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안성 미만성 포도막 멜라닌세포 증식증으로 나타난 샘암종

        정우현(Woohyun Chung),김소희(So Hee Kim),최윤아(Youna Choi),최승권(Seung Kwon Choi),이재정(Jae Jung Lee),박성후(Sung Who Park),변익수(Ik Soo Byon) 대한안과학회 2022 대한안과학회지 Vol.63 No.1

        목적: 양안 미만성 포도막 멜라닌세포 증식증으로 나타난 위 샘암종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78세 남자가 3개월 전 발생한 양안 시력저하 주소로 내원하였다. 당뇨 외 특이 병력은 없으며, 4년 전 양안 백내장수술을 받았다. 교정시력은 우안 안전수지, 좌안 20/160로 측정되었고, 안압 및 전안부는 정상이었다. 양안 안저에서 여러 개의 둥근 모양의 반점이 후극부에 관찰되었고, 망막하 망막색소상피 과색소 및 탈색소 병변이 동반된 삼출망막박리가 관찰되었다. 빛간섭단층촬영에서 색소성 병변은 시세포와 망막색소상피 사이에서 과반사를 보이는 망막하 삼출물로 확인되었고 망막하액과 망막내액이 관찰되었다. 양안 미만성 포도막 멜라닌세포 증식증으로 진단 후 영상학적 전신 평가를 시행하였다. 복부 컴퓨터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악성종양으로 의심되는 종괴가 다수 관찰되었다. 상부위장관 내시경 조직검사를 시행 후 샘암종으로 진단되었다. 결론: 원발악성종양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한 양안 미만성 포도막 멜라닌세포 증식증은 다발성의 색소성 망막하 삼출물을 동반한 삼출망막박리로 나타나며, 이와 같은 안저 소견을 보이는 환자에서는 전신검사를 통해 악성종양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Purpose: We report bilateral, diffuse, uveal melanocytic proliferation caused by a stomach adenocarcinoma. Case summary: A 78-year-old male complained of visual impairment 3 months in duration. He had diabetes and had undergone cataract surgery on both eyes 4 years prior. His best-corrected visual acuity was counting fingers in the right eye and 20/160 in the left eye. Both intraocular pressures were normal. The anterior segments yielded no specific findings. The maculae exhibited multiple, round, patchy, pigmented or depigmented lesions with exudative retinal detachment. Fluorescein angiography revealed multiple hyperfluorescent lesions.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revealed that the hyper-reflective exudates lay between the neurosensory retina and the retinal pigment epithelium. We diagnosed bilateral, diffuse, uveal melanocytic proliferation and performed a systemic evaluation.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several mass lesions in the lung, stomach, and lymph nodes; these appeared to be malignant. An esophagogastroduodenoscopic biopsy confirmed that the lesions were adenocarcinomas. Conclusions: A bilateral, diffuse, uveal melanocytic proliferation induced by a primary malignant tumor exhibited multiple, pigmented subretinal exudates associated with exudative macular retinal detachment. In patients with such finding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malignant tumor status of remote organs.

      • KCI등재

        유리체가 전방을 채운 난치성 녹내장 환자에서 유리체절제술 후 시행한 섬유주절제술의 임상경과

        정우현(Woohyun Chung),문상우(Sang Woo Moon),박성후(Sung Who Park),이지웅(Jiwoong Lee)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3

