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와「유치원 지도서」의 ‘장애’ 관련 활동 목표와 내용 비교 분석

        조숙영(Cho, Suk-Young),병은(Jo, Byung-E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현실에서 요구하는 바람직한 장애이해 및 통합교육을 실천하고자 하는 현장의 교사들이 교육방향을 이해하고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와 「유치원 지도서」의 ‘장애’ 관련 활동의 목표와 내용을 분석기준에 따라 각각 분석하고 다시 두 지도서 간의 목표와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두 지도서에 수록된 장애 관련 활동의 목표 중 장애 이해와의 관련성이 있는 목표의 수는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에서는 태도(38.9%), 기능(33.3%), 지식(27.8%) 순으로, 「유치원 지도서」에서는 지식(38.5%), 기능(38.5%), 태도(23.0%)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지도서에 수록된 장애 관련 활동의 내용은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에서는 장애 관련 용어 및 삽화(40.0%)가 가장 높은 비중으로, 「유치원 지도서」에서는 보조도구 및 편의시설(26.1%), 장애 영역별 체험활동(26.1%)이 높은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assist teachers to understand disability and provide holistic education by helping them comprehending and thereby establishing the educational guidelines.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compared and analyzed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for Kindergarten」and「The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It selected the following as ‘disability’ related activities within the「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for Kindergarten」and「The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terminologies or illustrations related to disabilities, disability experiences, contents relating to aidi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etc.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goals of the disability related activities recorded in「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for Kindergarten」 were attitude (38.9%), function (33.3%), and knowledge (27.8%) in that order. In「The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was knowledge (38.5%), function (38.5%), and attitude (23.0%) in that order. Second, the contents of terminologies or illustrations related to disabilities (40.0%) were the most frequent in「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for Kindergarten」. In 「The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contents of helping furniture and the comfortable equipment (26.1%), disability experiences (26.1%) were most often presented.

      • KCI등재

        누리과정에 따른 3-5세 어린이집 프로그램에 나타난 "장애" 관련 활동 분석

        조숙영 ( Suk Young Cho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현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에 따른 3-5세 어린이집 프로그램에 나타난 ‘장애’관련 활동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현장 교사들이 3-5세 누리과정의 장애이해 및 통합교육의 방향을 이해하고 ‘장애’관련 활동을 연령에 따라 적용·실천하는데 도움을 주며 앞으로 국가수준의 교육·보육과정의 ‘장애’관련 활동을 개발함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누리과정에 따른 3-5세 어린이집 프로그램 ‘장애’관련 활동의 목표, 내용, 활동유형 및 영역과 관련요소, 주제별 비중을 분석준거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장애’관련 활동의 목표는 총 24개로 3세 2개, 5세 8개, 4세 14개 비중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관련 활동의 내용은 3세 3개, 5세 11개로 이해중심접근만 보였으며, 4세는 이해중심접근 22개, 활동중심접근 1개를 보였다. 셋째, 3, 4, 5세 모든 연령가운데 활동유형 및 영역은 대·소집단 활동에서 관련요소는 의소소통, 사회관계에서 높은 비중을 보였다. 넷째, ‘장애’관련 활동의 주제별 비중은 3세 ‘어린이집과 친구’ 1개, 4세 ‘동식물과 자연’ 2개, 5세 ‘우리 동네’ 3개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sability``-related activities in nursery programs based on Nuri curriculum for 3-5 year-olds, a national curriculum, to accomplish the following three objectives: (1) allowing child care teachers to understand ‘disability``-related activities and direction of inclusive education of Nuri curriculum for 3-5 year-olds; (2) helping child care teachers apply and execute such activities according to the age of students; (3) offering basic data for developing relevant activities in the national education and child care curriculum.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goals, content, activity types and areas, relevant elements, and proportion of each topic of nursery programs for 3-5 year-olds,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The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 total of 24 goals of ‘disability``-related activities, with 2 for 3-year-olds, 8 for 5-year-olds, and 14 for 4-year-olds. Second, as for contents of ‘disability``-related activities, there were 3 for 3-year-olds and 11 for 5-year-olds with only understanding-oriented approach, while there were 22 with understanding-oriented approach and one activity-oriented approach for 4-year-olds. Third, among the age groups, the high proportion of activity types were found in large and small group activities, while major elements related were found in communications and social relationships. Fourth, in terms of the proportion by topic of ‘disability``-related activities, there was 1 under ‘Nursery and Friends`` for 3-year-olds, 2 under ‘Animals, Plants, and Nature`` for 4-year-olds, and 3 under ``My Town`` for 5-year-olds, the highest proportion.

