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 필자의 독자 인식 양상 :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정혜승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9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9 No.-

        이 연구는 학생들의 쓰기 능력 계발을 목표로 하는 교육에서 필자의 독자 인식 능력을 제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전제 아래 학생 필자들이 독자(audience)를 인식하는 양상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 학생 필자는 글을 쓸 때 독자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가? 2) 학생 필자는 글을 쓸 때 독자를 어느 정도로 인식하는가? 3) 쓰기 과제에서 독자가 제시되지 않을 때 학생 필자는 예상 독자를 누구로 상정하는가? 4) 학생 필자는 예상 독자에 따라 독자를 고려하는 방식을 달리해야 한다고 인식하는가? 5) 학생 필자의 독자 인식 정도와 실제 독자 고려 사이에 상관이 있는가? 등 다섯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서울과 경기 지역 세 개 초등학교 2, 4, 6학년 29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글쓰기 과제를 투입하였다. 설문지와 글 분석 결과 초등학생들은 독자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며, 자신이 독자를 잘 고려하여 글을 쓴다고 생각하고 있고, 독자가 달라지면 그를 고려하는 방법이 달라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실제 독자를 고려하는 능력 면에서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독자가 제시되지 않을 때 주로 교사를 독자로 상정하나, 4, 6학년의 경우 자기가 알지 못하는 사람을 독자로 상정하는 비율이 높아 학년별로 차이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학생들이 실제로 독자를 고려할 수 있도록 수사적 이동과 같은 구체적인 독자 고려 전략을 지도해야 한다는 점, 교실 밖의 실제 다양 한 독자를 대상으로 글을 쓸 기회를 제공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이 활성화된 쓰기 상황과 맥락을 제공해야 한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Based on the notion that increasing awareness on audience is important for student writers in teaching writing to develop students' writing skills,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on audience awareness of student writers. The following five questions were raised for this paper: (1) whether students think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audience when writing; (2) how much do they think about the audience when writing; (3) who do they evoke as the audience when a target audience is not set for them; (4) are they aware that they write considering different audiences; and (5)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students awareness of their audiences and the actual level of audience consideration.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294 second, fourth and sixth graders in Seoul and Gyeonggi-do elementary schools, who were also given a writing task. The survey and student writing showed that audience awareness is important. The students thought that they were good writers if they think about the audience, and recognized that their writing should change when the audience changes. However they were lagging is actually considering the audience. When a target audience is not set, they set their teachers as the audience. But more fourth and sixth graders tended to set someone they do not know as the audience, showing the difference among the gra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Students should be taught of specific methods on how to be aware of their audiences. They also should be provided with many opportunities to actually write for various audiences outside of class, and with situations where social interactions are emphasized.

      • KCI우수등재
      • 국어 교과서 연구의 현황과 반성

        정혜승 국어교육학회 2003 國語敎育學硏究 Vol.16 No.-

        전통적으로 교과서는 가장 중요한 교재로 인식되어 왔으며, 우리 나라와 같이 교과서를 교육과정과 동일시하는 교과서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질 때 교과서의 위치는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과서가 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만큼 교과서에 대한 연구는 비중있게 다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미국과 마찬가지로 우리 나라에서도 그 중요성에 비해 교과서 연구가 그다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고 보기 어려우며, 국어과의 경우 교과서와 관련된 단행본이 거의 없을 정도로 교과서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부족한 형편이다. 이 연구에서는 교과서 연구의 범위를 1) 교과서 체제에 대한 연구, 2) 교과서의 내용 분석 및 교과서와 교육과정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3) 교과서 제재에 대한 연구, 4) 교과서 사용에 대한 연구, 5) 교과서 개발 방향에 대한 연구로 범주화하여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국어 교육학계에서 이루어져 온 교과서 연구의 흐름을 연구 내용과 방법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교과서 관련 연구를 분석하면서 제기된 문제 의식에 기반하여 교과서 연구를 개발의 패러다임을 벗어나 실행의 패러다임 속에서 수행할것, 실증적인 연구 방법을 도입할 것, 교과서 연구의 외연을 확장할 것, 교과서 평가에 관련된 연구를 수행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Traditionally, a textbook has been recognized as the most ir'npbrtdnt teaching materials. and it can be said that a textbook occupies an absolute position in education when textbook-centered education that a textbook is identified with a curriculum is performed like Korea. Like this, the study on a textbook should be treated with weight to the extent that it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education. It is. however, difficult t o see that the study on a textbook has been so actively performed compared to the importance also in Korea like America, and concentrative research on a textbook is actually insufficient to the extent of the scarcity of a separate volume related to a textbook in the case of the department of the Korean language. In this study, I have analyzed the flow of the study on a textbook whiah has been carried out in Korean education circles on the aspects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study centered on theses by categorizing the scope of the study on a textbook into 1) the study on its system, 2) the analysis of its contents and the study on the relatedness between it and a aurfioulm, 3) the study on its text materials, 4) the study on its use, 5) the study on the directions of developing it.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problem that I raised while analyzing the study related to a textbook, I have suggested that the study on it should be performed in the paradigm of executing it out of the paradigm of developing it, that positive methods of study should be introduced, that the extension of the study should be expanded, and that the study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a textbook should be performed.