        목적: 유리체가 전방을 채우고 있는 난치성 녹내장 환자에서 25게이지 무봉합 경결막 유리체절제술 후 시행한 섬유주절제술의 1년 임상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전방 내 유리체가 존재하고 최대약물치료에도 안압이 조절되지 않는 위수정체와 무수정체 녹내장 환자들을 대상으로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하고 순차적으로 마이토마이신C를 이용한 섬유주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섬유주절제술 후 최소 12개월 이상 경과 관찰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완전 수술 성공은 안압하강제 사용 없이 안압이 18 mmHg 이하이고, 수술 전에 비해 20% 이상 하강한 경우이며, 제한적 수술 성공은 안압하강제 사용과 관계없이 안압이 18 mmHg 이하이고 수술 전에 비해 20% 이상 하강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총 7명 8안(위수정체군 4명 4안, 무수정체 3명 4안)이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섬유주절제술 후 12개월에 제한적 수술 성공률은 87.5%, 완전 수술 성공률은 62.5%였다. 섬유주절제술 전 평균 안압은 28.1 ± 3.5 mmHg에서 수술 후 마지막 방문 시 15.0 ± 3.7 mmHg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2). 섬유주절제술 전 사용한 평균 안압하강제 수는 4 ± 0개에서 수술 후 마지막 방문 시 1.5 ± 2.1개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0). 모든 증례에서 망막박리, 유리체출혈, 낭성황반부종, 유리체 감돈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유리체가 전방을 채우고 있는 난치성 녹내장 환자에서 경결막 무봉합 유리체절제술 후 시행한 섬유주절제술은 효과적이고 안압감소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1-year clinical outcome of subsequent trabeculectomy following 25-gauge transconjunctival sutureless vitrectomy in refractory glaucoma with vitreous filling of the anterior chamber. Method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and consecutive case series study.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seudophakic and aphakic glaucoma patients with vitreous filling of the anterior chamber who underwent subsequent trabeculectomy with mitomycin C (MMC), following 25-gauge transconjunctival sutureless vitrectomy. All patients had been followed up for more than 12 months. Complete surgical success was defined as an intraocular pressure (IOP) ≤18 mmHg and IOP reduction ≥20% without glaucoma medication. Qualified surgical success was defined as IOP ≤18 mmHg and an IOP reduction ≥20% with or without glaucoma medication. Results: Eight eyes of seven patients (four eyes of four patients with pseudophakic glaucoma and four eyes of three patients with aphakic glaucoma)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cumulative probability of qualified success was 87.5%, and the cumulative probability of complete success was 62.5% at 12 months after trabeculectomy. The mean IOP decreased from 28.1 ± 3.5 mmHg preoperatively to 15.0 ± 3.7 mmHg at the final visit (p = 0.012). The mean number of glaucoma medications decreased from 4 ± 0 to 1.5 ± 2.1 at the final visit (p = 0.010). Complications including retinal detachment, vitreous hemorrhage, cystoid macular edema, and vitreous incarceration into the fistula were not observed. Conclusions: Transconjunctival sutureless vitrectomy and subsequent trabeculectomy with MMC is an effective method for controlling IOP in pseudophakic and aphakic glaucoma with vitreous filling of the anterior chamber.

      • KCI등재

        백내장수술 중 발생한 데스메막박리에 대한 처치

        정우현(Woohyun Chung),조연지(Yeon Ji Jo),이종수(Jong Soo Lee)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6

        목적: 백내장수술 중 발생한 데스메막박리의 경우 전방으로 비팽창성 육불화황(18% SF6) 가스를 주입하거나 간헐적인 각막봉합술로 데스메막유착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증례 1) 74세 여자, 좌안 백내장수술 후, 수술 1일째 데스메막박리가 관찰되었다. 술 후 안전수동의 시력을 보여, 18% SF6 가스를 전방 내에 주입하여 각막부종 소실과 데스메막유착으로 시력호전을 보였다. 증례 2) 76세 남자, 타 안과에서 3개월 전에 백내장수술 후, 각막중심부의 데스메막주름과 박리에 의한 시력저하로 내원하였다. 두 차례 18% SF6 가스를 전방에 주입하여 증상 호전을 보였다. 증례 3) 75세 여자, 우안 백내장수술 후 1일째 데스메막박리가 관찰되었다. 전방에 18% SF6 가스를 두 차례 주입하였으나 동공차단이 발생하였고, 증상 호전이 없어 데스메막박리가 가장 심한 부위에 각막봉합술을 실시하여 각막부종의 소실과 데스메막유착을 얻었다. 결론: 백내장수술 후 데스메막박리가 관찰되면, 전방 내 18% SF6 가스를 0.3-0.4 mL를 주입하거나, 각막봉합술을 시행하여 데스메막유착을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We report the therapeutic efficacy of using 18% SF6 injection into the anterior chamber or interrupted corneal sutures for Descemet membrane detachment related to cataract surgery. Case summary: Case 1) A 74-year-old female showed localized detachment of Descemet membrane of the cornea on the first day after cataract surgery on the left eye; her visual acuity was hand motion only. Non-expansible sulfur hexafluoride (18% SF6) gas was injected into the anterior chamber to treat the detachment and achieved improvement of vision due to relief of the corneal edema and adhesion of the Descemet membrane. Case 2) A 76-year-old male had poor visual acuity of the right eye after cataract surgery performed at a local eye clinic. Folding and detachment of the Descemet membrane was found before the postoperative 3-months follow-up. We injected 0.3 mL 18% SF6 gas into the anterior chamber twice. The corneal edema disappeared and visual acuity improved. Case 3) A 75-year-old female who had undergone cataract surgery was suspected of having Descemet membrane detachment. She was injected with 18% SF6 into the anterior chamber twice, but the detached membrane persisted in the lower right cornea, combined with pupillary block glaucoma. We performed interrupted corneal sutures of the detached Descemet membrane, and resolution of the detachment was confirmed by corne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Conclusions: Re-attachment of Descemet membrane of the cornea can be obtained by performing repeated injections of 0.3-0.4 mL of non-expansible 18% SF6 gas, or by direct corneal suture in cases of persistent detachment.

