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Research of Power-Efficient Driving Scheme for Auto-Focus on Image Sensor Module

        차상현,박찬우,이연중,황병원,권오조,박득희,권경수,이재신,황신환,Cha, Sang-Hyun,Park, Chan-Woo,Lee, Yuen-Joong,Hwang, Byoung-Won,Kwon, Oh-Jo,Park, Deuk-Hee,Kwon, Kyoung-Soo,Lee, Jae-Shin,Hwang, Shin-Hwan Institute of Control 2009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5 No.12

        We present a power-efficient driving scheme that consists of piezoelectric actuator and driver IC for AF (Auto-Focus) on ISM (Image Sensor Module). The piezoelectric actuator is more power-efficient than conventional voice coil motor actuator. And high power-efficiency driver IC is designed. So the proposed driving scheme using designed piezoelectric actuator and driver IC is more close to recent trend of green IT. The diver IC should guarantee fast and accurate performance. So, the optimum driving method and high accurate frequency synthesizer are proposed. The die area of designed driver IC is $2.0{\times}1.6mm^2$ and power consumption is 2.8mW.

      • KCI등재

        컨테이너터미널에서 On-Dock 시스템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차상현(Sang-Hyun Cha),노창균(Chang-Kyun Noh)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9 No.1

        최근 컨테이너터미널에서 물량유치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선사가 컨테이너터미널을 결정하는 요소는 입지조건, 하역능력, 보관, 운송에 연계된 모든 요소들에 사항을 참조하여 선사에게 유리한 조건의 컨테이너터미널을 선별 선택한다. 컨테이너터미널의 On-Dock 서비스 가능 여부 또한 선사가 컨테이너터미널을 선택을 결정짓는 요소의 한 부분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On-Dock 시스템의 업무적 알고리즘, 엠 티 컨테이너 반출 알고리즘, 풀 컨테이너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On-Dock 시스템을 이용하여 작업 우선 순위 알고리즘, 출입 작업 우선순위 알고리즘, 엠티 컨테이너 야드 장치 할당 규칙 알고리즘을 통해서 컨테이너를 자동 할당 방식과 수동 할당 방식을 이용해서 컨테이너 반출 시간 및 컨테이너터미널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알아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반출 컨테이너 우선순위 지정 및 장치장의 블럭을 지정하여 반출 컨테이너 할당을 제어 한다. 즉, 최적 컨테이너 선정 알고리즘을 통해서, 컨테이너터미널은 엠티 컨테이너 반출 시간을 줄이고, 야드의 컨테이너에 대해서 불필요한 리핸들링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장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Non On-Dock과 On-Dock 시스템의 작업 운영 결과는 실제 광양컨테이너터미널에서 운영되고 있는 반출 작업 운영(시나리오) 형태를 이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광양컨테이너터미널에서 On-Dock 시스템을 적용하게 되며, Non On-Dock 시스템을 적용 할 때 보다 시간이 약5분 정도 신속하게 반출이 가능하다. On-Dock 서비스를 이용하여 선사에서 수출 오더를 관리하기 위해서 엠티 컨테이너를 배정 하고, 수입 화물에 대해서는 D/O를 관리하며 반출 후 회수 관리와 컨테이너의 손상, 청소, 수리, 제어 등의 서비스를 지원하므로 대외 선사 서비스를 강화하여 컨테이너터미널 물량 유치 및 영업 증대를 꾀할 수 있을 것이다. These days Container Terminals are focusing on increasing the quantity of containers and shipping lines choose Terminals by referring to the key elements of a terminal to perform the overall operation the fastest such as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discharging ability, keeping environment, and other elements related to shipping in general. Container terminal is able to offer On-Dock service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for shipping lines to choose that terminal.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for On-Dock system work algorithm, the algorithm Empty container exports, Full Container algorithm and The aim of our study focus on both container's gate out time and search for the effective terminal operation which is using the general On-Dock system through several algorithm like container batch priority, gate in and out job priority and empty container yard equipment allocation rule based on the automatic allocation method and manual allocation scheme for container. Gathering these information, it gives the priority and yard location of gate-out containers to control. That is, by selecting an optimum algorithm container, container terminals Empty reduces the container taken out time, it is possible to minimize unnecessary re-handling of the yard container can be enhanced with respect to the efficiency of the equipment. Operations and operating results of the Non On-Dock and On-Dock system is operated by the out work operations (scenarios) forms that are operating in the real Gwangyang Container Terminal derived results. Gwangyang Container terminal and apply the On-Dock system, Non On-Dock can be taken out this time, about 5 minutes more quickly when applying the system. when managing export orders for berths where On-Dock service is needed, ball containers are allocated and for import cargoes, D/O is managed and after carryout, return management, container damage, cleaning, fixing and controlling services are supported hence the berth service can be strengthened and container terminal business can grow.

