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농촌마을의 커뮤니티 공간 조성을 위한 보호수 잠재력 분석 - 김천시를 중심으로 -

        정태열,김은진,Jung, Tae-Yeol,Kim, Eun-Jin 한국조경학회 2017 韓國造景學會誌 Vol.45 No.1

        1970년대에 새마을 운동의 실시로 새마을회관이 조성된 것이 정책적으로 마련된 커뮤니티 공간의 시초이다. 이후에도 마을회관이나 노인정과 같은 실내 커뮤니티 공간이 주로 조성되어 왔으나, 1990년대에 농촌 마을쉼터 조성사업을 실시함으로써 정책적으로 실외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관심이 시작되었다. 한편, 보호수는 산림보호법 제13조(보호수의 지정관리)에 의거하여 시도지사 또는 지방산림청장이 보호할 가치가 있다고 인정하여 지정한 노목, 거목, 희귀목을 의미하며, 휴식 및 휴양을 위한 문화공간으로서의 기능을 갖추고 있어서 지역민의 생활의 장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수의 효용가치는 농촌마을의 사라져가는 공동체를 회복하기 위해 높이 평가되기도 하고, 보호수를 활용하여 농촌 마을쉼터나 소공원과 같은 커뮤니티 공간이 조성될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보호수의 효용가치는 보호수의 현황이나 주변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농촌에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서 어떤 보호수를 우선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인지를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나, 이와 관련된 연구와 노력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에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보호수의 잠재력을 평가하여 향후 보호수를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먼저, 김천시에서 지정 관리하고 있는 40본의 보호수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문헌조사를 실시하여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보호수의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해 9개 항목을 선정하고, 이 평가항목들을 접근성, 공공시설과의 연계성, 환경성 및 안전성, 상징성, 조성 용이성의 5개 요소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보호수를 평가요소별로 잠재력 정도에 따라 1~5점으로 차등 평가한 후, 이 점수들을 합산하여 보호수의 최종 잠재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최종 잠재력(최대값은 25점)이 20점 이상으로 가장 높은 보호수는 7번과 12번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잠재력이 높은 보호수가 효용가치도 높다고 할 수 있으므로,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이 보호수들을 우선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During the 1990s, policy was put in place to create resting spaces in rural areas. This policy was associated with a government project to improve the rural residence environment and it attracted attention to outdoor spaces in rural areas. Many communities have gradually disappeared in rural areas but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at legally protected trees might provide resting and cultural spaces in a given rural community. The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 can be improved by legally protected trees and by doing so, these resources may then help to sustain many rural communities. Therefore, the creation of resting spaces or mini-parks created around trees that are protected by in rural communities should be considered. The value of trees that are protected by law can differ depending on the status of the trees or the surroundings. Nevertheless, there has not been systemic research regarding legally-protected trees in terms of rural communities. This study aims at evaluating the potential of these trees and at analyzing how these trees can be useful in the creation of community spaces in rural areas. The findings can be helpful in providing foundation data for creating these types of community spaces. Forty legally protected trees in Gimchon City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Nine items were used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the trees for creating community spaces. These items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factors including accessibility, relation to public facilities, environment and safety, symbolism, and ease for creating community spaces. The potential of the legally protected trees was evaluated by 5-point Likert Scales in a given item. The overall potential was evaluated by the sum of individual item scores. Specifically, trees with over 20 points (max. 25 points) could be considered high potential. According to the empirical findings, the portion of legally protected trees with high potential is five percent (No.7 and No.12 trees). Therefore, the priority is to protect or use the trees for the creation of community spaces that can help make a better residential environment for rural communities.

