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망막 세포 특성에 의한 영상인식에 관한 연구

        조재현,김도현,김광백,Cho, Jae-Hyun,Kim, Do-Hyeon,Kim, Kwang-Baek 한국정보통신학회 2007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1 No.11

        최근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인공망막 모델 구현에 관한 연구 중 시피질 자극기 기술은 시각 자극 전달의 중간 단계를 생략하고 직접 뇌세포를 자극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망막에서 시각 피질로 시각정보를 전달할 때 발생하는 시각 피질의 특성, 즉 방향성에 대한 반응 특성을 특징 데이터로 구성하여 인식함으로써 인간 시각 정보 처리와 유사한 영상 추출 및 인식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영상의 특징을 추출 한 후 Delta-bar-delta 기반 오류 역전파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영상의 특징들을 인식한다. 제시된 방법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숫자 패턴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안된 망막 세포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방향성에 대한 민감성을 고려하여 영상의 특성을 추출하여 인식하는 모델이 기존의 영상 추출 및 인식 모델보다 인식률에 있어서는 별 차이가 없지만 다양한 실험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인간 시각과 같이 인식 성능이 민감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Visual Cortex Stimulator is among artificial retina prosthesis for blind man, is the method that stimulate the brain cell directly without processing the information from retina to visual cortex. In this paper, we propose image construction and recognition model that is similar to human visual processing by recognizing the feature data with orientation information, t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cortex. Back propagation algorithm based on Delta-bar delta is used to recognize after extracting image feature by Kirsh edge detector. Various numerical patterns are used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proposed method. In experiment, the proposed recognition model to extract image characteristics with the orientation of information from retinal cells to visual cortex makes a little difference in a recognition rate but shows that it is not sensitive in a variety of learning rates similar to human vision system.

      • KCI등재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 발달에 관련된 변인의 메타분석

        조재현 ( Cho Jae-hyeon ),김영희 ( Kim Yeong-he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는 지난 15년간(2000-2015년 8월)의 연구를 메타분석하여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통해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발달과 관련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 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유아교육기관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안 탐색 및 유아교육의 정책수립에 실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의 자료는 국내 학회지 및 석·박사 학위논문 146편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친사회성에 관련된 변인군 중 유아 개인 변인군의 하위변인에는 놀이성, 정서조절, 정서지능이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반사회성에 관련된 변인군 중 또래/교사 변인군의 하위변인에는 유아의 친밀한 상호작용과 유아의 갈등적 상호작용 순으로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다. 셋째, 정서인식 변인군 중 또래/교사 변인군의 하위변인에는 유아 또래상호작용, 교사와 유아의 친밀한 상호작용, 유치원에서 교사와 적응, 유치원에서 또래 간 적응 순으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넷째, 정서조절 변인군 중 또래/교사 변인군의 하위변인은 유치원에서 또래 간 적응, 유치원에서 교사와 적응, 유아 또래상호작용, 교사와 유아의 갈등적 상호작용 순으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effect size of related to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by meta analysis on the basis of advanced research carried from the year of 2000 to the year of August 2015.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s data for the program development of kindergarten, and educational policy for children by analyzing advanced research synthetically.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6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indicated that the group of individual variables among groups of subvariables related to a group of variable of prosociality had the playfulness, emotional control, and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great effect size. Second, it showed that the group of peers/teachers` variables among groups of subvariables related to a group of variable of antisociality went on in order of the young children` intimate interaction, conflictive interaction, as a moderate effect size. Third, it indicated that the group of peers/teachers` variables among groups of subvariables related to a group of variable of perceived emotion showed the large in order of interaction between young children and their peers, intimat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their adaptation to teachers in kindergarten, and their adaptation between young children. Fourth, it showed that the group of peers/teachers` variables among groups of subvariables related to a group of variable of emotional control appeared to be large in order of adaptation among peers in kindergarten, adaptation to teachers in kindergarten, interaction among young children, and conflictiv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in size.

      • Skeleton Joints 기반 행동 분류 모델 설계

        조재현 ( Jae-hyeon Cho ),문남미 ( Nam-me Moo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2

        키넥트는 RGBD 카메라로 인체의 뼈대와 관절을 3D 공간에서 스켈레톤 데이터수집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스켈레톤 데이터를 활용한 행동 분류는 RNN, CNN 등 다양한 인공 신경망으로 접근하고 있다. 본 연구는 키넥트를 이용해서 Skeleton Joints를 수집하고, DNN 기반 스켈레톤 모델링 학습으로 행동을 분류한다. Skeleton Joints Processing 과정은 키넥트의 Depth Map 기반의 Skeleton Tracker로 25가지 Skeleton Joints 좌표를 얻고, 학습을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 각 좌표를 상대좌표로 변경하고 데이터 수를 제한하며, Joint가 트래킹 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예외 처리를 수행한다. 스켈레톤 모델링 학습 과정에선 3계층의 DNN 신경망을 구축하고, softmax_cross_entropy 함수로 Skeleton Joints를 집는 모션, 내려놓는 모션, 팔짱 낀 모션, 얼굴을 가까이 가져가는 모션 해서 4가지 행동으로 분류한다.

