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통한 심리적 효과검증

        최가은 ( Choi Ga-eun ),신용규 ( Shin Yong-gyu ),김민희 ( Kim Min-hee ) 동신대학교 2024 창의융복합연구 Vol.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motional changes of University students due to COVID-19 and to verify the psychological stability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through forest healing programs. In May 2023, a forest healing program was conducted for 27 University students aged 18 to 24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group survey. The stress scale (PPS), University life adaptation test (SACQ), and mood condition test paper (K-POMS-B)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Wilcoxson sign ranking verification (Wilcoxo signedrankst) were used using the SPSSWIN 27.0 program. As a result, the higher the grade, the higher the stress against COVID-19, and the lower th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In particular, in terms of college life adaptation, differences in individual-emotional adaptation were remarkable, and differences between first and fourth graders were high. The psychological change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forest healing program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ension, depression, anger, vitality, fatigue, and confusion. Students' low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whose University days were intertwined with the COVID-19 era, has been confirmed, and the need for emotional support for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bout to enter society is considered.

      • KCI등재후보

        급성 감염 증상 후 발생한 소아기 뇌염 및 뇌증 : 단일 기관 연구

        최가은(Ga Eun Choi),홍승희(Seung Hee Hong),우영종(Young Ok Kim),김영옥(Young Jong Woo) 대한소아신경학회 201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6 No.1

        목적: 급성 뇌염이나 뇌증은 증상 발현 전에 호흡기 감염이나 위장관 감염이 선행하는 경우가 흔하다. 최근에는 원인 병원체를 검사하는 진단법들이 발전함에 따라 보다 쉽게 병원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으나, 한국에서는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 감염 증상이 보인 후 발생한 뇌염, 뇌증의 원인 병원체의 종류 및 임상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3년 3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전남대학교 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급성 뇌염 및 뇌증으로 진단받았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총 51명의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5.8±4.4 세였으며 이 중 뇌염군은 36명(70.6%), 뇌증군은 15명(29.4%)이었다. 선행증상으로 호흡기 증상(62.7%)이 위장관 증상(45.1%)보다 빈번하였다. 뇌 자기공명영상 이상이 54.9%에서, 뇌척수액 백혈구 증다증이 41.2%에서 확인되었다. 계절 중 겨울에 질환의 발병이 가장 빈번하였다(29.4%). 뇌염 환자 중 감염성 뇌염 환자 총 8명(15.7%)에서 enterovirus (4명), EBV (3명, 1명은 HHV6 와 동반감염), 쯔쯔가무시(1명)이 확인되었다. 급성 파종뇌척수염으로 진단된 11명의 환자들 중 adenovirus, influenza A, mycoplasma 감염이 각각 한명씩 확인되었고 비커스태프 뇌간 뇌염 환자 중 1명에서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이 확인되었다.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뇌염 환자 15명 중에서 rhinovi-rus (3명), influenza A (2명), mycoplasma 감염(6명; 2명은 rhinovirus와 중복감염)이 확인되었다. 뇌증군 환자들 중 뇌 영상 이상을 동반한 환자는 총 3명이었는데, influenza A 감염과 동반된 acute ne-crotizing encephalopathy, 돌발진을 동반한 acute encephalopathy with biphasic seizures, 대변 no-rovirus가 검출된 mild encephalopathy with a reversible splenial lesion이었다. 나머지 12명의 뇌증 환자들에서는 influenza A (2명), adenovirus (1명), rhinovirus (1명), enterovirus (1명), mycoplasma 감염(4명; 1명은 norovirus와 중복 감염) 등이 확인되었다. 결론: 소아기 뇌염 및 뇌증은 겨울에 발병율이 높았고, 호흡기 감염과 연관된 경우가 많았다. Purpose: Acute encephalitis and encephalopathy are preceded by respiratory or enteric infection, whose pathogens can be detected more easily with advanced tools. However, studies for pathogens in Korea remain scarce.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athogens in childhood encephalitis and encephalopathy.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cords of children with acute encephalitis and encephalopathy admitted to our hospital between March 2013 and February 2017. Results: The 51 included patients were aged 5.8±4.4 years (mean±standard deviation), comprising 36 with encephalitis (70.6%) and 15 with encephalopathy (29.4%). Respiratory symptoms (62.7%) were more common than enteric symptoms (45.1%). Brain MRI was abnormal in 54.9%, and leu-kocytosis in the cerebrospinal fluid was noted in 41.2%. The prevalence of diseases was highest in winter (29.4%). In encephalitis, eight patients had infective encephalitis (15.7%), comprising enterovirus (N=4), Epstein-Barr virus (N=3; one with HHV6 coinfection), and tsutsugamushi in-fection (N=1). The 11 patients with ADEM included 1each with adenovirus, influenza A, and mycoplasmal infection. One patient with Bickerstaff-brainstem encephalitis had mycoplasmal pneumonia. In the 15 patients with encephalitis of unknown etiology, rhinovirus (N=3), influenza A (N=2), adenovirus (N=1), and mycoplasmal infection (N=6) were found. In the encephalopa-thy group, three patients had abnormal brain MRI: ANE with influenza A, AESD with exanthem subitum, and norovirus-associated MERS. In the remaining 12 patients, influenza A (N=2), ade-novirus, rhinovirus, enterovirus, norovirus (N=1 for each virus), and mycoplasmal infection (N=4) were found. Conclusion: Acute childhood encephalitis and encephalopathy were the most prevalent in winter and we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respiratory infections.