      • KCI등재

        본선 플래닝 패턴이 컨테이너터미널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차상현(Sang-Hyun Cha),노창균(Chang-Kyun Noh) 한국무역연구원 2021 무역연구 Vol.17 No.1

        Purpose Recently, as the volume of goods transported by container terminal has increased or decreased due to the large size of the vessels, the container terminal has been required a lot of investment time in Planner according to the large size of the vessels. Accordingly, How much can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lanning and work operation at the vessel is understood as important element improving the productivity and the efficiency of the equipment in the container terminal. Design/Methodology/Approach In this study, I suggested suitable loading and discharging planning basic pattern according to actual statu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tainer terminal and analyzed the effect influencing to the productivity of terminal when the Planner applying loading and discharging planning patterns at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tainer terminal actually operating. Findings The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basic pattern of vessel loading and discharging planning with similar patterns of the vessels loading and discharging planning, the productivity of GP(Gross Productivity) and NP(Net Productivity) which are productivity indicators at domestic and international the container terminal can be a little more increased when the Planner planning using loading and discharging planning basic pattern. Research Implications In this study, the basic patterns of vessel loading and discharging planning were presen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actual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tainer terminals. In addition, The basic patterns of vessel loading and unloading planning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similar patterns of vessel loading and unloading planning, and the effect on handling time and productivity of the vessel was analyzed and presented.

      • KCI등재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생산성 향상을 위한 이송장비 풀링시스템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차상현(Sang-Hyun Cha),노창균(Chang-Kyun Noh)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8 No.4

        Due to the increase of container terminals, as the volume of terminals become distributed, the competition of preserving existing volume and inviting new volume are becoming fierce, and various ways for processing terminal volume and inviting volume are being sought. Container terminal efforts to maximize efficiency in order to improve the volume handling capability and productivity by both expansion of the latest equipment and development of the latest terminal system. There are a variety of factors that influence th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at container terminals. Among them, in the case of yard transfer equipment, if it were to convert from the method of a Yard Tractor(YT) being fixed allocated to a certain Gantry Cranes(GC) to a Pooling System that processes in a method that properly distributes and allocates a Yard Tractor(YT) to multiple Gantry Cranes(GC), the terminal productivity and the fusibility of YT may be increased. The KPI which is an indicator for the productivity at container terminals is GC productivity and since GC productivity cannot exceed the speed of physical GC operations, a Pooling System is applied to increase productivity which its meaning and effect is massive. Here in the Report, we produce the Pooling Algorithm system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transported equipments in container terminal which is actually applying for this method and have compared Non pooling system with Pooling system in the fields. By introducing a transfer equipment pooling system and enhancing the productivity compared to other terminals, it may become an essential factor for increasing the continuous service quality and profitability in terms of terminal business. 컨테이너터미널의 증가로 터미널 물량이 분산되어 기존 물동량 보존과 새로운 물동량 유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이에 터미널 물동량 처리 능력과 유치에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컨테이너터미널은 물동량처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최신 장비 확충과 최신 터미널 시스템 개발을 통해 터미널의 생산성 향상과 효율성 극대화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 향상에 영향을 줄수 있는 요인은 다양하게 존재 한다. 그중 야드 이송장비의 경우, 특정 선석크레인(GC, Gantry Crane)에 야드 트랙터(YT, Yard Tractor)가 고정 할당되는 방식에서 다수 선석크레인(GC, Gantry Crane)에 야드 트랙터(YT, Yard Tractor)가 적절하게 분산 할당 방식으로 처리하는 Pooling System으로 전환하게 되면 터미널 생산성과 YT의 가용성을 높일 수 있다.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생산성 지표가 되는 KPI는 GC 생산성이고 GC 생산성은 물리적인 GC 작업 속도를 넘어설 수 없기에 Pooling System 적용하여 생산성을 높이는데 의미와 효과는 크다. 본 논문에서는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생산성 향상을 위해 이송장비 운영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Pooling System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실제로 컨테이너터미널에 적용하여 Non Pooling System과 Pooling System 생산성을 비교하였다. 이송장비 풀링시스템을 도입하여 타 터미널에 비해 생산성을 향상함으로써 터미널 비즈니스에 있어 지속적인 서비스 질과 수익성 향상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될 수가 있다.

