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smos를 활용한 식 현상 교육 자료 개발

        조미선,김중복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8 현장과학교육 Vol.12 No.1

        Eclipses, both solar and lunar, were causes of fears for the people in the past. On the other hand, they are natural phenomena that attract a great deal of interest to us living in the modern times as well as to the students who are learning science. Many people, however, do not really understand the eclipse phenomenon. For this study, we developed educational materials by integrating both the content of light ray in physics and the phenomenon of eclipse in earth science. Educational materials were developed by using the Desmos program (http://teacher.desmos.com), which can draw graphs, figures or pictures using mathematical languages such as equations, functions, and vectors. These educational materials can be used to explain the positional relationships of the sun, the earth, and the moon and how the parallel rays which are caused by the light coming from afar reach the observers. 일식, 월식과 같은 식 현상은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에게는 두려움을 일으키는 현상이었으며, 현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도 많은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자연현상이다. 하지만 식 현상에 대한 이해는 깊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구과학 교과에서 다뤄지는 일식 현상과 물리 교과에서 배우게 되는 광선작도의 내용을 통합하여 교육 자료를 개발하였다. 자료는 방정식, 함수, 벡터 등 수학의 언어를 사용하여 그래프나 도형, 그림을 그릴 수 있는 Desmos 프로그램(http://teacher.desmos.com)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이 교육 자료를 통해 태양, 지구, 달의 위치 관계 및 멀리서 오는 빛의 경우 관측자에게 평행광선으로 도달하는 것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형사합의 제도화에 관한 소고

        조미선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東亞法學 Vol.- No.95

        Criminal agreements cause various problems, but they greatly contribute to the recovery of crime damage suffered by victims and the social community. Criminal agreements should be formally institutionalized to seek actual damage recovery while preventing problems. Therefore, in this article, I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the ‘Criminal Agreement Center’ as a permanent criminal agreement instrument under the Korean Bar Association. The subject case should be decided considering the intention of the parties and the need for recovery. Parties can request a case to the Center at any time, and the criminal settlement procedure is carried out by restorative justice experts. Parties could receive legal assistance from a lawyer, and the instrument must have a plan to protect and support victims. The result of the criminal agreement should be evaluated based on the damage recovery and efforts to recover the damage and reflected in the criminal procedure. ‘형사합의’는 가해자와 피해자가 형사절차에 영향을 미치기 위하여 손해의 전보 등을 주된 내용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화해이다. 형사합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야기하고 있으나, 피해자, 사회공동체가 입은 범죄피해의 회복에 크게 기여한다. 형사합의를 공식적으로 제도화 하여, 형사합의의 문제점들을 방지하고, 실질적 피해회복을 추구하여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대한변호사협회 산하 상설 형사합의기구로서 ‘형사합의센터’의 신설을 제안한다. 대상사건은 당사자의 의사 및 피해회복의 필요성을 기준으로 한다, 당사자들은 언제든지 형사합의센터에 사건을 의뢰할 수 있고, 형사합의절차는 회복적 사법 전문가들에 의해 진행되며, 형사합의절차 중 필요한 경우 변호사의 법률지원을 받을 수 있고, 피해자에 대한 보호 및 지원 방안도 갖추어야 한다. 형사합의결과는 피해회복 및 피해회복을 위한 노력을 기준으로 평가되어 형사절차에 반영되어야 한다.