      • KCI등재

        보육교사의 정신건강과 행복감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조숙영(Suk Young Cho),이용주(Yong Joo L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정신건강, 행복감, 임파워먼트의 변인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그 영향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임파워먼트 향상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며 보육현장에서 교사의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안과 지원책을 마련하는 데에도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보육교사 320명이었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는 전공과 학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임파워먼트는 정신건강의 불안, 우울, 불능, 부적응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복감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신건강의 우울은 임파워먼트의 의사결정과 전문성 신장에, 정신건강의 불능은 임파워먼트의 자아 효능감에, 정신건강의 부적응은 임파워먼트의 지위와 자아 효능감과 자율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정신건강의 긴장감은 임파워먼트의 전문성 신장ㆍ지위ㆍ자아 효능감ㆍ자율성ㆍ영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행복감은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모든 하위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quire about the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of mental health, feelings of happiness and empowerment of child care teachers and also to understand each variable``s influences on its counterparts. This study identified the influential factors of child care teachers and contributes not only to offering fundamental information required for program-making for teachers`` empowerment improvement, but also to facilitating the preparation of plans and supports for the empowerment improvement of child care teachers who are engaged in the field. In this study, 320 child care teachers fill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For analysis, SPSS 22.0 was used and many different methods of analysis have been appli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empowerment of child care teach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ir field of major, while no difference was shown by their level of education. Second, the empowerment h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mental health and some sub-factors, while it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a feeling of happiness. Third, feelings of happiness and mental health of child care teachers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ir empowerment.

      • KCI등재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장애`` 관련 활동 분석

        조숙영 ( Suk Young Cho ),병은 ( Byung Eun Jo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의 맥락 속에서 교사들이 장애 이해 및 통합교육을 성공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교육방향을 이해하고 설정하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장애`` 관련 활동의 목표, 내용, 5세 누리과정 영역별 비중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장애`` 관련 활동의 목표는 총 16개 중 12개(75.0%)가 장애 이해와 관련이 있고, 이와 관련된 목표는 지식 5개(41.7%), 태도 5개(41.7%), 기능(기술) 2개(16.6%)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 관련 활동의 내용은 9개 모두 이해 중심 접근(100%)의 내용으로 분류되었고, 보조도구 및 편의시설 4개(44.4%), 장애인에 관한 올바른 정보 제공 3개(37.5%), 장애인에 관한 영화와 책 1개(11.1%), 장애 관련 인물 1개(11.1%)였다. 셋째, ``장애`` 관련 활동의 5세 누리과정 영역별 비중은 사회관계 영역(71.4%)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help the teachers understand and set up the goal of education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disability and inclusive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urrent education curriculum. So the ``disability`` related activity`s goals, contents and percentages of areas of five-year-old Nuri curriculum in「Five-year-old Nuri curriculum manual for the teachers」were analyze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16 ``disability`` related activity`s goals, 12(75.0%) showed to have relation with the understanding of disability, those were knowledge 5(41.7%), attitude 5(41.7%) skill (technique) 2((16.6%). Second, all of 9 ``disability`` related activity`s contents were all classified as the content of understanding -oriented approach(100%), complementary facility & convenient facility related contents were 4(44.4%), correct information providing to the disabled people related contents were 3(37.5%), content of disabled people related movie and book was 1(11.1%), disabled people related figure was 1(11.1%). Third, among percentages by the area of ``disability`` related activity of five-year-old Nuri curriculum, social relations area (71.4%) was the highest.

