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적외선 CCTV를 활용한 백두대간 육교형 생태통로와 터널형 생태통로의 동물이용현황 분석

        조혜진,Cho, Hye-Jin 응용생태공학회 2016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3 No.3

        도로건설로 인한 동물서식지의 단절을 막기 위해서 전 세계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설치되는 것이 생태통로이다. 한국에서는 2000년대 초반부터 생태통로가 도입되기 시작했고, 시행착오를 거쳐서 2010년 생태통로를 위한 국가기준과 설계기준이 만들어졌다. 최근 이러한 생태통로가 건설비용이 높은 반면, 동물이용이 저조하다는 이유로 비판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어떤 동물이 얼마만큼 이러한 시설을 이용하는지 조사하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서 백두대간에서 가장 전형적인 육교형과 터널형 생태통로를 선정하였고 적외선 CCTV를 설치해서 모니터링하였다. 그 결과, 비판과는 달리 다양한 동물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다양한 조류가 관찰되었고 보호동물종도 관찰되었다. 동물이용은 계절, 날씨 및 주변 식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하였을 때 동물을 자세하게 촬영할 수 있었으나 전기소모량이 많은 것이 단점이다. 지난 10년간 전국적으로 많은 생태통로가 설치되었다. 이제 시설의 효율성과 성공적인 활용을 위해서 모니터링과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In order to prevent the fragmentation of animal habitat due to road construction, the most widely applied solution is building animal passes worldwide. In Korea, animal passes were introduced in the early 2000s, and through trial and error, the national guidelines for them and their design standards were published in 2010. These were criticized by politicians because of their relative inefficiency considering their high construction cost and their lack of animal usag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tent to which animals used the facilities. For this study, two types of animal passes, eco-bridges and ecoducts, were considered and the test sites were chosen from the Baekdu Mountains. The animal usage data was captured using infra-red CCTV cameras. The results showed that various types of animals used eco-bridges and ecoducts. Interestingly various types of birds were captured by cameras and endangered animals were also in them. The season, weather, and their surrounded vegetation also had effects on their usages. The infrared CCTV allowed detailed captures of animals but the electricity shortage was one disadvantage. During the last decades, a number of eco-bridges were constructed throughout the country and now we need to focus on their monitoring and maintenance for their successful efficiency and application.

      • KCI등재

        도로상 위험안개의 특징분석 및 발생지표의 개발

        조혜진(Hye-Jin Cho) 대한지리학회 2003 대한지리학회지 Vol.38 No.4

        기존의 국내에서 안개 관련된 연구는 안개 자체에 대한 연구와 안개의 지역적인 분포에 대한 연구가 그 주류를 이루어 왔다. 본 연구는 도로상에서 시정을 저하시켜서 안전한 운행에 지장을 주고 교통-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안개를 도로위험안개로 정의하고 그 위험정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위험안개 발생지표를 개발하였다. 이 지표는 안전운행에 영향을 주고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다양한 사항, 즉 안개의 발생빈도를 나타내는 안개발생일수, 안개의 지속시간, 시정거리 등을 고려하여 개발되었으며 개발된 지표에 근거하여 국내의 위험안개발생지역의 분포와 그 위험정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안개특성을 고려하여서 위험정도를 정량화하고 가중치를 개발한 국내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개발된 지표에 근거한 위험지역의 안전 관리 대상 선정과 그에 대한 안전시설물의 설치, 사고위험지점의 원인분석 및 그에 대한 대처방안 등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외국의 경우와 같이 도로의 노선선정시 위험안개발생지표가 높은<br/> 지역에 대해서는 노선의 변경 또는 노선선택 후 그에 대한 대책수립과 같은 적극적인 안전관리가 가능하다. The existing researches related to the fog have focused on mainly the fog itself and its spatial variation. This study defined the hazardous fog as the fog with visibility under 500 m which caused the severe dangerous situation on roads and might cause traffic accident due to insufficient visibility. This study aimed to<br/> develop the hazardous fog index which quantified the degree of danger and included frequency of fog, visibility and its duration. We applied the index to 3 years weather station data in Korea and the results showed the distribution of the hazardous fog and their priority in terms of safety management. This was the first study that introduced the fog index in Korea and that quantified the degree of hazardous fog. These application results were useful for identifying the dangerous area due to hazardous fog and contributing to ensure the safety of eventual road users and road authorities.

