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목용 한글서체 개발에 관한 연구 -디지털 폰트 ‘꽃비녀체’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조안나,천애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0 조형미디어학 Vol.23 No.2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to the present day, display typefaces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not only by drawing the attention of people, but also by being the face of the content. Typefaces carry important means of communication within the design itself. However the prolific use of Chinese and English characters has been causing a setback in the interest of Hangeul characters. In recent days the use of a particular display typeface helps emphasize a certain message or convey a strong identity, creating a new culture of communication. The need for Hangeul display typefaces has been rising, yet the amount of research on the identity and form of Hangeul characters is rather insufficient. This study records the development process and result of ‘Flower Binyeo,’ a digital font that was awarded in the 27th Hangeul Font Design Contest, hosted by ‘King Sejong the Great Memorial Society’ and the ‘Visual Information Design Association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ness of serif display fonts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Flower Binyeo’ to existing modern-day typeface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presents a new methodology in the field of Hangeul design and design in general. Also included in the study is the tight relationship between Hangeul readability and the process of optical, visual corrections, which is necessary in the creation of a typeface. ’Flower Binyeo’ is not representative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all Hangeul display fonts. However this study suggests a proper guide to produce display typefaces and further brighten the future of Hangeul design. 과거 조선시대 후기부터 오늘날까지 제목용 서체는 본문 내용의 얼굴 역할을 하며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킴으로써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다. 글자의 조형 속에 다양한 의미를 담으며 중요한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으나 오랜 기간 동안 한자(漢字)와 영자(英字)를 제목으로 활용해왔기 때문에 한글 제목용 서체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졌다. 오늘날 제목용 서체는 사용에 따라 전하고자 하는 바를 더욱 강조해주거나 정체성을 전파하기도 하여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문화를 창출하기도 한다. 최근 한글 제목용 서체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조금씩 개발되고 있으나 한글의 정체성과 조형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세종대왕기념사업회와 한국시각정보디자인협회에서 개최한 제27회 한글글꼴디자인공모전 수상작 ‘꽃비녀체’의 개발과정과 결과물을 수록하였다. 제목용 서체인 ‘꽃비녀체’의 디자인 개발과정을 소개하고, 현대 기존의 제목용 바탕체와 비교·분석하여 제목용 바탕체의 특징과 효과적인 제목용 서체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글의 기초 연구와 한글서체 개발 연구로서 한글조형 연구와 디자인 방향에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으며, 서체개발 과정에서 착시와 시각보정을 통해 한글의 조형요소와 가독성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꽃비녀체’ 개발과정이 한글 제목용 서체 개발과정을 대표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 과정을 통해 밝힌 한글 제목용 바탕체 제작과정은 서체의 올바른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한글서체의 미래를 밝히는 등불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사회 재난 조사 분석을 위한 분류 체계 연구

        조안나,임성훈,이종철,박길주,이광주 한국재난정보학회 2021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1

        사회재난 분야는 그 범위가 무척 넓고, 관련 재난을 관리하는 기관이 많아서, 각각의 분류 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통합 시스템을 위하여 이들 분류 체계를 정리하고, 통합하고, 연계할 수 있는 체계 구축이 시급한 상태이고 본 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체계를 구축하였다.

      • KCI등재

        Children’s Vulnerability to Depressive Symptomatology: Moderating Depression in Children

        조안나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factors as they relate to or how they affect the depressive symptomatology of young children. The current literature review examines the negative effects of several factors thought to be of high risks for the occurrence of childhood depression: maternal depression, insecure attachment, and low economic resources. After investigating empirical research, the results suggest strategies to cope with depressive symtomatology of children. This study will help parents, educators, and communities better understand children's vulnerability to depression and consider support young children in a positive way.