      • KCI등재

        영·유아 ‘안전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조숙영(Cho, Suk-Young),류은미(Ryu, Eun-M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영․유아 ‘안전교육’과 관련하여 국내학술지 중심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0~2015년까지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영․유아 ‘안전교육’과 관련된 논문 44편을 대상으로 연구내용을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시기별 분석 결과, 영․유아 ‘안전교육’과 관련된 연구는 2009~2012년에 급격한 증가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내용별 분석에서는 ‘안전교육’ 전반에 관한 내용이 28편으로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유형별 분석 결과, 실천연구가 27편으로 교수방법의 효과와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방법별 분석 결과, 양적연구 30편, 질적 연구는 단지 2편에 불과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대상별 분석 결과, 영․유아 대상 연구가 11편으로써 만 5세를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영아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1편에 불과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영․유아 ‘안전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이 어떻게 수행되어져 왔는지 더 나아가 앞으로 수행되어져야 할 연구의 방향성 제시 및 교육현장에서 영․유아 ‘안전교육’을 실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여긴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infant and toddler ‘safety education’, based on domestic academic journals. To accomplish this, we analyzed 44 articles on infant and toddler ‘safety education’,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between 2000 and 2015. First, in considering time period, research on infant and toddler ‘safety education’ increased rapidly between 2009 and 2012. Second, in considering research content, 28 general articles on ‘safety education’ were the most frequent. Third, in considering research type, 27 articles were action research based, related to teaching method effects. Fourth, in considering research method, 30 articles adopt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hile only 2 adopt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Lastly, in considering research subject, 11 articles focused on infants and toddlers. This latter group was composed of 5 year olds, and this was the majority subject group. However, only one study focused on infants.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we have learned how research on infant and toddler ‘safety education’ was conducted during this period. Furthermore, find the direction in which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as well as obtain necessary basic material to practice infant and toddler ‘safety education’ in infant and toddler education environments.

      • KCI등재

        유아「안전교육」관련 내용 분석

        조숙영(Suk Young Cho),원혜경(Hye Kyung W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유아 안전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 준거에 의해 누리과정 관련요소별, 활동유형 및 흥미영역별, 생활주제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유치원 교사들이 유아 안전교육 관련 내용을 보다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전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며, 나아가 유아 안전교육에 필요한 실질적인 관련 매뉴얼과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데에도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째, 5세 누리과정 관련요소별에 포함된 유아 안전교육 관련 내용은 85개(32.4%)를 보인 신체운동·건강영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놀이에 대한 안전이 17개를 보여 가장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활동유형 및 흥미영역별에 수록된 유아 안전교육 관련 내용은 총 100개였으며, 그 중 대·소집단 활동이 60개 (60.0%)를 나타내어 가장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전체 활동유형 및 흥미영역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유아 안전교육 관련 내용은 24개를 보인 물건, 도구, 기구에 대한 안전으로 나타났다. 셋째, 11개의 생활 주제 가운데 유아 안전교육 관련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생활주제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이었으며 22개 (22.2%)의 유아 안전교육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in teacher``s manual for Nuri-curriculum by Nuri-curriculum related elements, activity type, interest region, and life theme based on the criteria of analysis.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help for kindergarten teachers to plan and progress the safety education related contents more systematically,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 for preparing substantial related manuals and programs that are required in safety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ighest number of contents related to the safety education of children in the five-year-old Nuri-curriculum was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 with 85 contents(32.4%), and among them, there were 17 contents for play safety that were treated with highest emphasis. Second, there were 100 contents on safety education of children listed in the activity type and interest area, and among them, there were 60 contents(60.0%) for large/small group activity that were treated with highest emphasis. Also, for contents on safety education of children, safety for objects, tools, and apparatus was highest in entire activity type and interest area with 24 contents. Third, among 11 life themes, the topic that handled contents related with safety education of children was ‘spring, summer, fall, winter’ with 22 contents(22.2%).

