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청소년의 학업관련 투자시간과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가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에 미치는 영향

        조한익(Han Ik Cho),김영숙(Young Suk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관련 투자시간,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가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소(NYPI)에서 실시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의 중1패널 2351명으로 2차년도∼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측정도구는 학업관련 투자시간, 학업성취도, 동기조절, 행동조절 등이다. 학업관련 투자시간의 초기값과 변화율, 학업성취도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에서 학업관련 투자시간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학업성취도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도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업관련 투자시간 초기값과 변화율도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학업관련 투자시간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학업성취도의 초기값과 변화율을 매개로 하여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업관련 투자시간 초기값이 학업성취도 초기값에 미치는 영향, 학업관련 투자시간 초기값이 학업성취도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 학업관련 투자시간 변화율이 학업성취도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 학업관련 투자시간이 동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학업성취도 변화율이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에 미치는 영향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교육적 의의, 연구의 제한점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learning time and achievement change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on motiva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s using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Four years of longitudinal data were collected from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o 2nd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by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learning time, academic achievement, and motiva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s. The initial values and slopes of studying time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the initial value and slope of learning time effected on the initial value and slope of academic achievement. Also, the initial values and slopes of learning time and academic achievement effected on the motiva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s. In the analysis of the mediation effect, the initial value and slope of learning time effected on the motiva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s by the mediation of the initial value and slope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e analysis of multivariate modeling by boys and girls, there had differences on the paths from the initial value of learning time to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achievement, from the initial value of learning time to the slope of academic achievement, from the slope of learning time to the slope of academic achievement, from the slope of learning time to the motivational regulation, and from the slope of academic achievement to motiva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s. In the end,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ollowing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업낙관성, 학업스트레스,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조한익(Han Ik Cho)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敎育心理硏究 Vol.27 No.4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업낙관성, 학습몰입, 학업스트레스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인 관계는 어떠하며, 학습몰입과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낙관성 잠재집단은 조절효과가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인문계 고등학교 4개교를 표집하였으며 남자는 304명, 여자는 214명 전체 518명이다. 측정도구는 학업낙관성 검사, 학습몰입검사, 학업스트레스 검사이고 학업 성취도는 2013학년도 1학기말평가 결과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학업낙관성은 학업스트레스를 낮추고 있지만 학습몰입과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몰입도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낙관성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업낙관성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낙관성의 잠재집단을 분석한 결과 학업낙관성 변인들은 2개의 잠재집단으로 나타나 하나는 높은 학업낙관성 집단으로, 다른 하나는 낮은 학업낙관성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학업낙관성 잠재집단은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습몰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optimism, learning flow,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518 high school students comprised of 304 boys and 214 girls.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student`s academic optimism, learning flow, and learning stress. Academic achievement were summative evaluation us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13. The research modeling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optimism, learning flow,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was good in the model fits. Academic optimism positively affected learning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but negatively effected on academic stress. Learning flow positively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flow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optimism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analysis of the latent classes of academic optimism 2 latent groups were revealed, which were named as ``high academic optimism group`` and ``low academic optimism group``. Latent groups of academic optimism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s of latent groups of academic optim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사건사 분석을 활용한 청소년의 스마트폰 최초 사용 시점에 대한 학생변인과 부모변인의 영향