      • SCOPUSKCI등재

        중증 폐동맥협착증의 외과적 치료 -1례 보고-

        정태열,반동규,김혁,김영학,정원상,강정호,지행옥,이철범,김남수,서정국,Jung, Tae-Yeol,Ban, Dong-Gyu,Kim, Hyuck,Kim, Young-Hak,Chung, Won-Sang,Kang, Jeong-Ho,Jee, Heng-Ok,Lee, Chul-Bum,Kim, Nam-Su,Seoh, Jung-Kuk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3 No.12

        정상심실중격의 폐동맥협착은 흔한 선천성 심장질환이지만 신생아기에 심한 증세를 보이는 위기적 폐동맥 협착은 드물며 예후도 대단히 나쁘다. 경피적 풍선 판막성형술의 발달과 함께 폐동맥협착의 외과적 치료는 더욱 줄어드는 추세이다. 본 증례는 정상심실중격의 위기적 폐동맥협착증으로 진단받은 생후 2일된 남자 신생아로 심한 청색증과 저산소증을 보여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환아는 산소공급 및 Prostaglandin E$_1$을 투여 후 동맥혈 산소 분압이 19 mmHg에서 54mmHg로 증가하였다. 경피적 풍선 판막성형술을 시도하였으나 유도도관(Guide wire)이 판막의 개구부를 통과하지 못하였고 시술도중 심낭내로 조영제가 고이는 소견을 보여 우심실 천공이 의심되었으므로 응급으로 정상체온의 체외순환하에서 폐동맥 절개후 폐동맥 판막절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중환자실에서의 수술경과는 양호하였고 현재 수술 6개월째 외래 추적관찰중이다.

      • KCI등재

        풍수입지가 부동산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분당중앙공원 인근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정태열(Jung, Tae Yeal),박문수(Park, Mun Su) 대한부동산학회 2021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9 No.2

        본 연구는 분당의 중앙공원에 대한 풍수적 입지를 평가하고, 공원 주변의 아파트 단지별 가격이 풍수적인 영역에 따라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동양과 한국사회에서 오랜 시간 동안 풍수라는 실용학문은 도읍지나 군현(郡縣)의 대지(大地)는 물론 씨족 공동체나 개인의 사생활을 위한 소지(小地)를 선점하는 상지술(相地術)로 자연의 공간을 대상으로 활용되었다. 본 연구는 분당신도시 중앙공원 인근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풍수 입지가 부동산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사례 검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괏값을 얻었다. 첫째, 용(龍배)의 배산임수 입지는 부동산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혈(穴)의 백호 중심입지에 있을수록 부동 산가치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사신사의 경쟁우위 입지가 상대적으로 부동산가 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내당수, 탄천과의 합수되어 현무 뒤로 사라지는 수세는 부동산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안정화된 안산의 중앙공원은 부동산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location of Feng Shui in the central park in Bundang-gu, Seongnam-si, and to find out how the value of each apartment complex near the park is affected by the Feng Shui location. For a long time in Eastern and Korean society, the practical study of Feng Shui has been used as a point of view of preoccupying not only large lands in capital cities and towns, but also small lands for clan communities and individual privacy. This study focused on whether the Feng Shui location affects the property value, focusing on the apartment complex near the Central Park in Bundang new town.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through case verification. First, the location of ‘Dragon(龍), mountain in the front’ has a positive effect on property value. Second, the more ‘hyeol(穴), Center Baegho’ locations are, the more positively the property is. Third, the competitive advantage location of ‘Sasinsa(四神沙)’ has a relatively positive effect. Fourth, the river condition that ‘Naedangsu’ combined with Tancheon is disappearing behind ‘Hyeonmu’ has a positive effect on property value. Fifth, the location of ‘Ansan’ providing a well-established lo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property value.

      • KCI등재

        교통정온화 경관시설물 디자인 기법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

        정태열 ( Jung Tae Yeol ),김묘정 ( Kim Myo Jung ),황인진 ( Hwang In Jin ) 한국경관학회 2016 한국경관학회지 Vol.8 No.2