      • KCI등재

        피해자의 정의 및 피해자 변호사 역할에 관한 소고

        조미선 대한변호사협회 2021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99

        Criminal procedure have developed in the adversarial system. In this system, while dealing with the rights of prosecutors and defendants, victims have been excluded. But there is criticism that victims should be encourage to participate in the criminal procedure and should be protected from other damage. Recently, Lime Case, one of the Financial Fraud case made in South Korea, victim’s lawyer was not recognized as victim’s lawyer and was not allowed to attend the trial. The court explained on the matter that the case does not suppose the victim and the prosecutor didn’t ask for attendance of victims’ lawyer in advance. It seems that the court think ‘victims’ as ‘people whose legal interests have been directly damaged due to a crime’. But this nomination of victims does not cover the people who have interests in participating criminal procedure or be protected and supported through out the criminal procedure. And, the court seems to haven’t allowed the right of attendance on the trial to victims’ lawyer. Though the procedure rights are guaranteed to the some of the victims’ lawyer, usually the lawyer of a case on Sexual Crime of Violence, it should be expanded to all of the victims’ lawyer. 과거 형사절차는 당사자주의 소송구조에 입각하여 검사의 기소권과 피고인의 방어권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왔다. 피해자는 당사자주의 소송구조에서 당사자의 지위가 인정되지 않았고, 이에 따라 형사절차에서 배제되어 왔다. 그러나, 피해자가 형사사건의 직접적인 이해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형사절차에서 배제된다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학계 및 실무계에서는 이러한 관점의 변화를 수용하여, 피해자를 형사절차에 참가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논의를 시작하게 되었고, 이러한 논의를 기반으로 제도가 정비되거나 법률이 제정되었다. 최근 라임사태와 관련하여 피해자 변호사가 법정에 출입하고자 하였으나 그 출입을 제지당하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피해자 변호사의 출입을 허용하지 않았던 법원은, 본 사건은 법률상 피해자를 상정할 수 없는 사건이고, 검찰이 재정 증인으로 피해자 변호사를 신청하지 않았기 때문에 피해자 변호사의 법정출입을 허용하지 못하였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혔다. 법원은 ‘피해자’의 개념을 ‘형사실체법상 직접적인 보호법익을 향유하는 주체’로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오늘날 피해자 또한 형사절차에 참가할 이익을 가지고 있는 자로서 형사절차에의 참가를 보장하고, 피해자가 그 과정에서 2차 피해를 입지 않도록 제도적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데, 피해자의 개념 또한 이러한 절차참가적 이익, 권리보호의 필요성의 측면에서 정의하여 ‘당해 혐의사실(범죄행위)로 인하여 법률상 불이익을 받게 된 자’로 확장하여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법원은 피해자 변호사에게 공판기일에 출석할 권한을 특별히 인정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현행법률상 피해자 변호사에 관한 규정(특히 권한에 관한 규정)이 성범죄 등에 관한 특별법에 국한되어 있고, 일반 형사소송법에 마련되어 있지 않아 적절히 보장되지 못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피해자 변호사를 모든 범죄에 대하여 인정하고, 피해자 변호사의 권한에 관한 규정을 일반법률(형사소송법)에 규정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지구과학 영역의 과학적 소양 분석

        조미선,정진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6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9 No.3

        This study is conducted to search about changing earth science contents influenced by the scientific literacy from the 7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arth science area is divided into astronomy, geology, meteorology and oceanography contents. Among the elements of scientific literacy, the contents were analyzed focusing on STS elements. In the astronomical and meteorological content areas, there were aspects of scientific literacy in all periods from the 7th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xcept for the 2007 revised curriculum in the geological area and the 7th curriculum in the oceanographic content area, the aspects of scientific literacy appeared at all times. It is emphasized the usefuln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astronomical content area and the use of science in everyday life in geological and meteorological content area. In the oceanographic content area, it is emphasized that content of science related social issue such as resource shortag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is study can be extended to the fields of physics, chemistry and life science, we suggest to inquire the scientific literacy as a integrated science.

      • KCI등재

        양돈사료 첨가용 김치 유산균의 효능

        조미선,한선경,유지경,최지현,구본철,신명수,안종석,이완규 한국임상수의학회 2008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25 No.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Lactobacillus spp. W44 and J124 strain isolatedfrom Kimchi on the growth rate, average daily gain (ADG), feed conversion and change of intestine microflora inthe weaning piglets. In the experiment 1, growth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o 28.5 4.3 kg and 27.6 3.3 kgafter oral administration of W44 and J124 strain as feed additives, respectively (p. 0.05). ADG and feed conversionwere also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administration during 44 experiment days (p. 0.05). In the analysis of intestinalmicroflora, the number of Lactobacillus spp. in the experiment group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100 to 1,000 timescompared to those of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 2, the efficacy of W44 and J124 strains on the growth rate,ADG, feed conversion and change of intestine microflora were reconfirmed significantly (p 0.05). However, there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feed conversion in the W44 bead and J124 bead groups. In summary, our resultssuggest that W-44 and J-124 stains from Kimchi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and it may be useful probiotic strains for the weaning piglets as feed additives.