      • KCI등재

        어린이집교사의 정신건강, 직무만족도 및 행복감이 영유아 권리존중에 미치는 영향

        조숙영(Cho, Suk Yo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어린이집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과 정신건강, 직무만족도, 행복감 변인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그 영향력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도의 어린이집교사 2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0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구인타당도, 요인분석, 신뢰도분석을 통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상관계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 권리존중의 수준이 가장 높고 행복감 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정신건강은 직무만족도, 행복감, 영유아 권리존중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사의 직 무만족도와 행복감, 직무만족도와 영유아 권리존중, 행복감과 영유아 권리존중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정신건강과 직무만족도는 영유아 권리존중에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파악되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 to inquire into not only the correlation between right respect of infants and factors of mental health,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teachers, but also its influence on the factors. For the purpose of that, a surve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riented to 213 teachers of Child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ata analysis was based on SPSS 20.0. Also, th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rough construct validit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e finding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right respect registered the highest, while the rate of feeling of happiness ranked the lowest. Second, mental health of the teachers h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a feeling of happiness and right respect of infants. On the other hand, there i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a feeling of happiness of teachers, between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right respect of infants, finally, between a feeling of happiness of teachers and right respect of infant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mental health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right respect of infants. This fact appears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영유아 교사 인성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2000년~2017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조숙영(Cho, Suk-Young),이용주(Lee, Yong-Jo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교사의 인성교육이 요구되어지고 있는 사회적 여건 속에서 영유아 교사의 인성교육을 강화하려는 다양한 노력에 부응하기 위하여 영유아 교사의 인성교육과 관련된 국내 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앞으로 영유아 교사인성교육 관련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관련 연구를 활성화하는데 그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2000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등재 및 등재후보학술지에 수록된 논문 총 22편이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시기에 따른 분석결과 2016년과 2017년에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둘째, 연구유형에 따른 분석결과 기초연구와 실천연구가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내었는데, 기초연구에는 인성에 대한 인식 및 태도 · 요구도 · 실태 현황조사와 같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실천연구에는 프로그램 개발과 인성교육 평가 관련 연구가 진행되었다. 셋째, 연구대상에 따른 분석결과 예비교사보다 현직교사 대상의 연구가 많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넷째, 연구방법에 따른 분석결과 조사연구가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Korean studies on personality education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teacher in order to respond to social efforts to strengthen humanity education. The study intends to present research direction on personality education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teacher, as well as to provide the basis for stimulating related research.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2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s from 2000 to 201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a sharp increase was shown in both 2016 and 2017.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study types, basic research and practice researches showed the most proportion and researches such as personality, attitude, demand, actual situation survey were conducted for the basic research, while researches on program development and variables related personality education were conducted for the practical study.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study subjects, a in-service teacher"s research took more proportion than pre - service teachers. Fourth, according to the study method, the survey results showed the largest proportion.

