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21년 국내외 석재산업 동향 분석

        채광석,박기형,구남인,천정화,양희문 한국광물학회 2024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37 No.1

        2021년 세계 석재 생산은 162,500천 톤으로 전년도 155,000천 톤과 비교하여 7,500천톤, 4.8% 증가했다. 석재 생산 순위는 중국, 인도, 튀르키예, 브라질, 이란 및 이탈리아 순서로 나타났으며 상위 6개 국가에서 전 세계 석재 생산량의 72.8%를 생산했다. 석재 수출은 전년도 19,370백만 USD와 비교해 2,310백만 USD 증가한 21,680백만 USD로 나타났다. 원료 및 가공석재 무역은 전년도 51,430천 톤과 비교하여 2,975천 톤 증가한 54,405천 톤으로 나타났다. 골재 수출액은 전년도 천연석 19,370백만 달러, 인공석 10,930백만 USD와 비교하여 천연석은 2,310백만 USD 증가하고, 인공석은 2,660백만 USD 증가해 각각 21,680백만 USD, 13,590백만 USD로 나타났다. 석재(Code: 68.02) 평균 가격은 전년도 2020년 729.62 USD/ton과 비교하여 65.2 USD/ton 증가한 794.82 USD/ ton로 나타났다. 또한 건축 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가공석재 가격은 전년도 39.44 USD/m2와 비교하여 3.52 USD/ m2 증가한 42.96 USD/m2로 나타났다. 총채석량은 333,500천 톤(100%), 완제품은 96,000천 톤(28.8%), 석재채취및 가공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이 237,500천 톤(71.2%)으로 석재폐기물에 대한 재활용 문제가 꾸준히 발생하였다. 우리나라 석재 수출액은 전년도 3,195천 USD와 비교하여 38.3% 감소한 1,972천 USD로 나타났다. 반면에 수입액은 전년도 698,496천 USD와 비교하여 8.6% 증가한 758,868천 USD로 나타났다. 2025년 세계 석재 무역량은66,100천 톤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고, 석재 사용량은 108,920천 톤, 20억 m2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World stone production in 2021 stood at 162.5 million tons, up by 7.5 million tons, or 4.8 percent,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when the production came in at 155 million tons. Six top countries with the most of stone production were China, India, Turkey, Brazil, Iran and Italy and these six countries accounted for 72.8 percent of total production in the world. Stone exports stood at $21.68 billion in 2021, up by $2.3 billion from the previous year. Exports of raw materials and processed stones stood at 54.4 million tons, up by 2.98 million tons from the previous year. In terms of aggregate exports, exports of natural stones increased by $2.3 billion to $21.7 billion while exports of artificial stones rose $2.6 billion to $13.6 billion in 2021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e average price of stone (Code: 68.02) was up by $65.2 per ton to $794.82. The price of board, processed stone, an ingredient for building materials, increased by $3.52 per square meter to $42.96 per square meter. Recycling was always the problem as the volume of the total quarry was 333.5 million tons, of which only 28.8 percent were finished products and the remaining 71.2 percent were waste generated from stone extraction and processing. Korea’s stone exports stood at $1.97 million in 2021, down 38.3 percent on year, while imports were up 8.6 percent to $758.9 million. Stone exports are expected to grow to 66.1 million tons in 2025, while usage is expected to reach 108.92 million tons, or 2 billion square meters.

      • KCI등재

        감압증류에 의한 굴참나무 바이오오일의 연료 특성 변화

        채광석,조태수,이수민,이형원,박영권 한국유화학회 2016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3 No.1