      • KCI등재
      • 2009 개정 중학교 과학교과서 물리 영역에서의 창의성 문항 분석 연구

        차상현 ( Sang-hyun Cha ),류광수 ( Kwang-su Ryu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전 학년 물리영역 단원에서의 창의성 문항 분석을 수행하였다. 창의성 문항을 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창의성 요소들의 분포가 고르지 않았으며, 그중에서도 융통성에 해당하는 문항이 많았고 독창성의 문항이 가장 적었다. 교과서별로는 이 분포는 약간씩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과학교과서 구성 요소에 따른 창의성 문항 분포는 살펴본 결과 탐구나 읽을거리보다는 평가 문항에 많은 수의 창의성 문항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새로운 교육과정의 교과서는 창의성 문항이 탐구에 더 많이 포함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creativity items in the physical science section of the 2009 revised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tems of creativity, it was found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creativity factors was uneven in the whole, especially, there were many items in flexibility and the items of originality were the least. By the textbooks, this distribution was slightly different.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the creativity items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the science textbooks showed that a large number of creativity items were included in the evaluation items rather than the inquiry or reading. The textbooks of the new curriculum seem to require the creativity items to be included more in the inquiry.

      • KCI등재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안전교육이 사고에 미치는 영향 분석

        차상현(Sang-Hyun Cha),노창균(Chang-Kyun Noh) 한국항해항만학회 2016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0 No.4

        우리나라는 수출ㆍ입 물동량의 대부분을 해상수송에 의존하고 있는 입장에서 예기치 못한 안전사고 등으로 컨테이너터미널의 정 상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고 신뢰성에 문제가 되어 신규 물량 유치 및 기존 물량 유지에 타격을 받게 될 가능성도 제기 된다. 이에 컨테이 너터미널에서는 365일 고객에게 최상의 서비스 질을 제공하기 위해서 항만근로자의 적극적인 업무 대처와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결과 항만근로자들에게 과중한 업무의 부담이 전가되어 안전사고가 매년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광양항 A 컨테이너터미 널의 2012년부터 2015년 재해현황을 분석하고, 안전사고 교육 미비 상태와 안전사고 교육을 꾸준히 실행 했을 때 컨테이너터미널의 안전사고 현황을 분석하였다. 장비별 안전사고 분석결과 GC 경우 교육 전 2012년 45건, 2013년 31건이 발생했으며, 교육준비 과정 2014년 23건, 집중 교육 기간 2015년에는 8건이 발생하였다. TC 경우 교육 전 2012년 13건, 2013년 19건이 발생했으며, 교육준비 과정 2014년 12건, 집중 교육 기간 2015년에는 8건이 발생하였다. YT 경우 교육 전 2012년 9건, 2013년 9건이 발생했으며, 교육준비 과정 2014년 9건, 집중 교육 기간 2015 년에는 4건이 발생하였다. 컨테이너터미널의 안전교육은 법정 교육, 자체 교육과 장비별 안전 수칙 교육이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안전사고에 미치는 영 향이 크게 나타남에 따라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해서 안전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Our country, which relies on maritime transport a majority of import and export trade volume and faced with unexpected accidents,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 normal function of container terminal. It also caused by reliability issue raised is likely to be given a blow to the new volumes to attract and maintain existing volumes. Under this views, the container terminal is a situation that highlights the role of the harbor workers and cope with aggressive work to provide the best quality services to customers 365 days. On these grounds, the heavy work burden is passed on to the harbor workers and caused accidents every year. The study was analyzed the safety status of the container terminal under the real following the conditions as disaster status analysis, insufficient safety training circumstances and safety training from 2012 year to 2015 in the target current K.Y terminal. As a result of equipments safety training analysis, it shows that 2012 year happened 45 cases and 31 cases in 2013 year until not practicing the training over the Gantry Crane equipment. One hand 23 cases took place in 2014 while preparation training and the other intensive training period of 2015, 8 cases occurred. it shows that 2012 year happened 13 cases and 19 cases in 2013 year until not practicing the training over the Transfer Crane equipment. One hand 12 cases took place in 2014 while preparation training and the other intensive training period of 2015, 8 cases occurred. it shows that 2012 year happened 9 cases and 9 cases in 2013 year until not practicing the training over the Yard Tractor equipment. One hand 9 cases took place in 2014 while preparation training and the other intensive training period of 2015, 4 cases occurred. Because safety training of the container terminal was given to greatly impact on the mandatory safety training, self-educational enforcement and specified equipments safety training, hence the container terminal is to strengthen the safety education to prevent accidents in advance.

