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관리적 네트워킹의 다방향성과 교육성과: 젠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채선화 ( Chae Seonhwa ),김인태 ( Kim Intae ) 한국행정학회 2021 韓國行政學報 Vol.55 No.1

        본 연구는 관리적 네트워킹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관리자의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최근 여성 고위관리자의 비율 증대는 정부의 주요 정책으로 추진되어 왔다. 그럼에도 고위 관리직의 성별 차이가 그들의 관리행태와 함께 어떤 차이를 나타낼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들은 미흡하였다. 이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이 연구는 먼저 최고관리자의 네트워킹 관리 방향을 대상에 따라 세분화하였다. 그리고 각 네트워킹에 대한 교육조직의 산출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관리자 성별의 조절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조직 외부, 공동생산자, 내부구성원에 대한 관리적 네트워킹은 성과에 다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부구성원을 제외한 대상과의 네트워킹에서 관리자 성별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적 맥락에서 획일적인 예산규정, 관리자들이 마주하게 되는 상이한 관리환경, 이해관계자의 기대 등에 기반하여 해석되었다.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has expected to increase the number of top female managers in the public sector, but there is little empirical research on managerial gender.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gendered networking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particular, we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veral directions of managerial networking behavior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using school data in Seoul. Empirical evidence shows that managerial gender moderates the impact of outward- and sideward-oriented managerial networking on educational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internally oriented networking is positively linked with educational performance regardless of the principal’s gender. These findings may be interpreted in the contexts of the uniformity of the ruling of budget regulations, the environment, and the expectations of stakeholders. Additionally, interaction theory supports the link between internally oriented networking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 KCI등재

        팬데믹 시기의 미디어에 대한 신뢰와 정책순응 -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채선화 ( Seonhwa Chae ),이재용 ( Jaeyong Lee ) 한국정책학회 2023 韓國政策學會報 Vol.32 No.3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으로 시작된 팬데믹은 관련 정책 집행의 시급성을 높이면서, 시민의 자발적 정책순응도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하게 하였다. 한편, 소셜미디어 등 뉴미디어를 통한 부정확한 정보의 확산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적 보건 위기 상황에서 시민이 뉴미디어를 통해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정부의 대응정책에 대한 자발적 순응 정도를 다르게 할 수 있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정부에 대한 신뢰가 예측된 부정적 관계성을 완화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뉴미디어와 백신 관련 정책순응 사이에 부정적(-) 관계성이 확인되었고, 정부신뢰가 이를 완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한국에서 정부가 뉴미디어에 대한 잠재적인 부정적 효과에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The COVID-19 pandemic requires the government to implement urgent public policies by the government, making it crucial to achieve a high level of voluntary policy compliance during a massive health crisis. Simultaneously, the dissemination of non-accurate information through online-based new media, including social networking sites (SNS), has fueled social issue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using new media as the primary information source and voluntary compliance with COVID-19-related policies. Additionally, this research statistically tests the moderating effect of government trust.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with survey data collected from South Korea suggest the possibility of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obtaining pandemic information from new media and voluntary compliance with government vaccine-related policies. Moreover, the statistical tests indicate that government trust might mitigate the adverse effects of using new media, including exposure to fake news. These results may imply that government trus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maintaining a high level of voluntary compliance of citizens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policies even if there are side effects of new media.

      • KCI등재

        토끼 망막에서 NMDA에 의한 아포프토시스의 발현

        박용욱,채선화,이지웅,권오주,신재필,전창진,김시열,Yong Wook Park,Sun Hwa Chae,Ji-Woong Lee,Oh Ju Kwon,Jae Pil Shin,Chang Jin Jeon,Si Yeol Kim 대한안과학회 2008 대한안과학회지 Vol.49 No.7

        Purpose: To evaluate the involvement of apoptosis in N-methyl-D-aspartate (NMDA)-induced excitotoxicity in the rabbit retina. Methods: After intravitreal injection of 680 and 2,000 nmoles of NMDA in rabbit eyes, the eyes were enucleated at 2, 16, and 60 hours and 1 and 2 weeks. The apoptotic cell death was determined with TdT-mediated biotin-dUTP nick end labeling (TUNEL) stain,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s of Bcl-2, Bax, and caspase-3 were performed. Results: TUNEL showed increased labeling scattered in the ganglion cell layer and inner nuclear layer from 16 to 60 hours. The number of TUNEL-positive nuclei decreased at 60 hours, and none was observed at 2 hours, 1 week, and 2 weeks. More TUNEL-positive nuclei were seen with injection of 2,000 nmoles compared to 680 nmoles. Bcl-2, Bax, and caspase-3 were seen histologically as early as 2 hours in the ganglion cell layer and inner nuclear layer; there was no stained nuclei with the TUNEL stain. At 2 hours after intravitreal NMDA injection, Bcl-2, Bax, and caspase-3 were also stained in Müller cells.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apoptosis is involved in NMDA-induced excitotoxicity in the rabbit retina. Bcl-2, Bax, and caspase-3 may play important roles in modulating the apoptosis in NMDA-induced excitotoxicity, and Müller cells are involved in the apoptotic pathway. J Korean Ophthalmol Soc 49(7):1146-1153, 200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