        본 연구는 국내 도로환경을 인간중심의 환경에 적합하도록 교통정온화 경관시설물에 디자인기법을 적용해보는 기초연구로, 교통정온화 경관시설물의 항목 선정과 그에 따른 디자인기법 도입을 위한 디자인 개념 및 방향 설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현장조사를 통해서 진행되었다. 연구내용은 1) 관련 자료 검토 및 국내외 사례조사 분석, 2) 교통정온화 경관시설물의 항목 선정 및 분류, 3) 교통정온화 경관시설물 디자인 개념 및 방향 설정 등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는 교통정온화 경관시설물의 항목선정에서는 보행자용 방호울타리·자동차진입억제용 말뚝·가로등·교통섬·회전교차로·녹지대·자전거 보관대·휴게의자·상징조형물 등 9종이 선정되었고, 디자인 개념 및 방향은 안전한·비우는·통합되는·기억되는·지속가능한 등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형 교통정온화 경관시설물에 디자인 지법을 적용하여 쾌적한 도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디자인 방안을 도입한 것이다. 향후 지속적으로 가로 특성별 우선 항목선정과 그에 따른 세부 디자인기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landscape furniture design technique for traffic calming in order to adapt the domestic road environment to the human-centered environment. The research method includes a literature review and field research. The study contents are as follows: 1) review of domestic and overseas case studies, 2) select and classify the items of traffic-friendly landscape facilities, 3) set the design concept and direction of the landscape furniture for traffic calm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9 items such as guard fences for pedestrians, bollard, street lights, traffic islands, roundabouts, green spaces, bicycle shelters, bench, and symbolic sculptures were selected. The design concept and direction were set as safety, empty, integrated, memorized, and sustainable. This study introduces a design method to create a pleasant road environment by applying design traffic calming technique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study the application of the priority item selected by the road characteristics.

      • KCI등재

        대구광역시 초중고등학교 조경 수목 식재 현황 및 특성 분석

        정태열 ( Jung Tae-yeol ),박금미 ( Park Kum-mi ) 한국경관학회 2021 한국경관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초중고등학교 396개소를 직접방문 후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조경 수목의 식재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는 향후 대구광역시 학교숲 조성에 기초자료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교목의 수종은 106종, 수량은 63,934주로 나타났으며, 교목(喬木)은 느티나무, 향나무, 은행나무가, 교화(校花)는 장미, 목련, 개나리등 우리나라에서 대중적인 수목이 지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중고별 교목의 수종의 수량은 느티나무, 가이즈까향나무, 은행나무, 소나무 순으로 많이 나타났으며, 상록수인 가이즈까향나무와 소나무가 많이 식재되어 학생들이 수목에 의한 계절의 변화를 느끼는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수목의 다양성을 살펴보면, 교목의 다양성, 상록수의 다양성, 낙엽수의 다양성은 중학교 보다 초등학교와 고등학교가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교목 평균 수종은 22종, 상록수 평균 수종은 7종, 낙엽수 평균 수종은 15종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교목 10종 이하, 상록수 수종이 3종 이하, 낙엽수 수종이 7종 이하인 학교는 수목의 다양성을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상록수와 낙엽수 비율을 살펴보면, 초중고별 상록수 30%이상∼50%미만인 학교가 51.6%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상록수 30%미만과 50%이상인 학교는 향후 대책이 요구되며, 상록수 50%이상인 학교는 상록수 중심의 편향된 식재구성에서 벗어나 낙엽교목의 수종을 보완하는 것이 학생들에게 계절의 변화를 느낄 수 있게 하여 심리적 안정감과 지적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conducted complete enumeration after visiting 396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examined the status of their landscape planting. It is judg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the future creation of school forest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o sum 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as for trees, there were 106 species and 63,934 trees, and that Zelkova serrata, juniper, and gingko were designated as school trees, and rose, Magnolia kobus, and forsythia as school flowers, respectively, all of them being popular trees and plants in South Korea.. Second, as for the quantities of trees in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according to their species, Zelkova serrata was found most, followed by J. chinensis var. kaizuka, and Pinus densiflora; and it is deemed that there are limitations in students’ feeling a change of season from trees and plants. Third, as for the diversity of trees and plants, it may be said that trees such as evergreen trees and deciduous trees were more diverse in elementary schools and high schools than in middle schools. It was found that the trees consisted of 22 species, the evergreen trees 7 species, and the deciduous trees 15 species, respectively, on average; and thus it may be said that particularly schools, which had trees of 10 species or below, evergreen trees of 3 species or below, or deciduous trees of 7 species or below, urgently need measures to diversify their trees and plants. Fourth, as for the ratio of evergreen trees to deciduous trees, it was found that schools where evergreen trees accounted for 30% - 50% among their trees were highest 51.6%. In particular, it is deemed that as for schools with evergreen trees of 30% - 50%, they will have to take countermeasures in the future, and as for schools of evergreen trees of 50% or more, they will have to supplement the species of deciduous trees, breaking away from their composition of planting biased towards evergreen trees, so that students may feel a change of season, which will contribute to their psychological stability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 KCI등재