      • KCI등재

        컨테이너터미널 장치장에서 무선네트워크 LTE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차상현(Sang Hyun Cha),노창균(Chang Kyun Noh) 한국항해항만학회 2016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0 No.1

        세계 주요 항만간 물류중심 기지화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세계 물류중심지로 선점 또는 우위를 차지하기 위하여 타 항만보다 유리한 물류 장비의 첨단화와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선진 항만을 구축하는데 있다. 물류 장비와 자동화 시스템을 연결 시키는 방법은 기존 컨테이너터미널에서는 컨테이너가 이동 할 때 정보 교환을 802.11 무선 규격 망을 구성하여 무지향성,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하게 되는데 컨테이너 적재 높이가 높은 경우 사각지역이 발생하며, 주파수 CH(Channel)이 한정되어 있어 타 터미널 혹은 인접 지역에서 주파수 CH을 사용할 경우에 중첩문제가 발생하여 컨테이너터미널 자동화 장비 운영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L사에서 제공한 LTE(Long Term Evolution)망을 구성하여 컨테이너터미널의 자동화 장비 운영 데이터를 L사 LTE 기지국에 구성된 LBO(Local Breakout) 망을 이용하여 외부망이 아닌 직접 컨테이너터미널의 운영서버로 연결하는 네트워크 망을 구성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야드 자동화 장비들이 사각지역과 중첩문제가 발생 하지 않고 끊김 없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제 컨테이너터미널의 기존 무선랜 AP(Access Point) 구성과 신규 LTE 구성을 제시하고 실제 야드 자동화 장비에 적용하여 기존 네트워크 트래픽과 신규 LTE 구성, 네트워크 트래픽을 비교 분석 제시하였다. 무선네트워크 LTE 도입은 컨테이너터미널의 자동화 장비의 사각지역, 주파수 CH 한정과 중첩을 없애 터미널 운영을 효율적으로 관리가 가능하게 되어 업무효율성 제고 및 지속적인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될 수가 있다. Amid of the logistics hub center competition is going to intensifying between the world major port, it is essential to pre-occupied the base in the logistics hub world take advantage of advanced technology of logistics equipment than other ports. In existing container terminal, when container moves the terminal use the omnidirectional and directional antenna in order to exchange data information on the basis of 802.11 wireless network system. Case of loading height of exceeding, the blind sport will occur and a limited frequency channel can’t help using in the area. A limited frequency channel usage and nested areas happen to use the closed terminal, it has a great influence to operate the terminal working. In this paper, LTE network is configured provided by the specified company (‘L’ Corp,.Ltd) and terminal data extracted through LBO (Local Breakout) in the cell site which is configured directly with container terminal operation server. Using this method, container terminal yard equipment operate without overlapping arises with uninterrupted data presented for ways to efficiently. I would suggest both the existing wireless AP LAN configuration of container terminal and new LTE system and applied to the real yard operating devices situations. Through these methods presented comparative the existing network traffic with new constructed LTE configuration. I admired to suggest that wireless network LTE introduction is fundamental factors to get rid of the blind spot, the problem of limited frequency channel and overlapping arises. These essential points can be a continual improving terminal services and more efficient terminal operational management.

