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농촌형 학습마을공동체의 구축과 의의

        정용교 동아인문학회 2018 동아인문학 Vol.45 No.-

        The establishment of a future-friendly old age culture is closely related to the building of a learning village community in the agrarian societ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earning community to escape dependent elderly policy based on play and leisure through the creation of village community culture by increasing self-directed decision-making abil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mpact of elderly education in order to build learning village community, it aimed at revealing the implication on the life of rural elderly. The learning village commun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ives of the elderly in rural village units. First, the elderly education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positive self-image of the elderly by reviving the forgotten ability of hobby aptitude. Second, the elderly education was able to form a circle- directed relationship based on neighbors' relationships beyond home and family relations. Third, the elderly education has opened the eyes to the local profit-making business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joint projects in the villages, and it was able to form a virtuous cycle structure that motivated villagers to participate in learning again. The current elderly education has revealed the fundamental imitation that can not proceed to realization of the village(neighborhood) democracy through the cultivation of the village citizens. In this sense, the elderly education should be able to raise the issue of the village politically and to raise the citizen’s ability to carry it to the local interest. At the same time, the elderly education should develop the curriculum and textbook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learning village community. 미래사회 친화형의 노년문화 정립은 마을단위의 학습공동체 구축과 밀접히 관련된다. 농촌형 학습공동체는 놀이와 여가중심의 종속적 노인정책에서 벗어나 주체적 의사결정능력 신장을 통한 지역단위 마을공동체의 구축과 그 의미가 맞닿는다. 이 논문은 농촌노인들 대상으로 노년교육이 학습마을공동체 구축에 어떤 의미를 던지며, 그것이 미래 농촌사회에 미칠 함의를 검토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학습을 매개한 마을공동체는 농촌노년들의 삶에 핵심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노인교육은 잊어버렸던 취미적성 능력을 살림으로써 긍정적 자아상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노년교육은 집과 가족관계를 넘어서 이웃관계를 주축으로 한 동아리중심의 관계성을 형성할 수 있었다. 셋째, 노년교육은 마을단위 공동사업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동네차원의 수익사업에 눈뜨게 하였고, 그것은 다시 마을단위사업에의 참여를 동기화하는 선순환구조를 형성하였다. 현행 노년교육을 통한 학습마을공동체에서 한계상황도 분명히 드러났다. 현행 노인교육은 마을시민 육성을 통한 마을민주주의 실현에 이를 수 없었다. 이런 점에서 향후 노인교육은 마을현안을 정치적으로 쟁점화하며 지역현안으로 관철시킬 수 있는 시민능력 향상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무엇보다 마을공동체를 위한 커리큘럼과 교육내용을 정교하게 정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시민교육의 관점에서 본 학교폭력의 현황과 극복방안

        정용교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5 민족문화논총 Vol.60 No.-

        The main purpose of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cause and reality of school violence which inheres in school education, and consider a alternative of such violence in terms of civil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real case that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d in their middle and high school days. The causes of school violence are as follows. Firstly, school violence is thought to have originated in the acceleration of family disorganization by neo-liberalism. Secondly, school violence has immediate connection with the education system that focuses only on college entrance. Thirdly, SNS environment as a main stage of adolescent culture provides the cause of school violence. The types of school violence are as follows. Firstly, school violence is directly connected to body violence and ripoff. Secondly, school violence means struggle for hierarchy in the relation of the ruling class and controlled class to gain and maintain power. Thirdly, school violence assumes the shape of defamation of character with verbal violence in the background of on-line world. Fourthly, current tendency of school violence assumes the form of bulling that is “outcast” which many students point out and harass collectively a particular student. The fundamental measure of school violence can be found out in the shift of perspective on the school education. It is necessary that the measure should need “paradigm shift” from winner-take-all educational paradigm to civil educational paradigm which promotes liberal citizen. 연구전개는 학교교육에 내재한 학교폭력의 원인과 실태를 밝히고 그에 대한 대책을 시민교육 차원에서 모색하는 데 둔다. 이 연구는 학교폭력 현상을 객관적 및 반성적 입장에서 바라볼 수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중고교 시절에서 겪었던 학교폭력의 실제사례에 주목하였다. 학교폭력의 원인은 다음과 같았다. 먼저, 학교폭력은 신자유주의화에 따른 가정해체와 가정붕괴의 가속화에 따른 가정적 요인에서 비롯되었다. 둘째, 학교폭력은 입시위주의 교육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삶의 주무대인 SNS 환경은 학교폭력의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 학교폭력의 유형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교폭력은 신체적 폭력과 금품갈취의 형태로 발생하였고, 둘째, 학교폭력은 서열싸움, 곧 지배 대 피지배의 권력관계를 둘러싼 권력쟁취와 유지형태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폭력은 온라인세계를 배경으로 거친 언어폭력을 동반한 인격모독의 형태를 띠었으며, 넷째, 학교폭력은 다수학생들이 특정학생을 지목하여 괴롭히는 집단따돌림 형태를 띠었다. 학교폭력의 대책은 학교교육을 바라보는 근본적 시각전환에서 찾을 수 있었다. 다시 말해, 현행의 승자독식 교육패러다임에서 벗어나 공존과 공생가치에 의한 시민교육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필수적으로 요청되었다.