      • KCI등재

        여성해방문학의 여성 독자 만들기 : 『여성』을 중심으로

        최가은 ( Choi Ga-eu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2 민족문학사연구 Vol.78 No.-

        여성문학을 범주화하는 논리에서 ‘여성 독자’는 언제나 중요한 문제로서 사유된다. 해당 시기가 언제이건 간에, 여성문학에 관한 여러 담론들은 새로운 여성문학을 호출하는 계기이자 구성 요인으로서 여성 독자를 배치하는 경향이 있다. 반(反)여성주의적 시각에서 그것은 주로 ‘무분별한 상업주의’, ‘작품의 질적 하락’의 주된 동력이 되는 소비 주체의 형상에 한정되어 논의되었고, 오늘날에는 문학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검열 주체로서 이해되기도 한다. 한편, 페미니즘 진영에서의 여성 독자는 새로운 미적 경향의 증거이자,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의 표지이며, 나아가 페미니즘 운동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결정하는 지도로서 사유되어왔다. 이 논문은 80년대 후반부터 여성해방운동의 강력한 수단으로서 여성해방문학을 논의했던 여성해방문학론, 그 중에서도 자신들 스스로의 이론적 입장을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이라고 정리했던 『여성』의 발간 주체와 필진들이 여성 독자를 사유한 무/의식적 흔적을 살핀다. 80년대 중반부터 활성화되어 90년대 이후까지 꾸준히 지속되었던 여성 대상 무크의 여성주의 운동은 변혁 주체로서의 여성 상(像)을 여성 독자의 이상형으로 상정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개발하는 기획과 함께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여성해방문학에 대한 각 진영의 입장 차는 서로 다른 서사, 인물, 사건의 이상적 모델만큼이나 서로 다른 여성 독자 상을 주장하며, 이들을 향해 발화하는 특징을 보인다. 여성 대상 매체 각각의 독자 담론이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시대적 요청과 더불어 어떤 모습으로 변모해나갔는지를 분석하는 작업은 곧 여성 문학사의 길고 느슨한 연결선을 마련하는 일임은 물론, ‘여성의 정치적 주체화’라는 한국 페미니즘 기획을 통시적으로 들여다보는 일의 출발일 수 있다. 여성주의 무크의 독자 담론은 ‘여성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한국 페미니즘 운동의 해석적 움직임과 실천으로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변혁 주체를 개발해내야 할 과업을 짊어진 80년대 변혁운동 속에서 발명된 여성 독자는 그 형상의 선명성 때문에 더욱 문제적인 연구 대상이 된다. 이 논문은 나아가 위의 작업이 ‘여성문학의 시대’로 일컬어지는 90년대 문학장에서 강력한 공식으로 기능했던 ‘여성 대중 독자 = 문화 소비자’라는 고정된 도식을 재구성할 수 있는 한 방식이라고도 주장한다. In the logic of categorizing women’s literature, ‘female readers’ was always considered as an important issue. From an anti-feminist point of view, it was mainly discussed limited to the shape of the consumer, which is the main driving force behind ‘reckless commercialism’ and ‘aesthetic flaws in the work’. However, female readers in the feminist camp were evidence of a new aesthetic trend, a sign of improving women’s social status, and furthermore, a map that determined the direction of the feminist movement. This thesis examines the traces of the women’s liberation literature theory that has discussed women’s liberation literature as a powerful means of women’s liberation movement since the late 1980s. The feminist movement ,which was active from the mid-1980s and continued until the 1990s, was carried out with a plan to positively develop the image of a woman as a transformational subject as the ideal type of female readers. In particular, the differences in the positions of each camp on women’s liberation literature are characteristic of claiming different female readers as well as ideal models of different narratives, characters, and events, and uttering towards them.

