes in scientific identity after program participation; and the effects of science-related participation on science career aspirations and self-perceptions in science, respectively. Analysis revealed the changes in the factors that construct science identity,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fter the program. The level of out-of-school participation h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been transformed into a relevant factor along with home-based participation, the only associating factor on science career aspirations. The effect of science-class participation and out-of-school participation on self-perceptions in science was also lower than the effect of home-based participation, but after the program, it was changed to have a greater impact than the home-based participation. Especially, fe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perceptions and perceptions of science teacher after the program and gender differences were removed in science-related self-perceptions.

      • KCI등재

        일반물리학실험에 나타난 대학생의 반성적 사고 특징 분석

        김희정 ( Hee Jung Kim ),최규리 ( Kyoulee Choi ),오윤정 ( Yoonjeong Oh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科學敎育硏究誌 Vol.44 No.2

        이 연구는 일반물리학실험 수업 중 일어나는 대학생의 반성적 사고 특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32명의 대학생들로 10개의 일반 물리학 실험 보고서와 함께 반성적 사고와 관련된 검사 문항을 서술하여 제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택형 문항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실험에서 대체로 반성적으로 사고한다고 스스로를 평가하였으며. 그 수준은 실천적 반성, 기술적 반성, 비판적 반성 순이었다. 또한 학생들은 실험과 관련된 지식 등은 능동적으로 받아들이지만 당일 실험을 통해 얻은 새로운 지식 및 경험을 이전의 것과 연결하거나 새로운 질문을 형성하는 데는 소극적이었다. 둘째, 학생들의 반성적 사고는 실험목표의 이해와 선지식과 관련된 실험, 쉽게 수용할 수 있는 과정의 실험일수록 상관관계가 높았다. 셋째, 개방형 문항의 분석을 통하여 개인평가에서는 기술적 반성이, 모둠평가에서는 실천적 반성이 주로 이루어졌으며, 개선점 제안에서는 실천적 반성, 기술적 반성, 비판적 반성의 순으로 동시에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의 반성적 사고는 기능적 측면이 주를 이루며 피상적이었던 반면, 실험을 통하여 학습 내용과 실험 과정을 검토하면서 개인과 모둠의 실천을 반성하여 학습의 의미를 재고하는 특징이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eflective thoughts of students during experiments in general physics experiments. The participants were 32 college students, they submitted 10 experiment reports including answers to questions for reflective think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show reflective thinking broadly in the experiment, levels were followed by practical reflection, technical reflection, and critical reflection. Also, they actively accepted the knowledge related to experiments, but were passive in connecting new knowledge and experiences obtained through the experiments or forming new questions. Second, the reflective thinking of students show high correlation with experiments related to prior knowledge or the easy-to-understand process. Third, through the qualitative analysis of open-ended questions, it was confirmed that technical reflection occurs in individual evaluation, practical reflection in group evaluation, and practical reflection and critical reflection in improvement proposal. While the students' reflective thinking were superficial or mainly functional, however, they recursively examined the learning contents and the experimental process concurrently.

      • KCI등재

        예비 초등교사가 발견한 학생 창의성의 특성 및 교사의 역할

        조연순(Cho, Younsoon),최규리(Choi, Kyoulee),조영은(Cho, Youngeun)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2 교육과학연구 Vol.4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것을 생성해내거나 적용하는 외현화 과정뿐 아니라 학습의 내면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 창의성의 특징들을 탐색하고, 그러한 학생 창의성의 발현을 촉진시키는 교사의 역할은 무엇인지 탐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특성을 자연스러운 수업장면에서 찾기 위해 초등예비교사들이 교생실습 중 관찰한 55개의 수업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내면화 과정에서 발견된 학생 창의성이 외현화 과정에서 발견된 학생 창의성의 특성보다 더 다양했고, 교사의 역할 또한 더 다양하게 나타났다. 내면화 과정에서의 학생 창의성은 확산적 사고, 비판적 사고 등의 사고 측면과 자기주도적 탐색 등의 태도 측면으로 특징들이 나타났고, 외현화 과정에서의 학생 창의성은 새로운 생각의 생성, 독창적인 작품 등의 산출물과 자기주도성의 태도 측면 특징이 발견되었다. 교사의 역할은 내면화 과정에서는 개방적 발문이, 외현화 과정에서는 새로운 과제제시가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다. 반면, 창의성이 발현 되지 못한 수업 사례에서는 정형화된 예시제공 등으로 학생들의 획일화된 사고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예비교사들은 발문이나 수업분위기와 같은 미세한 교사의 역할을 통해 학생 창의성이 촉진될 수 있다는 인식의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학교에서의 성공적인 창의성 교육을 위해서는 학생 창의성에 대한 관점의 정립과 이를 촉진하는 교사역할에 관한 이해가 예비 교사교육에서부터 다루어질 필요성에 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characteristics of student creativity that emerge in the processes of internalization as well as externalization of learning and what are the roles that facilitate student creativity. To observe these characteristics in natural situations, the researcher had pre-service teachers observe those instances while doing their student teaching in elementary schools. The observation reports showed that the majority of instances demonstrated student creativity.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 creativity that emerged in the internalization process were more divergent compared to those that emerged in the externalization process. Likewise, the teacher"s roles facilitating student creativity in the internalization process were more divergent compared to those teachers played in the externalization process. These results have led to the conclusion that theorists and teacher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internalization process that had been neglected in previous research on creativity.