      • KCI등재

        축제의 시간과 물의 시간

        조혜진(Cho Hye Jin) 돈암어문학회 2007 돈암어문학 Vol.- No.20

        현대시의 도처에서 일상성에 대한 비판과 일상의 회복에 대한 염원이 나타나는 것은 일상성이 단순한 일상의 반복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현대성과 같은 현대 산업 사회의 도시적 특징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성의 맥락에서 이러한 일상성의 의미를 이해하고 현대시의 타자 수용 양상에 주목하여 일상성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인식, 일상성에 대한 현대시의 고단한 천착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회복의 대상으로서 일상의 본래적 시간이 지니는 의미에 대해 재고해보았다. 풍요로움의 기원으로서 일상의 의미를 상실한 후 현대시의 도처에서 일상성에 대한 비판이 나타나는 것은 모더니즘과 같은 특정 문학만의 특성이 아니라, 일상성이 현대 사회의 변화된 인간관계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근대적 시간관과 도시적 공간성의 배경속에서 자본의 소통방식과 같이 교환을 매개로하는 변화된 인간관계의 유쾌하지 않은 경험에서 비롯된 것이다. 나아가 세계대전과 같은 충격적인 경험을 통해 현대인들은 실존적 한계상황 속에서 인간의 존재론적 의미에 천착하게 되었으며 자아와 대립하는 타자와의 고투 속에서 더욱 더 극심한 고독감과 소외감에 시달리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인간 소외를 극복하려는 다양한 시도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일상성의 이러한 문제점들은 일상이 소외되는 기현상을 초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자본주의적 현대성을 의미하는 소비(소유)에 의한 인간 소외와 노동 소외를 비판하고 축제의 시간, 즉 혁명 이데올로기에 의한 일상의 소외를 비판한 것은 일상성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회복의 대상으로서 일상의 본래적 시간이 지니는 의미를 이해하고자 함이었다. 이에 일상성에서 소외된 일상의 의미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연구자는 일상의 시간이 자아와 타자의 경계를 나누는 일상성의 존재방식에서 벗어나, 인간의 근원적 존재성 회복임을 이해하였다. 즉 일상성이 지배하는 소외의 공간에서 벗어나 풍요로움의 기원으로서 일상의 스밈이 일어나는 것은 자아와 타자의 경계를 나누는 일상성의 존재방식에서 벗어나 일상의 존재방식이 회복될 때 가능한 것이었다. 그러나 일상성이 지배하는 공간에서 일상의 회복을 염원하는 현대시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고독한 개인의 존재방식에서 벗어나 회복의 시간으로서 일상의 스밈에 도달하려는 현대시의 고단한 천착과정은 앞으로도 오랜 시간 계속될 것이라 전망된다.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elucidated the meaning that daily original time has as the subject of restoration by criticizing the alie-nation of human being and labor by capitalistic daily life, that is, consumption through the tired search course of modern poem for daily life and criticizing the loss of original existence nature of human being through time of festival, that is revolution ideology. So, this researcher understood that the time of every day is the restoration of original existence life of human being by getting out of the existence method of daily life to divide the boundary of I and other in the course to chase the meaning of every day alienated from daily life.

      • KCI등재

        루이사 발렌수엘라의『침대에서 본 국가현실』에 나타난 기억 억압과 저항의 전략

        조혜진 ( Hye Jin Cho ) 고려대학교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0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3 No.-