      • 전 척추 측방향 검사 시 경추 filter device에 대한 유용성 평가

        최가은(Ga-Eun Choi),정재연(Jae-Yeon Jung):김정진(Jung-Jin Kim):장지성(Ji-Sung Jang):이건희(Gun-Hee Lee),박창현(Chang-Hyun Park)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2016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 Vol.2016 No.1

        목 적 : 전 척추 측방향 검사 시, 부분적인 Al filter 적용에 따른 경추부의 화질 개선 및 선량 저감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RANDO Phantom의 경추부에 Al filter를 설치하고 적용 전, 후의 영상을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조도 잡음비와 신호 대 잡음비를 통한 영상 평가를 시행하였다. 유리선량계를 이용하여 안구와 갑상선의 표면 입사선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측정을 통해 얻어진 자료는 대응표본 t검정으로 유의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Al filter 적용 후의 대조도 잡음비는 평균값 1.84 증가하였으며 신호 대 잡음비도 평균값 18.75 증가하였다. 표면입사선량은 안구의 경우 평균값 47.86μGy 감소하였고 갑상선의 경우 54.9μGy 감소하였다. 이 값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 론 : 경추부에 부분적인 Al filter 적용은 경추부 영상의 화질 개선 및 안구, 갑상선의 선량 저감에 유용하리라 판단 된다. Purpose : The study is to evaluate usefulness of image quality and dose by installment of Al filter in images for cervical spine in whole spine lateral radiography. Materials and Methods : Image evaluation was conducted by installing Al filter in cervical spine of RANDO Phantom and calculating contrast to noise ratio and signal to noise ratio using Image J program images with before and after installment. Entrance surface doses for eyes and thyroid were measured and compared using a glass dosimeter. Significant difference of data from measurement was analyzed in paired t-test. Result : After application of Al filter , contrast to noise ratio increases 1.84 on average and signal to noise ratio increases 18.75 on average. Entrance surface doses for eyes decreases 47.86μGy on average and entrance surface doses for thyroid decreases 54.9μGy on average. These valu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Conclusion : When Al filter is used, as it is useful for improvement of quality of cervical spine images and dose reduction for eyes and thyroid.

      • KCI등재

        ‘90년대’와 ‘여성문학특집’ : 『문학동네』 1995년 여성문학특집을 중심으로

        최가은 ( Choi Ga-eu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1 민족문학사연구 Vol.75 No.-