        조한익(Cho, Han-Ik),김영숙(Kim, Young-Suk) 한국교육심리학회 2019 敎育心理硏究 Vol.33 No.3

        본 연구는 사건사 분석을 활용하여 청소년의 스마트폰 최초 사용 시점에 대한 학생변인과 부모변인의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교육종단연구 중3 패널 자료 3673명으로 초등학교 3학년 이전에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56명을 제외한 3617명이다. 스마트폰 최초 사용 시점은 초등학교 4학년 175명, 5학년 671명, 6학년 1618명, 중학교 1학년 795명, 중학교 2학년 129명, 중학교 3학년 23명이다. 연구 결과 스마트폰 최초 사용에 대한 기저함수는 초등학교 4학년에서 중학교 1학년까지 증가하다가 중학교 1학년 이후부터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변화 형태를 고려하여 무조건모형, 선형모형, 절편변화모형, 기울기 변화모형, 절편과 기울기 변화모형, 이차변화모형을 적용한 결과 절편과 기울기 변화모형이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절편과 기울기 변화모형을 바탕으로 스마트폰 최초 사용 시점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변인과 부모변인을 살펴보았다. 스마트폰 최초사용 시점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변인은 성별, 교우관계, 학습태도, 수학과 영어과목 주당 사교육시간으로 나타났고 부모변인으로는 자녀학습지원, 학교폭력 대응행동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건사 분석을 통해서 청소년의 스마트폰 최초 사용 시점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변인과 부모변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청소년이 언제, 무엇 때문에 스마트폰을 최초로 사용하게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교육적 계획을 세우는 데 활용할 수 있는 등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parent and student variables on the onset of adolescents’ smartphone use through event history analysis. The subjects were 3,673 students from middle school third panel data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Panel Survey. In the study, data from 3,617 students’ data except 56 students who answered they had used smartphones before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were analyzed. Smartphones began to be used by 175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671 students in the fifth grade, 1618 students in the sixth grade, 795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129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and 23 students in the third grade. In the study, an unconditional model, linear model, an intercept change model, a slope change model, an intercept and slope change model, and a quadratic change model were analyzed.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intercept and slope change models were the most suitable models. The student variables used in the study were gender, friendship, teacher relationships, learning methods, learning effort, learning attitude, time spent on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education, and school violence experience. Parent variables included parents’ learning support for their children, coping responses toward school violence, perceived severity of school violence,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ir childre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onset of adolescents’ smartphone use were gender, friendship, learning attitude, and time spent learning mathematics and English education. Parent variables were parents’ learning support for their children and coping response toward school viol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investigating the students and parents variables that affect the onset of adolescents’ smartphone use through event history analysis.

      • KCI등재

        중등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 심리적 소진 및 직무만족도 관계: 교사정서의 조절된 매개효과

        조한익 ( Cho Han-i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본 연구는 중등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 심리적 소진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와 더불어 교사정서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도에 속한 중등학교 교사 55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에서 중학교 교사는 145명, 고등학교 교사는 411명이다. 측정도구는 중등학교 교사용 교사정서, 교사효능감, 교사소진, 직무만족도 척도이다. 연구결과 중등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소진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등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을 매개로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정서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는 교사정서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심리적 소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즐거움, 자부심의 정적정서와 불안감, 지루함의 부적정서는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정서가 중등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 심리적 소진 및 직무만족도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중등학교 교사의 직무와 관련하여 교사정서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among teacher efficacy, psychological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as well a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teacher emotions. To achieve this purpose 556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G province were sampled with 145 middle school and 411 high school teachers.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teacher emotions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teacher efficacy, teacher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the result, partial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burnout was found on the relation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emotions on the relation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However, it was found that positive emotions like joy and pride and negative emotions like anxiety and anger had different moderating effect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emotions on the relation among teacher efficacy, psychological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 study, there is expected that more researches should be done about what roles of teacher emotions have in relation to the teaching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 희망 및 우울증의 구조적 관계 분석

        조한익(Han Ik Cho) 한국교육심리학회 2010 敎育心理硏究 Vol.24 No.1

        본 연구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 희망 및 우울증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770명이며 측정도구는 사회적 지지, 희망, 우울증 및 학업성취도이다. 구조적인 관계 분석에 앞서 변인들의 정규분포 여부를 검토한 결과 우울증과 학업성취도의 변인들이 왜도와 첨도에서 정규분포를 벗어나고 있어 Bootstrapping 방법으로 구조적인 관계 분석을 하였다. Bootstrapping 분석에서는 평균모수추정치와 추정치의 표준오차를 구했으며 Bootstrap percentile과 Bootstrap with biased corrected는 95% 신뢰구간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지지는 희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희망도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사회적 지지와 희망은 우울증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우울증도 학업성취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지지는 희망과 우울증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희망도 우울증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연구모형을 검증한 집단과 교차집단 간에 교차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집단간 교차타당도 지수가 적합하게 나타났고, 기저모형, 측정불변성, 구조불변성, 구조공변량, 구조잔차, 측정잔차에서 모두 동일한 것으로 나타나 교차타당도가 입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hope, and depression on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770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these were social support, hope, depres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est. When analyzed by the correlation,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ocial support, hope, and academic achievement but depression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variables. Before analyz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earcher reviewed kurtosis and skewness to analyze normal curve. The result revealed that depres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out of normal curve. At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bootstrapping method which could process non-normal data was used to analyze bootstrapping estimate, bootstrap percentile, and bootstrap with biased corrected. When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social support directly effected on hope and depression and indirectly effected on academic achievement by the mediation of hope and depression. Hope and depression directly effected on academic achievement and hope indirectly effected on academic achievement by the mediation of depression. The cross-validation index, ECVI, was good between the verification group of research model and cross-validation group, and when the researcher restrained two groups with measurement weights, structural weights, structural covariances, structural residuals, and measurement residuals, the two groups had equivalent values, so the cross-validation was confirmed.