        탄소저감형 그린네트워크 도로 조성을 위한 중앙분리대 녹화유형 선호도 및 중요도 분석

        정태열 ( Jung Tae-yeol ),박금미 ( Park Kum-mi ) 한국경관학회 2020 한국경관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친환경 도로 공간 및 주변의 경관을 고려한 탄소저감형 그린네트워크 도로 조성을 위해 최적의 중앙분리대 녹화유형에 대한 선호도와 중요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탄소저감형 그린네트워크 도로 중앙분리대 폭원은 3.0m 녹화형태는 교목을 가장 선호하고 그 다음은 소교목, 관목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탄소저감형 그린네트워크 도로 중앙분리대 폭원별 녹화유형은 폭원 2.0m는 잔디+관목, 2.5m는 잔디+소관목+관목, 3.0m는 잔디+소관목+소교목, 그리고 3.5m의 경우 잔디+관목+교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탄소저감형 그린네트워크 도로 녹화유형 평가지표 중요도 분석 결과, 폭원 2.0m, 2.5m 경우 단순한 녹화유형 일수록 경제성 지표가 높게 나타났으며, 다양한 녹화유형 일수록 경관성과 환경성 지표가 높게 나타났다. 폭원 3.0m, 3.5m 경우 단순한 녹화유형 일수록 시공 및 유지 관리성 지표가 높게 나타났으며, 다양한 녹화유형 일수록 경관성과 환경성의 지표가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optimum median strip greening types for the creation of low-carbon green network roads that take into account the environment-friendly road spaces and surrounding landscap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s for the width of median strip for low-carbon green network roads, 3.0m was most preferred, and as for greening type, shrubs were most preferred, followed by small shrubs and trees. Second, as for greening types according to the width of median strips for low-carbon green network roads, it was found that in the case of the width of 2.0m, lawn + small shrub + tree was preferred, in the case of 2.5m, lawn + small shrub + shrub, in the case of 3.0m, lawn + small shrub + small tree, and in the case of 3.5m, lawn + shrub + tree, respectivel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greening types of low-carbon green network roads, in the case of the width of 2.0 m and 2.5 m, the indicator of economic efficiency was found to be high among simpler greening types, and the indicators of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were found to be high among more diversified greening types. In the case of the width of 3.0m and 3.5m, the indicator of construction and maintainability was found to be high among simpler greening types, and the indicators of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were found to be high among more diversified greening types.