        En este trabajo, analice la novela Realidad nacional desde la cama de Luisa Valenzuela, la escritora argentina representativa de America Latina. Esta novela trata el tema de exilio y memoria. La obra narra el aislamiento, alienacion y soledad despues del retorno a la patria. La heroina sufre la melancolia. La protagonista sufre conflictos entre la memoria y olvido ante la trampa del poder posmodernismo: poder cultural y lo institucional. Ante la television que le muestra las imagenes falsas para que el pueblo ignore lo que pasa en Argentina en realidad y pierda la capacidad critica, de este modo, para que se paralice mentalmente el pueblo argentino. El poder militar tambien intenta oprimir la memoria de ciudadanos argentinos y la voz de verdad. La melancolia de la protagonista es el sintoma de su conflicto, y a la vez, es una manera de resistencia para conservar su memoria contra la maniobra del poder institucional. Ella entrega tanto al olvido que pierde la palabra, la viveza y la voluntad de moverse y de comunicar. Pero, por fin, ella reconoce la razon de su melancolia y enfrenta la realidad nacional, y de esta manera, recupera la palabra y se levanta desde la cama recuperando su memoria. En este sentido, opino que la protagonista no se hunde en su trauma sino resiste al olvido, al poder institucional. Ella hace esfuerzo para recanonizar el pasado y reconstruir su vida. De este modo la parte de olvido en su historia individual sera recuperada y tambien la de Argentina.

      • KCI등재
      • UCC(User-created contents) 사이트의 GUI(Graphic User Interface)에 관한 분석

        조혜진(Cho, Hye Jin),이지혜(Lee, Ji Hae)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07 디자인지식저널 Vol.4 No.-

        인터넷과 광통신망의 발달은 급속도로 발전하는 인터넷 환경을 더욱 빠르게 변화시켰으며, 그 변화는 아직도 현재 진행형이다. 그러고 이러한 발전의 바탕에는 포털 중심의 사이트에서 점차 개인화 세분화되어 가는 인터넷의 환경이 한 몫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미 개인 블로그(Blog)는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았으며, 많은 포털 사이트들은 여기에 걸 맞는 서비스를 갖추고 보다 사용자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한 환경 속에서 많은 기술들과 신조어 들이 탄생하였는데 UCC(User-created contents)도 그러한 맥락의 하나이다. 상업적인 목적의 콘텐츠가 아닌 사용자가 주체가 되어 생산하고 참여하며 공유한다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이러한 UCC 는개인 블로그(Blog), 카페, 미니홈피, 게시판 등을 통해 사용자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UCC 는 아직까지도 진화하는 상태이며 이는 점점 진화하여 보다 복합적인 형태로 변화할 것이다. 그러한 발전의 틀에서 보다 체계화된 디자인적인 고찰이 이루어 져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사용자 편의의 GUI (Graphic User Interface)가 점차 요구되고 있다. The advancement of the Internet and an optical communication watch rapidity changes the Internet environment which develops more quickly, the change is in progress yet. And the internet environment that is changing from portal site to personal and subdividable is the background of such development. A personal blog already became one of the trend, and the many portal sites get a suitable service to offer users. Under this kind of condition, many kinds of skills and a newly-coined word has been created. UCC(User-created contents) is one of them. Users is being the subuject, not a commercial p따pose contents, and is a global concept of produce, participate and share. This UCC has been made and developed by personal blog, cafe, mini homepi and notice board. This UCC is still developing and will be more complex formation. A systematic and disigntical consideration is needed under this development. Furthemore a GUI for the users convenience is gradually demanded.

      • KCI등재

        스페인어와 한국어 욕설의 비유와 상징 비교 연구

        조혜진 ( Hye Jin Cho )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11 스페인어문학 Vol.0 No.59

        Los insultos son palabras, frases o enunciados cuya funcion se basa en una agresion hacia el otro. Indudablemente es un acto linguistico pero, a la vez, es tambien un acto social y cultual porque su valor funcional depende del contexto en el que se desarrolla. Aparte de formar parte del patrimonio linguistico y cultural de una comunidad, pueden reflejar ciertos valores sociales, ya que cada sociedad establece, a traves de la historia, normas que definen lo que es correcto o no y, al mismo tiempo, que palabras son aceptadas o no. Por consiguiente, el repaso de estas expresiones permite averiguar cuales son los parametros de comportamiento linguistico que se permite o se rechaza en una sociedad. En este trabajo he observado los simbolos y las metaforas que se manifiestan en los insultos tanto coreanos como espanoles para conocer, con mas profundidad, las similitudes y las diferencias de los valores sociales asignados a estas expresiones linguisticas en estas dos sociedades tan distinta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