      • 스마트 거울기반 의상 가상착의와 상의 내어입기

        조재현 ( Jae-hyeon Cho ),문남미 ( Nam-mee Moo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2

        스마트 라는 단어가 대중화가 되면서 전자기기 뿐만 아니라 거울에도 스마트가 붙게 되었다. 하지만 스마트 거울에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면서 ‘꾸미는 것을 돕는다’라는 거울 본연의 기능이 부가적인 요소가 되는 경우가 있거나 매장 내에 모델링이 끝난 옷을 보여주지만 집에 있는 자신의 옷을 보는 것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OpenCV를 활용하여 옷을 여러벌 갈아입으면서 코디를 할 때 번거로움을 줄이고자 거울 앞에서 찍으면 프레임과 전경 추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옷을 추출하고 추출된 옷의 정확도를 위해 보정작업을 추가한다. 윤곽선의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 Morphology 필터링을 사용하고 Clahe 히스토그램 균일화를 통해 옷의 선명도를 높혔다. 추가적으로 가상으로 띄워주는 기능과 옷을 보여줄 때 HSV모델의 특성을 활용하여 채도나 명도의 변화의 상관없이 색을 추출하여 상의와 하의를 분리하여 상의를 내어입는 기능도 선택할 수 있게 구현 하였다.

      • KCI등재후보

        단일상 자기전기 다강성 산화물의 연구동향

        조재현(Jae-Hyeon Cho),조욱(Wook Jo) 한국세라믹학회 2021 세라미스트 Vol.24 No.3

        Magnetoelectric (ME) multiferroics manifesting the coexistence and the coupling of ferromagnetic and ferroelectric order are appealing widespread interest owing to their fascinating physical behaviors and possible novel applications. In this review, we highlight the progress in single-phase ME multiferroic oxides research in terms of the classification depending on the physical origins of ferroic properties and the corresponding examples for each case, i.e., material by material, along with their ME multiferroic properties including saturation magnetization, spontaneous polarization, (anti)ferromagnetic/ferroelectric transition temperature, and ME coefficient. The magnetoelectrically-active applications of high expectancy are presented by citing the representative examples such as magnetoelectric random-access-memory and multiferroic photovoltaics. Furthermore, we discuss how the development of ME multiferroic oxides should proceed by considering the current research status in terms of developed materials and designed applications. We believe that this short review will provide a basic introduction for the researchers new to this field.

      • 키넥트를 이용한 깊이 영상에서 보행자 탐지

        조재현 ( Jae-hyeon Cho ),문남미 ( Nam-me Moo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1

        색상 영상과 이에 상응하는 깊이 영상으로 3차원 비디오를 만드는 방법은 최근 키넥트 깊이 카메라와 같이 저가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성능을 보이는 카메라가 시중에 출시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응용분야에 많이 사용되기 시작했다[1]. 본 연구는 TOF(Time Of Flight) 카메라와 RGB 카메라가 같이 있는 키넥트를 이용해서 깊이 영상에서 보행자를 탐지한다. 전처리 작업으로 배경 깊이 맵을 미리 저장하고, 깊이의 차이로 보행자 유무를 알아낸다. 보행자를 지속적으로 탐지하기 위해 CAMShift 알고리즘을 사용해 라벨링과 보행자 추적을 하며, 보행자의 진행 방향과 속도를 탐지하기 위해 Dense Optical Flow를 사용해 보행자의 벡터 정보를 저장한다. 보행자가 깊이 맵 밖으로 나가면 해당 보행자에 대한 탐지를 종료한다.