      • KCI등재

        사회과 행복교육의 요청과 실천

        정용교,백승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0 교과교육학연구 Vol.14 No.2

        오늘 우리는 지식정보화라는 새로운 환경을 맞이하여 이전과 다른 사회적, 문화적 장면을 경험한다. 발전, 성장, 경쟁, 효율, 속도 등은 이 시대 대다수의 사람들이 추구하는 중요한 가치들이다. 다른 한편에서 우리는 불확실성, 위험, 신뢰상실, 점증하는 공포 등을 경험하며 살아가야 한다. 이런 시대적 상황에서 좀더 안전하며 행복하게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욕망은 한층 증가할 것이며, 더불어 일상적 삶에서 행복을 실현하려는 행복담론에 대한 관심도 더욱 커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현행 사회과교육에서 행복교육 실현에의 중요한 장애요인을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법, 교사와 학생 관계 등의 입장으로 각각 나뉘어 현장성에 입각하여 지적한다. 이런 현장 학교 교육 상황을 토대로 행복교육의 시대적 요청과 그 중요한 내용을 탐색하여 사회과교육에서 왜 행복교육이 필요하며 중요할 것인지에 대해 밝힌다. 이런 논의에 바탕하여 현장 사회과교육에서 시도할 수 있는 행복교육의 실천적 탐색을 탐구학습에 의한 비판력 신장, 협동학습에 의한 지식재구성력 신장, 대화학습에 의한 감성능력의 신장 차원으로 제시하였다. 이런 시도를 통해 현행의 입시와 시험위주의 사회과교육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탐색 및 시민교과로서의 사회과교육 본연의 모습에 가깝게 다가서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현장 사회과교육에서의 행복담론을 실제의 교육적 실천으로 담아내고 구체화할 수 있는 몇 가지 예비적 탐색작업을 모색하여 현장 사회과교육에서 행복의 의미와 그 내용을 교과학습으로 담아낼 수 있는 실천적 교수학습 방안을 제기하는 데 그 중요한 목적을 두었다. Today we experience an entirely different social and cultural aspect in the ag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Development, growth, competition, efficiency, speed, etc. are considered to be the core values which most people pursue nowadays. On the other hand, we are also encountering situations of uncertainty, danger, loss of trust, fear, etc. These situations have led us to take an interest in pursuing happiness education in Social Studies. In this paper, we deal with the obstacles of implementing happiness in the field of Social Studies Education. We try to examine the problems confronted in the field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terms of curriculum,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Furthermore, we investigate why a new design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is needed in the ag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we also try to show why happiness should be should be one of the core value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Finally, through these efforts, we try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ies of implementing happines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in the areas of the critical ability by Inquiry Learning, the knowledge reconstruction ability by Cooperative Learning, and emotional ability by Dialogue Learning. In sum, we propose a preparatory research plan for a new curriculum in Social Studies Education which encourages discussions on happiness in classroom lessons.

