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문법 다시 쓰기 (3): 인용 표현의 횡적 구조 연구

        주세형 한국국어교육학회 2010 새국어교육 Vol.0 No.85

        New school grammar textbook should be described in the view of the whole Korean Education. For that reason the essential grammar curriculum should be embodied. This thesis has explored the horizontal structure of reported speech which would be worthy of structuring. First of all, the reported competence as a expression power was listed up in the 2007 National Curriculum. Then the knowledges in the grammar textbook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mpetence' criteria. Finally, I've argued that the grammar knowledges should be differently described in order to accomplish the overall Korean ability. 새로운 학교 문법 교과서는 국어 교과학 전체의 조망 하에서 새롭게 기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본질적 문법 교육과정’이 구상되어야 하며, 그 중 ‘횡적 구조’는 타 영역 지식으로의 전이 가능성을 탐색하는 방향에서 실현이 가능하다. 본고에서는 여러 문법 내용 중에서도 특히, 심도 있게 횡적 구조를 탐색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 ‘인용 표현’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표현의 힘으로서의 ‘능력’과,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지식’을 밝혔다.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인용 표현과 관련 있는 국어 능력을 추려내었고, 과연 현재 문법 교과서에서 제시된 지식들이 그러한 국어 능력을 달성해 낼 수 있는지 비판적으로 분석해 내었다. 그 결과, 인용 표현의 횡적 구조를 탐색하고자 할 때, 국어교육 전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능력을 실제적으로 교실에서 가르칠 수 있는 교육 내용으로 담아내기 위해서는, 기존의 학교 문법에서의 문법 지식을 이제까지와는 다르게 기술하여야 함을 역설하였다.

      • KCI등재

        국어과 읽기 평가 맥락에서 과학 지문의 특성 연구 :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영역(국어) 지문을 중심으로

        주세형,남가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scientific texts used in Korean reading assessment. For this purpose, total 36 scientific texts used in 1994~2015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Language Art) were analysed and then categorized with its characteristics. Before analysing texts, theoretical tool was designed based on Wang(1998), which had analysed contents of scientific history texts in textbook. On the contents level, scientific concept, process, context, and on the expression level, mainly paragraph were selected as key items for analysing texts. Using this theoretical tool, scientific texts used in CSAT has finally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s follows. Type ① is the text which has included scientific concept, process, context, and these contents have fitted in with paragraph structure, so it would be appropriate texts in Korean reading assessment and scientific education also. Type ② is the text which has mainly included scientific concept without process and context, and these abstract concepts have expressed with very elaborate and detailed sentences. So it could not be read easily without content knowledges. For this reason, this type would be reconsidered as texts for reading assessment. Type ③ is the text which has included scientific concept and process. Depending on how much this process would be exposed on the text and how much this process would fitted in with writing strategies of developing content, appropriacy of this text would be differentiated. Type ④ is the text which has included scientific concept, process, context, however, these contents have not fitted in with paragraph structure. So it might be appropriate texts in science education, however, in Korean reading ssessment it would not. 본 논문은 국어과 읽기 평가 맥락에 나타나는 비문학 텍스트의 특성을 탐구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특정 내용 분야의 텍스트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해당 분야의 교육 관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입각점을 세우고, 1994년부터 2015년까지의 대학수학능력평가시험 언어영역(국어)의 총 36편이 과학 지문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과학자인 필자가 비전문가인 독자를 대상으로 쓴 과학 지문은 그 자체로 교육적 성격을 띤다는 점, 지식의 발생적 맥락에 주목한 역사발생적 원리에 의거하여 과학사가 과학교육의 핵심 내용이 자 방법으로 다뤄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과학사 지문의 내용 분석을 시도한 Wang(1998)의 논의를 토대로 과학 지문 분석을 위한 내용 요소(개념, 과정, 맥락)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들 내용 요소들이 국어과 문단 짜임 및 연성화 장치와 어떻게 부합하는지를 교차 분석하여, 읽기 평가 맥락에 나타난 과학 지문의 유형을 크게 4가지로 귀납하고 각각의 특성을 기술하였다. 유형 ①은 개념, 과정, 맥락이 모두 포함되어 있어 발생적 맥락이 잘 복원되어 있고 이들 내용 범주가 국어과 문단 짜임에 잘 부합되는 유형으로서 국어과 읽기 평가를 위한 지문으로 손색이 없는 유형이다. 유형 ②는 과정 및 맥락 없이 개념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유형으로서, 개념 이해를 돕는 내용요소도 없고 형식화된 개념의 속성상 상술과정이 정교하고 조밀한 까닭에 국어과 연성화 장치가 개입할 여지도 적다. 그 결과 배경 지식이 충분하지 않은 독자가 의미를 파악하기 쉽지 않은 지문으로서 국어과 읽기 평가 맥락에서 적절성이 재고되어야 하는 유형이다. 유형 ③은 맥락 없이 개념과 과정이 포함된 유형으로서, 과학적 사고가 국어과적 내용 전개 방식과 부합하는 정도에 따라 읽기 평가 지문으로서 적절성 판단이 갈릴 수 있다. 유형 ④는 개념, 과정, 맥락이 모두 포함되어 있으나 국어과 문단 짜임과 부합되지 않아 내용 파악이 쉽지 않은 유형으로서, 과학교육의 맥락에서는 유의미한 지문일 수 있으나 국어 읽기 평가 맥락에서는 적절성 판단이 필요한 지문이다.

      • KCI등재

        통합적 문법 교육 내용 설계 -‘의미를 구성하는 문법 지식’을 중심으로-

        주세형 이중언어학회 2005 이중언어학 Vol.27 No.-

        ‘의미를 구성하는 문법 지식’을 통합적 문법 교육 내용으로 설계하고자 할 때, ‘부문’이나 ‘어휘’가 아니라, ‘표현 의도’가 그 기준이어야 한다. 표현 과정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해당하는 ‘지향주의적 의미’가 그 기준이 되는 것이다.4. 모어 화자의 의미 구성 방식전 절에서 조작적으로 정의한 ‘지향주의적 의미’를 바탕으로, ‘의미와 문법’을 통합하는 교육 내용 구성 방식은 문법 지식의 수행성을 높이는 방향이 된다. 숙련된 성인 모어 화자는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어휘에 대한 지식뿐만이 아니라 문법 지식도 전략화하여 사용한다. 같은 상황을 대하더라도 어떤 것에 주목하느냐에 따라, 또한 어떤 것을 표현하고 싶은가에 따라 문법 표지가 달리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의미가 문법을 결정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searching for the syllabus design in integrational grammar education, especially about the construing meaning through the grammatical knowledge. At first, I criticized the contents in grammar education.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he learner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and grammar. So, I observe the phases of construing meaning through grammar performing by native speakers. This result is a basis on the standards of integrational grammar syllabus design. Finally, I discuss that this result would be significantly important in the integrational grammar education. It will also be meaningful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who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