      • KCI등재

        어울림(communion)의 소통행위로서 삼위일체론 — 언어행위이론의 통찰을 통하여

        조안나 한국기독교학회 2020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8 No.-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y of Trinity through the insight into the speech act theory as communicative act of communion. The discussion of the Trinity theory has been understood and interpreted from a variety of new perspectives as the core of Christian theology from ancient times to today. In modern theology, the Trinitarian theory, which was discussed only within the Christian faith, is newly interpreted through various interdisciplinary dialogues. The focus of these discussions is on how the Triune God is presenting ourselves in our lives today and how we can describe the dynamic work of the Triune God. This triune God has a relationship with human beings, and triune God acts as a communicator. Nevertheless, research on the communication behavior of the Holy Trinity is incomplete, and it seems that little interstitial research has been attempted for this.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communication behavior of the Holy Trinity through insights into the speech act theory in language philosophy. 본 논문은 어울림의 소통행위로서 삼위일체론을 언어행위이론의 통찰을 통하여 살펴본 것이다. 삼위일체론에 관한 논의는 고대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기독교 신학의 핵심으로서 다양하고 새로운 관점으로 이해되고 해석됐다. 현대신학에 와서는 기독교 신앙 안에서만 논의되던 삼위일체론이 간학문적 대화를 통하여 다양한 학문과 더불어 새롭게 해석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들의 초점은 삼위 하나님이 오늘날 우리의 삶에, 어떻게 자신을 드러내시며, 삼위 하나님의 역동적인 사역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에 관한 논의다. 이러한 삼위 하나님은 인간과 관계를 맺으시며 어울림의 소통행위를 하신다. 그런데도 아직 삼위일체 하나님의 소통행위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며 이를 위한 간학문적 연구는 거의 시도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은 언어철학의 언어행위이론의 통찰을 통하여 삼위일체 하나님의 소통행위를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성장배경이 상이한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사회적관계 요인의 영향 비교 연구

        조안나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2023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social relationship factors o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with diverse backgrounds. To this end, the data from the second phase of the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was used for analysis.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the average level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was found to be 1.23 for domestically born children and 1.34 for children from families with mid-migration or foreign backgrounds, indic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groups. Secondly, it was observed that social relationship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adaptation stress differed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with different backgrounds. For domestically born children, factors such as number of friends and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the other hand, for children from families with mid-migration or foreign backgrounds, factors such as parental support and teacher support were identified as influential. These findings highlight distinct characteristics between domestically born children and those from families with mid-migration or foreign backgrounds. Based on these research outcomes, implications were provided for conducting further research and proposing policies specifically tailored to multicultural youth by considering group segmentation based on their background characteristics. The significance of building an inclusive society and actively supporting multicultural adolescents was emphasized.

      • KCI등재

        차별, 억압 문제 극복을 위한 웨슬리의 사회적 성결과 그리스도인의 책임 : 웨슬리의 노예제도 철폐와 언어행위 이론을 중심으로

        조안나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2 신학과 사회 Vol.36 No.3

        본 논문은 사회 차별과 억압 문제의 극복 해결 가능성 모색을 위하여 웨슬리의 사회적 성결과 그리스도인의 책임을 언어행위 이론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사회 차별과 억압 문제의 기제는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와 관련이 있으며 이 기제는 언어-사회적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수행성의 사회를 만든다. 따라서 언어는 차별과 억압을 수행하며 언어는 우리 사회 체계와 구조, 가치와 관념, 전통과 규칙을 만든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언어는 때때로 사회 부조리와 불합리한 사회 전통과 가치, 제도와 만나 차별과 억압의 언어-사회를 만든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회 차별과 억압 문제를 해소하고 해결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웨슬리의 사회적 성결과 그리스도인의 책임을 주장하며, 웨슬리의 노예제도 철폐와 그의 언어행위를 통해 우리가 어떻게 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 KCI등재

        Impact of Maternal Stress on Mothers' Perceived Social Behaviors of Their Preschool Children in Korean Families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조안나 한국유아교육학회 2008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4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maternal stress as it relates to the mothers’ perceived social behaviors of their preschool children in both immigrant Korean families in the U.S. and Korean families in Korea. The subjects included 49 immigrant Korean mothers in the U.S. and 52 Korean mothers in Korea. Mothers of 4-to 6-year old children were administered a packet of the survey which assessed demographic information, their parenting stress, and the mothers’ perceptions of their children’s social behaviors. Data analysis revealed that mothers’ stress level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mothers’ perceptions of their children’s social skills,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ceptions of their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in both groups. The findings suggested that stress reported by mothers, whether immigrant or nonimmigrant status, has the potential to influence children’s social skills and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rated by mothers.

      • KCI등재

        생성 Al의 미술교육적 활용을 위한 탐색적 실행 연구 - 중학교 미술 표현 활동을 중심으로 -

        조안나 한국미술교육학회 2023 美術敎育論叢 Vol.37 No.4

        This study is an action research conducted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focusing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essons utiliz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It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students and teachers and to discover the potenti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text-to-image generative AI model for art education. The goal is to share and communicate these findings with the educational community. The research method applies Mills's dialectical spiral model, intensively investigating the art instruction process and the experiences of students and teachers. Through various data sources such as interactions with teachers, instructional materials, participant observations, class outputs, and interviews with students, an in-depth analysis is conducted. The findings suggest that art lessons using generative AI can cultivate an experimental attitude in students and promote flexible, creative thinking that breaks conventional frames. This research holds significance as an action research that explores the educational value of generative AI in its early stages of development and reflects upon and shares its outcomes.