        90년대의 문학 담론은 흔히 이념의 시대인 80년대와 구별하며 스스로의 문학사를 형성해온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근래의 학술장은 90년대 담론장이 문학 본연의 것으로 상정했던 특징들을 비판적으로 재검토하고 있다. 이 논문 역시 90년대를 향한 선행 연구들의 문제의식을 공유하면서, 특히 90년대를 대표하던 여러 담론 중 ‘내면’, ‘개인’, ‘일상’과 같은 기표들이 당대 ‘여성문학특집’ 기획과 관계한 바를 비판적으로 살핀다. 90년대와 관련하여 가장 활발한 흐름이자 새로운 현상으로 기억되는 ‘여성문학담론’이 문학 공론장, 문학 비평장의 90년대적 구별짓기 과정 속에서 문학적, 미학적 담론으로 구축된 사례 중 하나를 가시화하는 작업이다. 90년대 여성문학담론은 문학장 내부에서 지속적인 논쟁을 이어가지 못했다는 사후적 판단에 따라 일정한 한계가 부각되는 측면이 있다. 이 논문은 그러한 한계와 성과를 보다 다각적인 차원에서 분석하기 위하여 당시 특수한 형태로 기획되었던 『문학동네』의 여성문학특집 기획에 주목한다. 민주화 이후 재편된 90년대 문학 공론장의 입장차와 비평 전략 속에서 ‘여성문학’의 의미가 구축되고 배치된 지점에 집중하는 것이다. 이처럼 여성문학담론 전반을 특정한 문학장, 비평장의 논리로 축소하여 분별해내는 접근은 90년대 여성문학담론 전반의 성과와 한계로 일컬어지는 지점을 세분화하고, 특수한 시간적 토대와 공론장의 비평 전략 간의 만남을, 나아가 그에 부합하거나 소외되는 것으로 교차되며 형성되었던 페미니즘 비평의 세목을 살피는 일이다. 이를 통해 90년대여성문학담론의 문제가 보다 활발히 탐구될 수 있을 것이며 문학 공론장과 ‘여성문학’의 복잡한 역학관계를 문제화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feminism literary discourse reflected in the ‘Female Literature Special’ of 『Munhakdongnae』 magazine, which was published in 1995. In 1995, the 『Munhakdongnae』 featured literary works of female writers who represented ‘new’ feminism in the ’90s. Literary discourse in the ’90s is often considered to have formed its own literary history, distinguishing itself from that of ’80s, the age of ideology. Based on this perspective, recent academic discourse critically reviews the literary discourse in the ’90s in terms of what characteristics ‘authentic’ literature should have. This article also shares the opinions of prior studies about the 90s, and critically examines how symbols such as ‘interiority’, ‘selfreferentiality’ and ‘everyday-ness’ that represent the ’90s, relate themselves with the ‘Female Literature Special’ of 『Munhakdongnae』. ‘Female Literary Discourse’ is recognized as the most active trend and as the newest pheno_ menon, and this article visualizes one of the examples that are established as being literary and aesthetic in the discourse of 90’s. So far, female literary discourse has been judged to be limited, in the sense that the discourse has not lasted continuously enough, throughout the years. In that sens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Female Literature Special’ of 『Munhakdongnae』, in an effort to analyze limitations and achievements on more diverse levels. It focuses on the point where ‘Female Literature’ was established and placed in the ground where the difference of opinions and critical strategies exist in the literary discourse in the ’90s, that are re-organized after democratization. The approach which is used in this article is to reduce the whole female literary discourse into a specific literary/critical discourse, and through this, the encounter of different period and critical strategies can be investigated further. In doing so, the feminism criticism which has been formed either accordingly or alienatedly are analyzed in details. Through this, the discussion regarding female literary discourse in the ’90s can become more active and the complicated dynamics of literary discourse and female literature will be brought up as an issue.

      • 국내외 전기자동차 화재 실험 연구동향 조사

        최가은(Ga-Eun Chae),박유경(You-Kyung Park),최준호(Jun-Ho Choi)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전 세계적으로 석유사용량 급증으로 인한 연료 부족 사태와 내연기관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출로 인해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많은 나라들이 친환경 정책의 일환으로 내연기관 자동차의 배출가스 규제를 강화하면서 하이브리드자동차, 전기자동차, 수소자동차 등 친환경 자동차 개발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친환경 자동차 시장에서는 전기자동차의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는데 현재 52%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Sun et al., 2020) 전기자동차의 증가와 더불어 전기자동차 화재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어 그 위험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례연구와 문헌조사를 통해 전기 자동차 화재 원인을 분석하고 실험연구 동향을 정리하였다. 전기자동차 화재는 정지 상태에서의 자연발화, 충전 중 과충전으로 인한 발화, 교통사고와 같은 고속충돌로 인한 충격이 대표적인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주요 원인으로는 리튬 이온 배터리(LIB)의 열과 가스의 배출, 열충격, 기계적 충격, 전기 남용으로 정리할 수 있다. (Lecocq et al., 2012) 대부분의 전기 자동차 화재 위험은 LIB와 연관되어 있어 미국, 스웨덴, 중국 등에서는 사고사례를 바탕으로 관련 이론 연구와 표준메뉴얼에 따른 실물실험을 통한 화재 위험 평가를 실시하였다. 국내에서도 전기자동차의 화재 성상 실험 및 LIB 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Lim, 2021) 다만, 국내외 공통적으로 전기 자동차 화재 메커니즘 및 화재 진압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것으로 근본적인 화재 예방에 관한 연구 뿐만 아니라 건축물에 의무적으로 설치되는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와 완속충전기가 설치되는 주차장의 설치기준 등에 대한 연구도 뒤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헝가리의 비자유민주주의와 경제위기 프레이밍