      • KCI등재

        다문화시대 세계시민교육의 현황과 대안모색: 사회과교육을 중심으로

        정용교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2

        Today we live our daily lives in the multicultural and global environment. The school education is faced with the need to be newly formed to the global citizenship in keeping with multicultural and global age. If we are able to foster the global citizenship, we can escape from the phases of conflict and dispute happening from ethnic and racial backgrounds. Furthermore, we can accomplish the multicultural global civil society that the life of symbiosis and coexistence can be guaranteed. Keeping in mind the advent of the global societ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and extension of a cosmopolitan competence or an intercultural competence. Especially these competences will be the key challenges of school civic education in the coming 21st century society. In this sense, the citizenship concept of the nation-state dimension is replaced by the global citizenship concept by fostering global mind and global consciousness. In this paper, first of all, I am trying to look for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current social studies education of the secondary school in terms of curriculum and textbook, and teacher, and reveal the limits of civic education in the school arena. Subsequently, I am trying to deal with the possibility of global civil society by focusing on the problem of ‘otherness’ in the advent of the postmodern era. Finally, I would like to argue that the multicultural world citizenship will be the possibility of the practical guideline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the school arena. 오늘 우리는 다문화, 세계화 환경을 배경으로 일상적 삶을 영위한다. 세계화의 도래상황에서 학교교육은 다문화적 환경에 적합한 세계시민의 육성이 시대적 과제로 등장한다. 세계시민이 육성될 때 인종, 민족 등에서 비롯된 갈등과 분쟁에서 벗어나 공존·공생의 다문화 세계시민사회에 이를 수 있기 때문이다. 지구촌 사회의 도래를 염두에 둘 때 세계시민의 자질과 문화 간 대화능력은 세계시민사회 실현에 핵심내용이 될 것이며, 동시에 그것은 21세기 학교 시민교육이 지향해야 할 핵심주제가 될 것이다. 이런 점에서 현행 사회과교육의 과제는 국민국가 차원의 시민성에서 벗어나 다문화 생태계를 반영한 세계시민의 육성여부에 달린 문제로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현행 중등학교 사회과교육에 나타난 교육과정과 교과서, 그리고 교사를 중심으로 시민교육의 현장실태를 분석하여 학교교육이 당면한 시민교육의 한계를 지적할 것이며, 이어서, 탈근대성에 따른 타자등장과 타자발견이 세계시민사회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시민교육의 측면에서 논의할 것이며, 마지막으로, 다문화 세계시민 육성을 위한 사회과교육의 과제를 제안하여 사회과교육의 현실적합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독일 김나지움 교육의 동향과 실제 : 사회과 수업내용을 중심으로

        정용교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2001 사회과교육 Vol.- No.34

        우리의 학교교육은 시험과 입시위주로 운영되는 면이 없지 않다. 이런 지나친 학벌주의적 교육관행 속에서 급속하게 진행되는 최근의 교육개혁들은 많은 교육적 문제들을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심지어 심각한 교육적 혼란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교육적 혼돈상황에서 우리에게 좀 색다른 독일 김나지움 교육에 대해 검토해보는 것은 나름대로 의미 있는 일로 여겨진다. 본 논의에서는 우선 독일 김나지움 교육의 전반적 상황을 간략히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김나지움 사회과 수업에서 설정한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그리고 구체적인 교수방법 등에 대해서 좀더 자세하게 검토하도록 한다. 아울러 독일 김나지움의 최신 동향을 검토해봄으로써 최근 우리교육의 핵심과제로 등장한 학교정보화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얻도록 한다. The Korean school education has been managed until today in terms of test-oriented only f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s you know, the Korean educational environments which have been changed very fast are still influenced by academic sectarian tradition. Of course, in the process of fast change we experience lots of educational problems and even educational chaos.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very important that we deal with the implications about the education of the Gymnasium which isn't well known to the Korean society.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review the whole situation of the education in German Gymnasiums and to look not only for the educational goal and educational contents of social studies but also for the practical teaching methods in social studies. Finally, I will explore educational suggestions about our school information policy, one of the most serious educational issues, in comparison to the Gymnasium education.