      • 유치원에서의 인터넷 커뮤니티 활용 실태 분석

        정혜승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2 No.-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활용의 실태를 알아보고 역할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유치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인터넷 커뮤니티 6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전체 게시판을 분석하고 일정기간동안의 회원 참여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뮤니티의 게시판이 특정 게시판이 과도하게 구성되어 있고, 부족하거나 개설되어 있지 않은 게시판도 있어 게시판의 구성이나 이용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작용의 장인 인터넷 커뮤니티의 특성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단지 필요에 의한 운영을 하고 있어서 운영자와 교사, 학부모, 유아들 간의 올바른 협의와 활발한 상호작용을 위한 소통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 커뮤니티 안에서 일반회원, 즉, 학부모나 유아보다는 교사와 원장, 원감등 유치원 운영관리자가 더 많은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인터넷 커뮤니티 전체 가입자 중에서 실제로 글을 올리고 댓글을 다는 게시판 활동을 하는 회원은 전체 1% 미만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활동하는 회원 중에서 교사나 원감과 회원간의 활동 비율이 각각 50%정도인 곳은 한곳에 불과했다. 넷째, 운영자 스스로 인터넷 커뮤니티의 목적이 무엇인지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 유치원은 가장 먼저 커뮤니티의 목적이 무엇인지 명확히 규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커뮤니티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와 관심사에 대한 토론, 주제 등에 대한 요구사항에 대해 운영자, 교사, 학부모, 유아 모두의 입장에서 정확하게 파악하여 커뮤니티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고 올바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the use of an internet community managed by kindergartens, and to expose the role of this community. Following is the research question that informs the aim of this study. 1. How is the use of an internet community managed by kindergarten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ix internet community websites managed by kindergartens. The research methodology I employed in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boards in detail, and to investigate the proportion of attendance of the members for certain periods of tim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indicated an inefficient management of construction and use of the boards. This is influenced by the excessive construction of specific boards and also the lack in, or absence of, certain community boards. Second, the study verified a need for an endeavor to achieve an interactive communication and a bilateral negotiation among system operators, educators, parents and children, as the internet communities are currently only run due to necessity, and fail to incorporate the element that largely constitutes an interactive internet community, which emerges as a place of interactive communication. Third, the study indicated that stake holders in kindergartens such as teachers, directors were more active in the internet communities than general members such as parents and children. The investigation indicated that less than one percent of all members of kindergarten internet communitie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internet communities, by writing comments and uploading opinions. Only one internet community, among all of the active members in the internet communities, indicated a fifty percent proportion of the participation respectively from teachers, directors and general members. Fourth, it is necessary for operators to clearly define the aims of the internet community. If the kindergartens aim to promulgate their pedagogical intentions to general members, it is advisable for operators to construct additional boards, or explanations, so to assist general members to develop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yllabus and curriculum. Thus, firstly, the kindergartens must devise an articulate definition of intentions of the community. Then, based on this, the kindergartens must efforts to achieve an interactive community, by understanding thoroughly the perspectives of the operators, teachers, parents, and children, in relation to their requirements of discourses and themes of interests, or information which the community wants to prov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