        최가은(Ga-eun CHOE),최진우(Jinwoo CHOI) 한국세계지역학회 2023 世界地域硏究論叢 Vol.41 No.1

        본 연구는 비자유민주주의를 표방하는 헝가리 집권정당 피데스의 지지기반을 분석한다. 피데스는 2014년 비자유민주주의를 공식적으로 선언했고, EU의 핵심가치를 훼손하며 본격적으로 EU와 충돌했다. 그럼에도 피데스는 2022년 총선까지 압도적인 지지율로4 연임에 성공했다. 한편 헝가리 대중들은 민주주의 원칙을 지지하며 자국 정부보다 EU를더 신뢰한다. 이와 같은 모순적 현상은 민주주의 원칙보다 경제위기에 대한 대중들의 위협감이 크게 자극된 결과다. 본 연구는 경제적 위협감을 해소해줄 강력한 정당이 출현하면대중들이 민주주의 원칙을 희생하면서도 그 정당을 지지할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의미를 가진다. This study analyzes the rising support of Fidesz, a national-conservative political party that declared Hungary an illiberal democratic state in 2014. Although objectives of Fidesz are in opposition with the core values of the European Union (EU), Fidesz has succeeded in re-elections for four consecutive terms with overwhelming approval ratings until the 2022 general election. Despite the Fidesz Party’s high approval ratings, evidence shows that many Hungarian patrons favor democratic principles engraved in the EU rules and norms. This seeming contradiction is the result of the public’s growing concerns in resolving the economic crisis more than upholding liberal ideals. Fidesz kept framing a series of challenges such as global economic crisis, refugee crisis, the war in Ukraine in terms of economic threat and won discursive war with opposition parties.

      • KCI등재후보

        산소투과도를 달리한 MA 필름으로 포장한 딸기 '매향'의 모의 수출 조건에서 품질 고찰

        윤혁성,최인이,한수정,김주영,최가은,윤재수,강호민,Yoon, Hyuk Sung,Choi, In-Lee,Han, Su Jung,Kim, Ju Young,Choi, Ga Eun,Yoon, Jae Su,Kang, Ho-Min 한국포장학회 2017 한국포장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딸기(cv. 'Maehyang')의 모의 선박 수출 온도조건($2^{\circ}C$(10일${\sim}8^{\circ}C$(11일))에서 MA 저장에 적합한 고 산소투과율(OTR) 필름 종류 구명과 이에 따른 품질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MA 저장 처리는 산소투과율이 각각 1,300, 10,000, 20,000, 그리고 $30,000cc/m^2{\cdot}day{\cdot}atm$ OTR 필름으로 하였고, 관행 유통 처리는 유공 필름으로 포장한 대조구로 두었다. 저장 중 생체중 감소율은 유공 필름을 제외한 모든 MA 저장 처리에서 0.5% 미만이었다. 포장 내 이산화탄소와 산소 농도는 10,000 cc, 20,000 cc, 그리고 30,000 cc OTR 필름에서 딸기의 적정 CA/MA 조건(이산화탄소 15~20%, 산소 농도 5~10%)을 유지하였다. 에틸렌 농도는 처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취는 1,300 cc OTR 필름은 관능 평가를 통해 높은 이취와 가장 낮은 곰팡이 발생률을 보였다. 경도, 당도, 그리고 외관상 품질은 10,000 cc OTR 필름에서 가장 높게 유지되었다. 결론적으로, 10,000 cc OTR 필름은 가장 높은 품질과 관행 유통 조건보다 저장 수명을 13일 정도 연장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ypes of oxygen transmission rate (OTR) films suitable for modified atmosphere (MA) storage treatment of strawberries (cv. 'Maehyang') for export and examination related changes in quality of strawberries during simulated shipping distribution conditions ($2^{\circ}C$ for $10days{\sim}8^{\circ}C$ for 11 days). Strawberries were packed by 1,300, 10,000, 20,000, and $30,000cc/m^2{\cdot}day{\cdot}atm$ OTR films for MA storage treatment and perforated film as the control for MAP. Fresh weight loss rate was less than 0.5% in OTR films except for the perforated film. Carbon dioxide and oxygen content in packages prevailed in permissible range for strawberries under recommended CA/MA conditions (i.e., $CO_2$: 15~20%, $O_2$: 5~10%) at 10,000 cc, 20,000 cc, and 30,000 cc OTR films. Ethylene content in OTR films did not reveal significant differences during storage. The 1,300 cc OTR film revealed highest off-flavor and lowest fungal incidence rate by sensory evaluation. The firmness, soluble solids, and visual quality were preserved the highest at 10,000 cc OTR film. In conclusion, 10,000 cc OTR film preserved the highest quality and extended shelf-life by 13 days if compared with conventional distribution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