      • KCI등재

        X선 기반 분광광도계를 통해 얻은 데이터 분석의 기초

        조재현 ( Jae-hyeon Cho ),조욱 ( Wook Jo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22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35 No.3

        분광학은 재료의 결정학적, 화학적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분석 기법이다. 이러한 기조에 따라 다양한 분석 소프트웨어와 peak fitting과 관련된 기술적 가이드라인이 보급되었지만, 정작 ‘왜’ 중간 계산 과정을 거치고 해당 함수를 쓰는지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tutorial에서는 X선 기반 분광광도계를 통해 얻은 데이터 분석의 기초를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관련된 peak fitting을 위해 필요한 실용적 배경지식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하나의 예시로 임의로 선정한 X선 광전자 분광법 데이터에 대한 curve fitting 과정을 순서에 따라 알기 쉽게 소개하였다. 제시한 기초 이론은 특정 소프트웨어에 국한된 내용이 아니라 fitting tool이 있는 모든 소프트웨어에서 그대로 활용 가능할뿐더러 다른 분광법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본 내용을 숙지한다면 보다 수월한 연구 진행을 위한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Spectroscopies are the most widely used for understanding the crystallographic, chemical, and physical aspects of materials; therefore, numerous commercial and non-commercial software have been introduced to help researchers better handling their spectroscopic data. However, not many researchers, especially early-stage ones, have a proper background knowledge on the choice of fitting functions and a technique for actual fitting, although the essence of such data analysis is peak fitting. In this regard, we present a practical guide for peak fitting for data analysis. We start with a basic-level theoretical background why and how a certain protocol for peak fitting works, followed by a step-by-step visualized demonstration how an actual fitting is performed. We expect that this contribution is sure to help many active researchers in the discipline of materials science better handle their spectroscopic data.

      • KCI등재
      • KCI등재

        돈황 막고굴 벽화내 다보탑의 주처(住處)공간적 의미와 그 변화 연구

        조정식,김버들,조재현,김보람,Cho, Jeong-Sik,Kim, Bue-Dyel,Cho, Jae-Hyeon,Kim, Bo-Ram 한국건축역사학회 2013 건축역사연구 Vol.22 No.6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arly use of Da-bo tap and their transformation by analyzing the various meanings of the term pagoda in Chinese translations, the Sanskrit version of the Lotus Sutra, as well as Dabotap in the Mogao Caves of Dunhuang. In addition, we aim to highlight changes in Dabotap usage, which started out as residential spaces, but transformed into burial spaces over time. The detail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arly Buddhist monuments were usually either pagodas serving as burial places for the dead or shrines that were not. A Dabotap is a type of pagoda enshrining the body of Prabhutaratna, and was initially used as a residential space, rather than a burial place for the dead. Second, the terms stupa and caitya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n the Sanskrit scriptures, and stupa is also further classified into dhatu, sarisa, and atmabhava based on the object being enshrined. In Gyeon-bo-tab-pum, the preconditions for caitya to transform into stupa is presented by explaining that worshipping the space enshrining the body of Prabhutaratna is worthy of the same status as the space enshrining sarira. Third, the Mogao Caves of Dunhuang had been depicted from the Western Wei of the Northern Dynasties until the time of the Yuan Dynasty. It was used as a residential space until the early Sui Dynasty, but was used as both residence and burial places until the Tang Dynasty when pagodas were first being constructed with wheel or circles forms on top, which then gradually changed into stupa (grave towers).

      • KCI등재

        인간 시각의 선택적 지각 능력에 기반한 패턴 분류

        김도현,김광백,조재현,차의영,Kim Do-Hyeon,Kim Kwang-Baek,Cho Jae-Hyun,Cha Eui-Yo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0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0 No.2

        인간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영역(ROI)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주의를 집중하여 사물의 특징 을 인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간의 선택적 지각 능력을 적용한 패턴 분류 모델을 제안한다. 먼저 일반적인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에 의해 입력 패턴들을 대략적으로 분류하여 참조 클러스터 패턴을 형성하고, 생성된 클러스터의 참조 패턴들을 상호 연관시켜 선택적 지각맵(SPM : Selective Perception Map)을 구성한다. 패턴 분류 및 인식 과정에서는 생성된 SPM을 입력 패턴과 참조 패턴과의 거리 계산에서 가중치로 적용함으로써 인간의 선택적 지각 능력을 패턴 분류에 반영하게 된다. 다양하게 변형된 인쇄체 숫자 및 필기체 숫자 데이터(MNIST)를 통해 실험해 본 결과 SPM을 사용한 패턴 분류 모델이 효과적임을 증명하였다. We propose a pattern classification model using a selective perception ability of human beings. Generally, human beings recognize an object by putting a selective concentration on it in the region of interest. Much better classification and recognition could be possible by adapting this phenomenon in pattern classification. First, the pattern classification model creates some reference cluster patterns in a usual way. Then it generates an SPM(Selective Perception Map) that reflects the mutual relation of the reference cluster patterns. In the recognition phase, the model applies the SPM as a weight for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n input pattern and the reference patterns. Our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classifier with the SPM acquired the better results than other approaches in pattern class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