      • KCI등재

        언어 담론으로서의 계시 ― 언어행위이론(Speech Act Theory)의 관점에서

        조안나 한국조직신학회 2019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4 No.-

        In the Christian tradition, divine revelation is ‘God’s self-disclosure’ and God reveals Himself through the Bible. The Bible records the ‘speech of God’ and the ‘acts of God’, and God reveals who He is through his ‘word-actions’. In other words, God reveals himself as ‘language’ to us and acts through ‘language’ (language event). Thus, revelation is not a theoretical or propositional knowledge of God, but an experience of practical and experiential faith. Revelation, therefore, involves “communication between the personality”, between God and the believer. In other words, revelation is ‘communication act’ between God and the believer as ‘discourse of language’ of God. Although systematic theology considers revelation (biblical) as a divine discourse or communication between God and the believer, it does not know how the divine discourse of God becomes real and influential in the lives of believers. It seems that they do not fully explain what implications they have in theology (faith).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o examine ‘revelation as a discourse of language’ through the Speech Act Theory to present the answer to this. If we illuminate revelation as a discourse of language as a speech act theory, the following three hermeneutical contributions to revelation are expected. First, revelation is a ‘communicative act between God and believer’ as ‘discourse of language’ of God. This explains how the revelation of the Word of God transforms the lives of believers and gives an understanding of the linguistic interpretation of the revelation (faith, practical implication). Second, revelation is God’s language event that includes both the reason and the experience of faith, and it is an event of faith. Thus, revelation represents both the propositional statements of reason and the empirical statements of faith. Third, the Bible is God’s Word written by God-inspired Bible reporters, confirming our faith and restoring the authority of the Bible (Word). 기독교 전통에서 계시는 ‘하나님의 자기 드러냄’(self-disclosure)이며 하나님은 성서를 통해 자신을 계시하신다. 성서는 하나님의 말씀(speech)과 하나님의 행위(act)가 기록되어 있으며 하나님은 자신의‘말-행동’을 통해 하나님 자신이 어떠한 분이신지를 나타낸다. 즉 하나님은 우리에게 ‘언어’로 자신을 계시하시며 ‘언어’를 통해 행동하신다 (언어사건). 따라서 계시는 하나님에 대한 이론적 명제적 지식이라기보다 실천적이며 경험적인 신앙의 체험사건이다. 그러므로계시는 하나님과 신자 사이의 ‘상호 인격 간의 소통’을 수반한다. 즉계시는 하나님의 ‘언어 담론’으로서 하나님과 신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행위’이다. 조직신학에서 계시(성서)를 신적 담화(언어 담론) 혹은 하나님과 신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행위라고 간주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하나님의 신적 담화가 신자들의 삶에서 실재가 되며, 어떠한 영향을 일으키는지, 신적 커뮤니케이션 행위가 신학(신앙)적으로 어떠한함의를 가지는지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것에 대한 답변을 제시하고자 언어행위이론을 통하여 ‘언어 담론으로서의 계시’를 고찰할 것을 제안한다. 언어 담론으로서 계시를 언어행위이론으로 조명한다면 다음과 같은세 가지 계시의 해석학적 공헌이 예상된다. 첫째, 계시는 하나님의 ‘언어 담론’으로서 하나님과 신자 간의 ‘상호인격적인 커뮤니케이션 행위’이다. 이는 하나님 말씀의 계시가 신자들의 삶을 어떻게 변혁시키는지 설명하며 (신앙적, 실천적 함의) 계시의 성령론적 관점에 대한 언어학적 해석의 이해를 준다. 둘째, 계시는 이성과 신앙의 경험을 모두 포함하는 하나님의 언어사건이며, 신앙의 사건이다. 따라서 계시는 이성의 명제적 진술과 신앙의 경험적 진술 모두를 나타낸다. 셋째, 성서는 하나님의 영감을 받은 성서 기자들에 의해 쓰인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신-인 협력 담론, double agency discourse) 우리의 신앙을 확증하고 성서(말씀)의 권위를 회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