      • KCI등재

        다문화 시민사회의 실태와 방향 -다문화이주여성의 사회적응을 중심으로-

        정용교,유명철 대한정치학회 2013 大韓政治學會報 Vol.20 No.2

        이 연구는 다문화이주여성들의 사회적응의 실태를 일상생활 차원에서 밝히고, 그들 의 적응상에 드러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다문화 시민사회의 가능성을 타진하는데 있다. 일상생활 차원의 실태파악은 우리의 내부적 모순구조를 밝히는데 유용하며 동시에 다문화 시민사회의 정립에도 기여할 것이다. 그들의 사회적응 관련 일상생활적 파악은 포커스그룹 인터뷰방법으로 진행되었다. 5년 이상 우리사회에 거주했던 이주여성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문화적, 가정적, 언어적 영역에서 그들의 사회적응 실태를 분 석하였다. 그들은 기존주민들의 차가운 사회적 시선과 문화차이에서 적응의 어려움을 겪었고, 또 우리의 뿌리 깊은 가부장제와 이중적 문화잣대에서 좌절감과 실망감을 피 력하였으며, 언어를 비롯한 문화적 차별과 자녀교육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그들의 적응실태를 염두에 둘 때 다문화 시민사회의 정립은 우리 시대의 핵심과제로 부각된다. 다문화 시민사회는 문화의 복수성에 토대한 다양성 축복과 다중정체성 형성으로 가능하며, 또 우리사회의 도처에서 작용하는 이중적 시각극복에 의한 개방적 담론구조 형성과 다문화 문해력 향상에 의한 연성사회의 구축으로 접근할 수 있고, 아울러 사회 적 포용력 발휘와 사회통합에 토대한 다문화 세계시민 사회구축에서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베트남 대상 적정기술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대학교육의 새로운 탐색을 중심으로

        정용교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3

        Nowaday, university education is facing a crisis. On the one hand, universities are given the task of cultivating an educated citizen through search of truth, on the other hand, they are not free from the feeling of pressure to foster the competent workers by increasing employment capacity. The university education focus on fostering employees to raise employment rates in a situation which a pragmatic type of talent with a practical sense have recently become a goal of university education. Until now, policies of university education have been implemented to increase practical abilities. However, it’s necessary to further discuss whether such educational reforms have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pragmatism. In the face of numerous reforms, it’s because the current university education are unable to present an alternative view suitable for the tim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a new prospect of university education that can increase industry-friendly and practical ability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ppropriate technology programs for Vietnamese society. First of all, we examine the educational crisis faced by current university education, also suggest concrete model of appropriate technology program as an alternative of university education. Second,we introduce the models of the appropriate technology designed and developed by students directly by focusing on the development process, core content, and field application. Finally, we review the impact of such appropriate technology products on the lives of local Vietnamese residents. In sum, this article intends to present the appropriate technology program developed and applied by students as a new possibility of university education that can improve field-friendly or field-based abilities. 오늘날 대학교육은 위기상황에 처해 있다. 한편에서 진리탐구를 통한 교양시민을 육성해야한다는 과제를 부여받으면서 다른 한편에서 취업능력을 키워 유능한 직장인을 양성해야 한다는 압박감에서 자유롭지 않다. 최근 현장감각을 갖춘 실용적 인재상이 더욱 부각되면서 대학교육은 취업률 제고를 위한 직장인 양성에 주력한다. 실용적 능력을 키우기 위한 수많은 대학교육의 개혁들이 시도되었지만, 그런 개혁정책이 학생들의 현장감을 반영한 실용적 능력신장에 어떤 교육적 성과를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수많은 개혁 속에서도 현행 대학교육은 시대 전망적 대안을 제시하지 못한 채 일정한 좌표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 글은 베트남 사회를 대상으로 한 적정기술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통해 현실사회 친화적이면서 실용적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대학교육의 전망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현행 대학교육이 당면한 교육적 위기현상을 타진하며, 덧붙여 대학교육의 대안으로서 적정기술 프로그램의 구체적 모형을 제안한다. 둘째, 학생들이 직접 설계하여 개발한 적정기술의 모형을 개발과정과 핵심내용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이는 대학교육의 새로운 전망으로서 중요한 의의를 띠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개발된 적정기술 제품은 베트남 현지주민의 삶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현장차원에서 검토한다. 요컨대, 이 글은 학생들이 직접 개발·적용한 적정기술 프로그램을 현장 친화적 내지 현장 밀착형적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대학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