      • KCI등재

        그린네트워크 도로 조성을 위한 비탈면 기울기에 따른 녹화유형 경관 선호도 및 중요도 분석

        정태열 ( Jung Tae-yeol ),박금미 ( Park Kum-mi ) 한국경관학회 2021 한국경관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로의 공간 및 주변의 경관을 고려한 그린네트워크 도로 조성을 위해 비탈면 기울기에 따른 16가지의 녹화유형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경관 선호도 분석, 중요도 분석을 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그린네트워크 도로의 비탈면 기울기에 따른 녹화유형은 기울기 1:1.0이하는 녹화유형4(비탈면:지피+관목/소단:지피+소관목+소교목(상ㆍ하단 식재)), 기울기 1:1.2∼1:1.5는 녹화유형8(비탈면:지피+관목(상ㆍ하단 식재)/소단:지피+소관목+소교목(상ㆍ하단 식재)), 기울기 1:1.8∼1:2.0는 녹화유형12(비탈면:지피+관목+소교목/소단:지피+소관목+교목), 기울기 1:2.5이상은 경우 녹화유형16(비탈면:지피+관목+소교목+교목/소단:지피+관목+교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린네트워크 도로의 녹화유형 평가지표 중요도는 단순한 녹화유형의 경우 경제성, 다층구조로 갈수록 경관성의 지표가 중요하게 나타났다. 또한 비탈면의 기울기가 완만해 질수록 환경성과 안전성의 지표가 중요하게 나타났다. 셋째, 그린네트워크 도로의 비탈면 기울기에 대한 영향력 분석결과 녹화유형 8(비탈면:지피+관목(상ㆍ하단 식재)/소단:지피+소관목+소교목(상ㆍ하단 식재))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derives 16 different greening types depending on slope grades and analyzes preference, importance, and perception for landscapes in connection with those types with the purpose of building green network road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road spaces in South Korea and their surrounding landscapes.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greening type 4(slope: groundcover+shrubs / berm: groundcover+small shrubs+small trees (upper and lower layer planting)) was preferred for a grade of 1:1.0 and below, greening type 8(slope: groundcover+shrubs(upper and lower layer planting) / berm: groundcover+small shrubs+small trees(upper and lower layer planting)) was preferred for grades 1:1.2 to 1:1.5, greening type 12(slope: groundcover+shrubs+small trees / berm: groundcover+small shrubs+ trees) was preferred for grades 1:1.8 to 1:2.0, and greening type 16(slope: groundcover+ shrubs+small trees+trees / berm: groundcover+shrubs+trees) was preferred for grades 1:2.5 and above. Second, with regard to importance in the greening-type evaluation index for green network roads, the indicator of economic feasibility was more important for simple greening types, while the indicator of scenic quality increased in importance for multilayered structures. Furthermore, an increase in the grade of the slope led to more importance for the environment and safety. Third, analysis of the impact of green network roads on slope grades found the greatest preference for greening type 8(slope: groundcover+shrubs(upper and lower layer planting) / berm: groundcover+small shrubs+small trees(upper and lower layer planting)).

      • SCOPUSKCI등재

        대동맥장루 -1예 보고-

        김혁,정태열,반동규,정원상,김영학,강정호,지행옥,이철범,권오정,김경수,Kim, Hyuck,Jung, Tae-Yol,Ban, Dong-Gyu,Chung, Won-Sang,Kim, Young-Hak,Kang, Jung-HO,Jee, Heng-Ok,Lee, Chul-Bum,Kwon, Oh-Jung,Kim, Kyung-Soo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4 No.2

        이차성 대동맥장루는 아주 드물며 대동맥-장골동맥의 재건수술의 중대한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 질환은 진성 대동맥장루와 paraprosthetic enteric fistula 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합병증의 예방, 진단 및 치료는 추구해야할 문제로 되어 있다. 염증성 가성동맥류로 복부대동맥 및 장골동맥을 인조혈관으로 치환한 후 41개월에 내시경으로 Paraprosthetic enteric Fistula로 진단되어 수술을 시행한 39세 남자환자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한다.

      • KCI등재

        한강시민공원 시설이용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한강시민공원 뚝섬지구를 중심으로 -