      • KCI등재후보

        라트케열낭종과 동반된 단안 눈돌림신경마비

        정우현(Woohyun Chung),최희영(Hee Young Choi),전혜신(Hyeshin Jeon) 대한검안학회 2020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Vol.19 No.2

        Purpose: To report a case of unilateral oculomotor nerve palsy associated with Rathke’s cleft cyst which presented favorable prognosis after transsphenoidal surgery. Case summary: A 64-year-old woman presented with acute-onset diplopia for two weeks. She presented 25 prism diopters (PD) exotropia, and 8 PD right hypertropia at primary position. Supraduction, infraduction and adduction was limited in the right eye and right ptosis was presented. Th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was 20/20 in both eyes. The size of bilateral pupil were symmetric and light reflex was normal. In orbital magnetic resonance image, 20 × 10 × 12 mm sized cystic lesion with high signal intensity in T2-weighted image was found at the right side of pituitary gland. The patient underwent transsphenoidal surgery for mass removal. The mass was confirmed as a Rathke’s cleft cyst in pathologic examination. At one week after surgery, ocular movement improved. The patient presented 10 PD of exotropia and diplopia was disappeared. After one month, patient was orthotropic. Conclusions: The oculomotor nerve palsy was the only symptom of the Rathke’s cleft cyst and the patient showed excellent prognosis after transsphenoidal surgery. The Rathke’s cleft cyst should be considered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third cranial nerve palsy.

      • 석탄 합성가스 정제를 위한 고온고압 집진시스템의 운전 특성

        정우현(Jung, Woohyun),이선기(Lee, Sun Ki),이승종(Lee, Seung Jong),정석우(Chung, Seok Woo),윤용승(Yun, Yongseung)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1

        기후변화협약 등으로 인하여 기존 화력발전기술보다 효율이 높고 온실가스 발생을 줄일 수 있는 고효율 청정석탄 이용기술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석탄 가스화와 관련된 기술 개발이 확대되고 있다. 석탄을 가스화하면 CO와 H₂가 주성분으로 구성된 합성가스를 얻을 수 있는데, 이를 청정가스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합성가스에 포함된 분진의 제거가 필수적이다. 대부분의 석탄가스화 공정에서는 캔들형 필터를 사용한 여과식 집진시스템을 적용하여 합성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Pilot급 석탄 가스화기에서 제조된 합성가스에 포함된 분진 제거를 위하여 고온/고압 집진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다양한 운전조건과 필터 종류에 따른 집진시스템의 운전특성 파악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석탄 합성가스를 안정적으로 정제 하기위한 집진시스템의 중요한 운전 기준과 방법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렇게 도출된 운전 기준과 방법은 용량이 증대된 집진시스템의 연속운전을 진행하여 향후 실증할 예정이다.

      • ABK탄을 이용한 pilot급 분류층 석탄가스화기 시스템의 고압 운전특성

        정석우(Chung, Seokwoo),유상오(Yoo, Sangoh),정우현(Jung, Woohyun),이승종(Lee, Seungjong),윤용승(Yun, Yongseung)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06

        석탄의 직접 연소 대신 고온/고압의 조건에서 불완전연소 및 가스화 반응을 통하여 일산화탄소(CO)와 수소(H₂)가 주성분인 합성가스를 제조하여 이용하는 석탄 가스화 기술은 현실적인 에너지원의 확보를 위한 방법인 동시에 이산화탄소를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on-slagging 방식의 pilot급 분류층 석탄가스화기를 대상으로 고압 미분탄공급장치, 합성가스 냉각장치, 고온 집진장치 등을 연계하여 상용급 석탄가스기와 유사한 1,300?C, 20 kg/cm²의 운전조건에서 미분탄의 안정적인 공급을 통한 양질의 합성가스 제조 및 제조된 합성가스의 분기 공급특성 시험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고압 미분탄공급장치는 공급호퍼에 저장된 미분탄을 고온/고압 조건으로 운전되는 석탄가스화기에 공급하기 위한 설비로서, 이러한 고압 미분탄공급장치를 이용한 기류수송 방식의 미분탄 공급 기술은 가스화기 설계 및 운전제어 기술과 더불어 석탄가스화기 시스템의 안정적 연속운전을 위한 가장 핵심적인 기술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역청탄인 인도네시아 ABK탄을 대상으로 향후 dense phase 고압 기류수송을 목적으로 하는 고압 미분탄공급장치의 성능특성을 시험을 진행하였는데, 시험 결과 73 kg/h 조건에서 20 kg/cm²의 가스화기에 대한 안정적인 미분탄 공급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미분탄 공급 조건에서 CO 40~45%, H₂ 16~20%, CO₂ 5~8% 조성의 양질의 합성가스를 평균적으로 230{sim}50Nm³/h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