        급속열분해 기술은 바이오매스를 수송용 연료와 고품질의 석유화학 생산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바이오오일을 만드는 유망한 수단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기대에도 불구하고 연료와 석유 화학 생산물의 상업성은 바이오오일의 높고 잘 변하는 점도, 많은 수분과 산소 함량, 낮은 발열량 및 산 성도와 같은 상당히 바람직하지 않은 특징 때문에 한계가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가압증류를 통해 바 이오오일의 품질 개선을 목표로 수행하였다. 가압증류에 따른 바이오오일의 특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 여 0.8~1.4 mm 크기의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시료 600 g을 465℃에서 1.6초 동안 급속열분해 하여 바이오오일을 제조하고, 감압증류(100hPa) 온도는 대조구, 40℃, 50, 60, 70 및 80에서 각각 30분 간 처리하였다. 급속열분해를 통해 생산된 바이오오일, 바이오차 및 가스는 각각 62.6 wt%, 18.0 및 19.3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도별로 생성된 바이오오일은 수분함량 0.9∼26.1 wt%, 점도 4.2∼11.0 cSt, 발열량 3,893∼5,230 kcal/kg 및 pH 2.6∼3.0 수준으로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바이오오일 품 질개선에도 불구하고 점도는 반대로 증가했으며 여전히 높은 산소 함량, 낮은 발열량 및 산성도 때문에 바이오오일을 실용적인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품질 개선이 필요하다. The technology of fast pyrolysis is regarded as a promising route to convert lignocellulose biomass into bio-oil which can be upgraded to transportable fuels and high quality chemical products. Despite these promises, commercialization of bio-oil for fuels and chemicals production is limited due to its notoriously undesirable characteristics, such as high and changing viscosity, high water and oxygen contents, low heating value and high acidity. Therefore, in this study quality improvement of bio-oil through vaccum distillation had been targeted. A 600 g of cork oak(Quercus variabilis) which grounded 0.8∼1.4 mm was processed into bio-oil via fast pyrolysis for 1.64 seconds at 465℃ and temperature of vaccum distillation(100hPa) was designed to control, 40℃, 50, 60, 70, and 80 for 30min. Bio-oil, biochar, and gas of pyrolytic product were produced to 62.6, 18.0 and 19.3 wt%, respectively. The water content, viscosity, HHV(Higher Heating Value) and pH of bio-oil were measured to 0.9∼26.1 wt%, 4.2∼11.0 cSt 3,893∼5,230 kcal/kg and 2.6∼3.0, respectively. Despite these quality improvement, production was still limited due to its notoriously undesirable characteristics, therefore continous quality improvement will be needed in order to use practical fuel of bio-oil.

      • 밭농업의 쟁점과 발전방향

        채광석,김홍상,이용선,김경필,국승용,문한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정포커스 Vol.- No.-

        ◦ 밭농업이 농업의 주요 소득원으로 부각되면서 밭이 농업의 핵심자원으로 인식되고 있어 경쟁력 강화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음 - 벼농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득이 높은 밭작물 재배가 늘면서 농작물수입 중 미곡 외 수입 비중이 2000년 54.2%에서 2013년 72.7%까지 증가 - 한·중 FTA 추진과 관련하여 밭농업 경쟁력 강화 중요성이 강조 - 밭농업 문제를 단순히 한·중 FTA 대응을 넘어서 우리 농업의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는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 ◦ 밭농업의 핵심 쟁점과 문제 - 밭농업은 구조적으로 재배 규모가 영세하고, 중산간지에 분산 입지 및 소량·다품목 생산 등으로 논농업에 비해 기반정비 상태가 열악하고 조직화의 비중이 낮아 경쟁력 향상에 한계 - 밭작물 생산기반을 조성하여 소득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목적인 밭기반정비사업 실적은 전체 밭면적의 14% 수준에 불과하고, 이마저도 예산지원체계가 전환(농특→광특)된 이후 추진실적이 저하 - 밭농업 관련 정부정책도 지금까지 정부주도의 획일적 정책 추진, 조급한 성과 실현 방식의 정책 추진 등으로 지역별 자생적 노력을 약화시키는 문제가 발생 ◦ 밭농업 발전방향과 과제 - 농산물 소비감소 추세를 고려하여 고부가가치 상품생산으로 전환 및 밭농업 중 국내농가와 연계성이 높은 품목을 중심으로 수출 주력상품 육성 - 주산지 중심으로 농업인 간, 지역 간 협력을 통한 조직화를 통해 스스로 정비유형을 결정토록 함 - 밭기반정비사업 목표면적을 11만 ㏊에서 25만 ㏊ 수준으로 확대함. 다만, 이 경우 기반정비 대상 모두를 밭기반정비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은 아니고 해당 지역 농업인의 조직화와 지역적 수요에 기초하여 구체적 사업대상 지역으로 편입 - 기존 밭기반정비사업 등은 광특으로 계속 시행하고, 주산지 등 일정 기준을 충족시 일시적으로 농특사업으로 전환 - 정부는 정책사업 메뉴만 제시하고 지자체와 지역의 농업인 조직이 스스로 사업메뉴를 선택하는 상향식 지역 특화정책을 추진함. 정부는 신품목·국내외시장 모니터링 및 전망 정보 제공 체계 구축