      • KCI등재

        청소년의 미래지향목표와 자아정체감, 공동체의식 및 진로정체감의 종단적 구조관계

        조한익(Cho, Han-Ik),김영숙(Kim, Young-Suk)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의 미래지향목표와 자아정체감, 공동체의식 및 진로정체감의 종단적 구조관계는 어떠한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소(NYPI)에서 실시한 한국청소년 패널조사의 중 1패널 2351명으로 미래지향목표는 3차년도 자료를, 공동체의식은 3∼6차년도 자료를, 자아정체감과 진로정체감은 3, 5∼6차년도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측정도구는 미래지향목표, 자아정체감, 공동체의식 및 진로정체감이다. 연구결과 자아정체감, 공동체의식 및 진로정체감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에서 외재적 미래지향목표는 자아정체감과 공동체의식의 초기값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진로정체감의 초기값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미래지향목표는 자아정체감과 공동체의식의 초기값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진로정체감의 초기값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정체감과 공동체의식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진로정체감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재적 미래지향목표는 자아정체감과 공동체의식 초기값을 매개로 하여 진로정체감 초기값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내재적 미래지향목표는 자아정체감과 공동체의식의 초기값을 매개로 하여 진로정체감의 초기값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내재적, 외재적 미래지향목표가 자아정체감의 초기값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감, 공동체의식 및 진로정체감의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선행연구와의 관련성과 연구의 제한점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future oriented goals, changes of self-identity, sense of community and the career-identity of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2351 of the panel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future oriented goals, self-identity, sense of community, and career-identity tests. The initial value and slope of self-identity, sense of community and career-identity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the extrinsic future oriented goal had negative impact on the initial values of self-identity and sense of community, however,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career-identity. Intrinsic future oriented goal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s of self-identity and sense of community, but, nega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career-identity. The initial value and slope of self-identity and sense of communit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itial value and slope of career-identity. In the analysis of mediation effects, extrinsic future oriented goals negatively influenced on the initial value of career-identity, however, intrinsic future oriented goals positively effected on the initial value of career-identity through initial value of community consciousnes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it was found that intrinsic and extrinsic future goal oriented goals had different effects on the initial value and slope of self-identity, slope of sense of community, and slope of career-ident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ollowing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업,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자기결정성, 학업성취도 및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분석

        조한익 ( Han Ik Ch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4 초등교육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업·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자기결정성, 학업성취도 및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6학년 882명으로 남학생은 475명이고 여학생은 407명이다. 측정도구는 학업적 성취목표 지향성,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자기결정성, 학교생활적응검사이며 학업성취도는 2013학년도 2학기말 학업성취도 평가결과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숙달 목표지향성, 학업수행접근 목표지향성은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학업 수행회피 목표지향성과 사회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은 학업성취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사회숙달 목표지향성, 학업숙달 목표지향성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학업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은 학교생활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숙달, 사회수행접근, 사회수행회피 목표 지향성은 자기결정성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학업숙달목표와 학업수행회피 목표지향성도 자기결정성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ademic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determination theory,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The subjects were 882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which boys were 475 and girls were 407.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social-, academic goal orientation, self-determination, and school adjustment. Academic achievement were Korean, Math, Social studies, Science, and English administered as a summative evaluation in the 2nd semester of 2013. Statistical methods were correlation and descriptive statistics by SPSS 21.0 program. Model fits and mediation effects of research model were analyzed by Mplus 6.0 program. Academic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achievement but social performance avoidance-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negative effects on achievement. Social mastery- and mastery 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but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Self-determination had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astery-, social performance-, social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Mastery-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by the mediation of self-determination.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social-, academic goal orientation and related variabl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