      • 비 용융 방식 분류층 석탄가스화기 시스템의 고압 연속운전 특성

        정석우(Chung, Seokwoo),정우현(Jung, Woohyun),황상연(Hwang, Sangyeon),이승종(Lee, Seungjong),윤용승(Yun, Yongseung)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1

        석석탄가스화 기술은 고온, 고압 조건에서 미분탄과 산소의 가스화 반응에 의해 CO와 H₂가 주성분인 합성가스를 제조하는 기술로서 차세대 화력발전 뿐만아니라 다양한 화학원료 제조를 위한 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가스화 기술은 향후 CCS기술, CTL(Coal To Liquid, 석탄액화)기술, SNG(Synthetic Natural Gas, 합성천연가스)생산, 수소생산, 각종 화학원료 생산 등과 연계가 가능한 미래 석탄이용 분야의 핵심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고등기술연구원에서는 이러한 석탄가스화를 통해 양질의 합성가스를 제조하기 위한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pilot급 고온, 고압 건식 분류층 가스화기, 기류수송 방식의 미분탄공급장치, 수냉자켓 구조의 합성가스 냉각장치, 합성가스 중 분진제거를 위한 금속필터 장착 집진장치 등을 연계하여 20기압의 고압 조건에서 장시간 연속운전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분탄 공급을 위하여 상부공급 버너를 적용하였고 석탄가스화기는 1,300{sim}1,350?C 정도의 온도에서 운전을 진행하였으며 미분탄을 75 kg/h의 조건에서 연속적으로 공급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조건에서 5.5일 정도의 연속운전을 진행하는 동안 CO 44~48%, H₂ 20~21%, CO₂ 4~5% 조성의 석탄 합성가스를 200Nm³/h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

      • 비산란 그리드 결함 검출을 위한 최적 임계치결정 기법

        박다울 ( Daul Park ),정우현 ( Woohyun Chung ),강윤석 ( Yoonseok Kang ),정중은 ( Joongeun Ju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X-선 영상을 이용한 비산란 그리드의 검사 자동화 시스템에서, 결함후보 ROI 에 대한 판단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영상 획득을 위한 임계치결정 기법을 제안한다. 주파수 도메인에서 영상히스토그램을 분석 및 재구성한 후 최적임계치의 결정에 필요한 요소를 추출하며, 재구성 히스토그램으로부터 영상패턴을 판단하여 각 유형에 따른 최적 임계치를 결정한다. 50 개의 영상에 적용한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은 4.8/5.0 의 성능(Inter-class correlation, ICC: 0.985, 95% CI, p-value<0.05)을 보였다.

      • 에너지 플랜트 반응기 설계를 위한 CFD 응용

        이진욱(Jin Wook Lee),정우현(Woohyun Jung),정석우(Seok Woo Chung),김태호(Tae Ho Kim),구정회(Jeong Hoi Goo) 대한기계학회 2013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3 No.12

        CFD simulation has been applied many engineering areas such as automobile, electronics and so on, including energy industry. In this study, CFD analysis and its application to the energy industries, especially for the design of reactor design, has been carried out. CFD analyses for the furnace of fossil power plant and combustion chamber of incineration plant have been done to check appropriacy of geometrical design and/or given operating condition. These analyses were research oriented because of dificulties to take risk of modifying large size plant. However, CFD analysis results of SCR reacor and/or its auxiliary equipments were directly used for the basic design because analysis itself is very easy due to its simple fluid flow behavior without chemical reaction. CFD analysis of coal gasification was conducted to develop entrained bed coal gasifier based on new concept of compactness. Aspect ratio of 3 ton/day-scale gasifier was checked and swirl angle of multiple-burners was designed from the CFD results. High cold gas efficiency and carbon conversion were achieved within short residenc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