        김성욱,정태열,Kim, Sung-Uk,Jung, Tae-Yeol 한국조경학회 2013 韓國造景學會誌 Vol.41 No.2

        본 연구는 하천변 신규공원을 조성하거나 기존의 하천변 공원을 재정비할 때 전반적인 이용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계획 및 설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강시민공원 뚝섬지구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시설이용도 및 만족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강시민공원 뚝섬지구를 이용하는 이용자 37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표집은 편의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표본을 추출하고,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설문에 응하도록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뚝섬지구 이용자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접근성과 관련이 있는 거주지 분포에서는 대상지와 5km 이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이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뚝섬지구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방문 목적은 산책이나 휴식 및 운동 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동행인 특성으로는 친구, 가족과 함께 이용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 목적 및 동행인 특성별 시설이용도는 잔디광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뚝섬지구 공원시설 이용자 만족도는 잔디광장(3.95), 운동시설(3.73) 및 음악분수(3.72)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원 특화시설 중 음악분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성 및 경관성에 대한 만족도는 접근성(4.03)과 야간경관(3.90)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에 이루어질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론들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실증적인 검증 절차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This study facility use and satisfaction of the users of Han River Citizen's Park in Ttuksum district in order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necessary for planning and designing to enhance general user satisfaction when building new riverside parks or reorganizing existing riverside parks. In order to do so, the study surveyed and analyzed the user satisfaction of 374 men and women who use Ttuksum district located in Han River Citizen's Park.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ration method from 374 samples selected by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Users of Ttuksum district than male. The distribution of related accessibility, those residing within 5 kilometers the site it frequently. 2) Use it for walk, relaxation, or exercise. Are often accompanied by friends or family. Also, about the facility use by the purpose of use or characteristics of conpany, the grass square was utilized the most. 3) About user satisfaction with the park facilities in Ttuksum district, it was higher in the grass square(3.95), sport facilities(3.73), and music fountain(3.72) in order. Regarding the specialized park facilities, satisfaction was mostly low except for the music fountain. Also, about the satisfaction with the usability or view, accessibility(4.03) and night view(3.90) we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to proceed with positive verification processes in the follow-up research order to enhance reliability of those results.

      • KCI등재

        대구 도시공원의 변천에 나타난 사회적 의미 해석

        이정연,정태열,Lee, Jung-Youn,Jung, Tae-Yeol 한국조경학회 2013 韓國造景學會誌 Vol.41 No.3

        본 연구는 지방도시의 하나인 대구를 대상으로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시대별로 도시공원의 계획 개원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시대적 상황과 연관 지어 고찰함으로써 도시공원의 변천에 나타난 사회적 의미를 해석하였다. 1960년대에 도시계획법과 공원법이 제정되면서 법제도 내에서 도시공원이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이때에는 도시공원이 단지 도시계획시설의 하나로만 인식되어 조성보다는 지정에만 급급하였다. 1970년대는 급격한 도시화와 폭발적인 인구 증가에 대처하기 위해 도시공원의 양적 확보에 주력하였으나, 예산부족으로 계획기간 내에 공원 조성이 완료되지 못하였다. 1980년대는 연이는 대규모 국제대회 개최로 인하여 도시미화를 위한 각종 녹화계획이 수립되면서 도시공원의 미적 기능이 재인식되었으며, 도시민의 이용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정적공간뿐만 아니라 동적시설을 갖춘 복합적인 성격의 도시공원이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는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 증대와 함께 공원에 대한 시민의 적극적인 관심표명 및 참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으며, 도시공원의 환경적 기능과 효과의 부각에 따라 도시공원의 양적 확대뿐 아니라, 질적 개선도 함께 이루어졌다. 우리나라에 있어 근대적 의미의 도시공원 도입은 구한말부터이고, 본격적으로 도시공원이 조성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부터이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서 도시공원의 변화과정에 나타난 사회적 의미를 종합해 볼 때 대구에서 시민을 위한 '공용(共用)의 휴식처'라는 본연의 의미와 목적에 부합되는 도시공원의 개념이 완성된 것은 1990년대에 와서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done for analyzing processes on the planning and opening of chronological urban parks in Daegu City since the 1960s, and for interpreting the social meaning on changes of the urban parks with regards to historical circumstances during that period. In the 1960s, urban parks, which were recognized as one of urban planning facilities, were only designated for creating rather than created, although nationally several laws including urban planning act and park act were newly legislated. Rapid urbanization and increasing population in the 1970s led to create many urban parks. However, the policy for increasing parks had been not successful because of the lack of enough funds. In the 1980s, multi-purpose urban parks including stable area as well as active facilities were created for getting several attractions to urban residents. During this period, urban parks were recognized on an aesthetic perspective through vegetating plans on the city-beautiful movement for hosting consecutive international games. The citizen participation in urban parks and the increasing concern about urban environment were started in the 1990s, and the people living in an urban area were interested in the quantitative expansion and qualified renovation of the urban parks as well. Finally, modernistic urban parks were first introduced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however their substantial introduction was done in the 1960s. Through this study, the concept of an urban park as a public resting place for citizen in Daegu was thought to be mostly established in the 1990s as we have investigated on the social meaning derived from the periodical changes of urban pa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