      • KCI등재

        교실수업 상황에서 학생 창의성을 촉진하는 교수·학습 특성 탐색

        조연순(Cho, Younsoon),정혜영(Chung, Hye Young),백은주(Baek, Eun Joo),최규리(Choi, Kyoulee),임현화(Lim, Hyunhwa) 한국교육방법학회 2011 교육방법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창의성을 나타내는 일반 수업의 교수·학습 과정에는 어떤 특징이 나타나는지 탐색하여 창의성 촉진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의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세 곳의 14학급에서 저·중·고학년의 사회과·과학과 수업을 집중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도입 부분에서는 배울 주제가 무엇인지 발견하도록 하였고, 전개 부분에서는 학생들의 생각을 통해 지식을 탐색하고 내면화하도록 하였으며, 마무리 단계에서는 새로운 문제를 제시하면서 내면화된 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이 모든 단계의 공통점은 실생활 맥락 제공, 학생들의 호기심과 흥미 유지, 지식의 발견 및 촉진, 비판적·확산적 사고 촉진이었으며, 모든 단계에서 교사의 발문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창의성이 가장 많이 나타났던 수업은 전체 차시가 단절되지 않고 하나로 연결되어 있으며, 학생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자료와 활동을 다양하게 제시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점들은 창의성 촉진을 위해 일반적인 교수·학습에서 고려해야할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learning processes that creativity emerges and find the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to promote students' creativity in regular instructions at schools. To fulfill the research purpose,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has implemented; observation of social studies and science instructions of the 14 classrooms including lower, middle, and higher grades in three elementary school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learning processes were differed in the beginning, development, and concluding stages. In the beginning stage, the teachers provided students various familiar materials to find the theme of the lesson rather than providing it directly. In the development stage, the teachers tried to let the students explore the concepts (knowledge) and internalize it. Then in the concluding stage, the teachers provided new situations which the students could apply (externalize) the internalized knowledge. The common factors found in all of the three stages were; 1) providing the contexts of authentic situations, 2) keeping the students' curiosity and interests, 3) promoting students to discover new knowledge, and 4) facilitating critical and divergent thinking. Also in all of the three processes, questions raised by teacher were critical to nurture creativity. These factors found in the study should be considered if the teachers want to facilitate students' creativity in regular subject matter teaching.

      • KCI등재

        사회문제기반 과학-예술 융합교육을 위한 실감형 콘텐츠 개발

        유정민(Jungmin You),서수연(Suyuan Seo),허송이(Songyi Heo),최규리(Kyoulee Choi)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1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2

        This study aims to develop realistic content to increase the sense of immersion in art appreciation, elicit sympathy for social issues, and explore ways to utilize it in connection with social problem-based science-art convergence education. The realistic contents provide a guide that promotes thinking so that learners can actively and practically learn rather than passively as an observer and provides students opportunities to create realistic content directly designed. The realistic content was developed for Android-based VR/AR experience type and iOS-based AR creation. It consists of a gallery to appreciate artworks related to three themes of earthquakes, fine dust, and biodiversity, and AR content that deals with issues related to biodiversity. The produced realistic content was suggested to be utilized in connection with the science atelier education program developed for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science center. Furthermore, generated realistic content recommended that effectiveness review through field application is necessary for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