      • KCI등재

        농지가격 변동요인에 관한 실증 분석

        채광석 한국농업경제학회 2007 農業經濟硏究 Vol.48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factors affecting farmland prices in Korea. This paper performs a panel data analysis of farmland price determination processes involving both fundamental and non-fundamental factors. Unlike previous studies, we make use of individual farmland-level cross-sectional data. The data are categorized by area, agricultural development area, outside of agricultural development area, and area designated for development.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mpirical evidence revealed that the effects of rice price on farmland prices are large in agricultural development area compare to other areas. Second,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effects of farmland rent on farmland prices are largest in agricultural development area among all areas. Third, interests rate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farmland prices. Forth, we also found that non-fundamental components(e.g., development possibility) play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farmland prices. 및 정책적 함의도시화, 산업화의 진전은 비농업부문의 토지수요를 증가시켰다. 이에 따라 농지의 실질지가는 사용가치를 훨씬 상회하는 수준으로 결정되고 있으며 그 격차는 점점 커지고 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농지가격의 상승은 농업생산에 있어 농지자원의 배분과 이용질서를 왜곡시킬 뿐 아니라 농지에 대한 투기적 수요를 유발하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농업수익가치와 관련된 토지 생산성 변수뿐만 아니라, 비농업수익과 관련 있는 사회적 요인, 경제적 요인, 행정적 요인 변수 등을 함께 고려한 농지가격 결정 분석이 필요하다.본 연구에서는 농업수익가치뿐만 아니라 비농업수익가치도 고려한 농지가격 결정모형을 실증분석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향후 쌀가격과 같은 농업수익가치의 변화에 농지가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예측함으로써, 농업정책 수립에 있어서 적지 않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 농지의 미래개발 가능 여부(농업진흥지역, 농업지역 밖, 개발예정지역)의 차이에 따라 어떻게 농지가격이 차별화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비농업수익가치의 농지가격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될 수 있다.첫째, 향후 국내 쌀가격 하락시 농업진흥지역 여부와 개발예정지역 여부에 따라 농지가격의 하락폭이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앞에서 논의한 농지가격의 비농업수익가치와 관련이 있는데, 비농업수익가치가 높은 지역일수록 농업수익요인의 변화에 따른 농지가격 변화 비율이 낮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둘째, 임차료의 경우, 모든 모형에서 양의 파라미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임차료 변화에 따른 농지가격의 변화는 쌀가격과 마찬가지로 농업진흥지역 여부와 개발예정지역 여부에 따라 다르게 추정되었다. 셋째, 금리가 상승할 경우 농지가격의 하락이 예상된다. 넷째, 개발가능 면적 비율이 높을수록 농지가격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른 지역보다 개발 가능성이 높은 지역(농업진흥지역 밖 혹은 개발예정지)일수록 농지가격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농업진흥지역의 지정은 농지가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강력한 규제수단이 될 수 있다. 이는 농가 자산가치의 상대적 상승을 억제하여 농가경제에 매우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농업진흥지역 농경지를 대상으로 하는 최우선적인 농업지원 정책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초로 시도된 전국 개별농지 거래시세 자료를 이용한 실증적 연구로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쌀 시장 개방이 국내 농지시장에 미치는 효과를 예측함으로써 정부의 농지 정책 수립에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그러나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과제로는 다음과 같다. 개별농지에 대한 임차료 자료가 구축되지 못하여 엄밀한 의미의 패널자료 분석이 이루지지 못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개별농지의 임차료에 대한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보다 엄밀한 분석이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론적으로 예상되는 농지가격 변화와 실증분석 결과에 따른 농업수익요인 및 비농업수익요인에 의한 농지가격의 변화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 것은 의미있는 추후 연구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