      • KCI등재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의 ‘다문화’관련 활동 분석

        조숙영(Cho, Suk-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6

        본 연구는 현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에 수록된 ‘다문화’ 관련 활동을 분석해 봄으로써 현장의 교사들이 ‘다문화’ 교육활동을 효과적으로 실천하고 전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에 수록된 ‘다문화’ 관련 활동의 5세 누리과정 영역과 교육내용, 활동유형, 주제별 비중을 분석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다문화’ 관련 활동의 영역은 사회관계 37개(29.8%)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고, 교육내용은 관계형성 59개(48.4%), 문화이해 및 수용 24개(19.7%), 다양성 22개(18.0%), 정체성형성 17개(13.9%)의 비중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관련 활동유형은 오전 자유선택활동 56개(68.3%), 대?소집단 활동 17개(20.7%), 오후 자유선택활동 5개(6.1%), 바깥놀이 활동 4개(4.9%)순의 비중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관련 활동의 주제별 비중은 ‘세계 속의 우리나라’에서 65개로 가장 놓은 비중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들이 5세 누리과정 ‘다문화’관련 활동을 계획하고 실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 4세 누리과정에 ‘다문화’ 교육과 관련된 활동의 연계에 의미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eachers to perform and develop ‘Multi-culture’ education effectively through the analysis of ‘Multi-culture’ related activities areas and educational contents, activity types, percentages of subjects listed in the nursery Program based on the national-level Nuri curriculum for 5-year-old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Multi-culture’ related activities areas and educational contents, activity types, percentages of subjects prescribed in the Nuri curriculum for the 5-year-old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a.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e area of ‘Multi-culture’ related activity of five-year-old Nuri curriculum, social relations area 37(71.4%) showed the highest activity, while the ‘Multi-culture’ related activities accounted for: educational content 59 items of relationships formation(48.4%), 24 items of cultural understanding and acceptance(19.7%), 22 items of diversity(18.0%), 17 items of identity formation(13.9%). Second, the activity types related to ‘Multi-culture’ demonstrated: 56 items of morning free-choice activities(68.3%), 17 items of small & large group activities(20.7%), 5 items of afternoon free-choice activities(6.1%), and 4 items of outdoor fun activities(4.9%). Third, among percentages by the subject of ‘Multi-culture’ related activities of five-year-old Nuri curriculum, our country showed the largest weight in the world of 65 items. The result suggests that nursery teachers will be able to provide significant preliminary data associated with ‘Multi-culture’ education related activities in the three/four-year-old Nuri curriculum as well as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to plan and practice the ‘Multi-culture’ related activities in the five-year-old Nuri curriculum.

      • KCI등재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조숙영(Cho Suk Young),원혜경(Won Hye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에 관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초조사, 예비조사, 본 조사를 거쳐 유아교사 총 858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SPSS & AMOS 18.0을 통해 분석하였다. 먼저 기초조사에서는 유엔의 아동권리협약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구성개념 탐색 및 문항개발을 하였고, 전문가 적절성 검증을 통해 1차 시안을 마련하였다. 예비조사에서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의 유아교사 276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 척도는 ‘생명존중 돌봄 받을 권리’, ‘차별받지 않을 권리’, ‘폭력과 학대로부터 보호받을 권리’, ‘적합한 발달을 지원받을 권리’, ‘의사표현의 자유와 참여의 권리’ 등의 5요인 27문항으로 개발되었다. 본 조사에서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강원도 및 충청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의 유아교사 582명의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 척도의 측정모형의 적합성이 입증되었으며, 내적합치도(Cronbach’s α)는 .93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 척도의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해 유아권리존중 실행척도와 pearson’s 적률상관분석 결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가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을 측정하는데 신뢰성 있고 타당한 것임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for infant right awareness of infant teachers. For this purpose, 85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SPSS & AMOS 18.0 though basic , preliminary and main surveys. In the basic survey, first, configuration concept was explores and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Rights of the Child and review of preceding literatures and the first draft was prepared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e experts. In the preliminary survey, questionnaires with 276 infant teachers of children education institute located at Seoul and Gyeonggi-do were used to perfor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5 factors and 27 questions were developed. Five factors include ‘Respect for life. right to be cared’, ‘Right not to be discriminated’, ‘Right to be protected from violence and abuse’, ‘ Freedom of expression and right to participate’. This study verifi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by using questionnaire data of 582 infant teachers of child education institute located at Seoul, Gyeonggi - do, Gangwon - do and Chungcheong - do. As a result, it is proved that measurement model of infant right awareness scale of infant teacher is appropriated, showing .93 of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ronbach’s α). For verification of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infant right awareness scale of infant teacher,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as observed as the result of Pearsons’s product-moment correlation with respect for infant rights execution measure. Such results confirm that the scale developed in the following study is reliable and valid in measuring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