      • 서미스터 유속계 개발에 관한 실험적 연구

        차상현(Sang-hyun Cha),홍재훈(Jae-hun Hong),조지룡(Ji-ryong Cho),김형만(Hyoung-man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02 한국자동차공학회 지부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2 No.10

        This paper introduces a new approach to the measurement of low fluid velocities. A new type of anemometer uses a self-heated thermistor instead of a platinum hot-wire. The principle is based on hot-wire anemometer. To enhance the probe sensitivity to fluid velocity during reducing convection, the thermistor is kept at the lowest possible temperature. The heat removed from the thermistor is expressed by the characteristic function which depends not only on the fluid velocities but also on the fluid temperature. The cross-sensitivity of the probe to the fluid temperature is compensated. This process of temperature compensation and characteristic function makes accurate measurements possible with a simple configuration.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it is an exact and useful air flow measurement device.<br/>

      • KCI등재

        항만 게이트의 데미지 컨테이너 관리 자동화 시스템 구축 사례연구

        차상현(Sang-Hyun Cha),노창균(Chang-Kyun Noh) 한국항해항만학회 2017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1 No.1

        컨테이너 선박의 대형화에 따라 컨테이너터미널 내에서 동일한 시간 내에 처리해야 하는 물동량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컨테이너터미널에서는 수동처리 방식의 한계를 극복함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운영측면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컨테이너터미널의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왜냐하면 컨테이너터미널의 게이트 반출ㆍ입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수작업 처리 시 부정확한 자료 처리로 혼란 요소가 다소 발생하고 있다. 바코드 시스템에서 스캐너에 바코드를 직접 인식시켜야하기 때문에 처리 시간소요가 다소 길고 불편함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보안하여 게이트 자동화 시스템 RFID시스템은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반출ㆍ입 처리 소요시간 단축하여 효율적인 게이트 업무 수행을 할 수 있다. 한편, 데미지 컨테이너 체크를 수동으로 진행하는 경우 게이트 반입 할때 컨테이너의 손상여부 확인 후 수기로 게이트 작업자가 직접 문서을 작성하여 보관하기 때문에 고객이 데미지 컨테이너 증거자료를 요청할때 증거자료로 제출하기에 불충분하여 고객으로부터 크레임을 받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게이트 작업자 및 인력에 의한 컨테이너 관리의 어려움 발생하였고 게이트 주변 인력의 컨테이너 관리 안전사고에 위험이 항상 노출되어 있었다. 본 논문에서 고찰하는 게이트 데미지 컨테이너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 하게 되면 영상 저장 시스템에 의한 컨테이너 관리가 가능하다. 컨테이너 손상정보가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고객이 데미지 컨테이너 자료를 요청 시 시스템에 저장 되어 있는 데미지 컨테이너 영상을 검색하여 증거자료 제출이 가능하고 고객으로부터의 크레임 대비가 가능하다. 또한, 게이트 관리 인력 업무의 통합으로 인력 감소 및 게이트 부근 안전사고 위험이 감소하였다. As container Vessel have been getting larger, container terminal is also likely to grow, even though the growing volume should be handled under same time conditions as before. Container terminals are introducing an automation system in order to overcome limitations of existing manual methods and continuously reduce operating expenses. Manual handling of gate management for carrying in and out containers at container terminals causes inaccurate data, which has resulted in confusion. Barcodes should be scanned to the scanner of a barcode system, which takes quite long time and is inconvenient. A RFID system, a gate automation system, can solve these problems by reducing time of gate management with technology of detecting number plates, which makes operators efficiently perform gate management work. In the case that container damage is detected manually, gate operators make and keep documents on it manually, which are insufficient as evidence of proving container damage and result in customers’ claims. In addition, it is difficult for gate operators and other workers to manage containers and workers near gates are exposed to dangers of accidents. This study says that if the automation system of container damage at gates is introduced, containers can be managed by a video storage system. This video storage system has information on container damage in its system, which makes operators search necessary videos they need when customers request, which makes them prepare for customers’ claims. In addition, this system reduces necessary personnel and risks of accidents near gates by integrating a wide range of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