      • KCI등재

        남북한 중학교 과학에서 빛에 관한 교과서 내용 분석

        조미선,김중복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9 현장과학교육 Vol.13 No.4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ntent of textbooks about light in the science of middle school in North and South Korea.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textbooks of 2015 revised curriculum of South Korea's <Middle School Science 1> and North Korea's first general 12-year compulsory education program <Elementary Middle School Natural Science 1> in 2013.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erms of content, South Korea was dealing with light and wave in one unit, and North Korea was only about light. The process of viewing objects, color synthesis, reflections and reflections of light were common to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contrast to the fact that South Korea is logically organized according to scientific concepts, North Korea differs in that it has a theme in terms of influence and utilization in life. In terms of compositio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were relatively similar in terms of introduction of unit, development of content, and completion of unit. However, North Korean textbooks feature Kim Jong Il teaching and emphasize discussion activities. In terms of terms, color, color light, and light lines, we can see that words of light are used differently from South Korea.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 중학교 과학에서 빛에 관한 단원의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남한의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1>과 북한의 2013년 제1차전반적12년제의무교육강령 <초급중학교 자연과학 1> 교과서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용면에서 남한은 빛과 파동을 한 단원에서 함께 다루고 있었고 북한은 빛에 관한 내용만 제시되어 있었다. 물체를 보는 과정, 색 합성, 빛의 반사와 굴절에 관한 내용은 남한과 북한에 공통적으로 나타나 있었다. 남한은 과학 개념에 따라 논리적으로 구성된 데에 비해 북한은 생활에서의 영향과 이용의 측면에서 주제가 구성되어 있다는 데에는 차이가 있었다. 구성면에서 남한과 북한은 단원의 도입, 내용의 전개, 단원 마무리 전개로 비교적 유사하였으나 북한 교과서에는 단원의 도입에 김정일 교시가 나타나고, 토론 활동이 강조되고 있다는 특징이 있었다. 용어면에서 색갈, 색빛, 빛선 등 남한과는 다르게 빛에 대한 단어가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7차 및 2015 개정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생활과 과학」 교과 내용 비교

        조미선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9 현장과학교육 Vol.13 No.4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Life and Science', the high school curriculum of the 7th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examined through the curriculum and textbook. In both the 7th and 2015 revised curriculum, Life and Science is an elective subject that will be learned after the 10th grade take a common course. In the curriculum, both periods were divided into four areas, and 'healthy living' and 'convenient living' were the same domains. Even if they had the same domain name,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urriculum period and the contents were composed of the material with high social interest at that time. Textbooks consisted of middle units according to the subject or core concept of the curriculum and subunits were made to reflect achievement criteria. Inquiry activities are the 7th curriculum was twice as much a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proportion of experiments, discussions, surveys and data interpretation was evenly selected. Dur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re were many survey activities. 본 연구에서는 7차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교과인 「생활과 과학」의 내용을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통해 알아보았다. 7차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생활과 과학」은 10학년의 공통과정을 이수한 후에 배우게 되는 선택과목으로, 교과 내용에서는 두 시기 모두 4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동일한 명칭의 영역으로‘건강한 생활’과 ‘편리한 생활’이 있었다. 동일한 영역 명을 가지더라도 교육과정 시기에 따라 교과 내용이 달랐으며 그 당시의 사회적 관심도가 높은 소재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었다.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주제 또는 핵심개념을 따라 중단원이 구성되었고 성취기준을 반영하여 소단원이 구성되어 있었다. 탐구활동은 7차 교육과정 시기가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 비해 2배 정도 많았으며 실험, 토의, 조사, 자료해석이 모두 고른 비중이었고,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는 조사 활동이 많았다.

      • 초등학교 저학년 대상 문화 주제 중심 영어교육 프로그램 효과

        조미선,박선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6 교육논총 Vol.36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대상 문화 주제 중심 영어 교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영어 능력, 문화 이해도, 동기와 태도 등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한 초등학교의 2학년 한 학급 26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실시되었다. 개 발된 프로그램은 인사말,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 그리고 생활용품의 다섯 가지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주제는 2학년 교과과정과 EBSe에서 추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지적?정의적 영역을 묻는 설문지를 통하여 양적 자료를, 학습일지를 통해서는 질적 자료를 수집 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주제 중심 문화 영어 교수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영어능력과 문화 이해 능 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영어 학습 집중력과 학습 동기를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영어교육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과 제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