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백운모의 나노 스케일 트라이볼로지 특성 연구

        정영찬(Y. C. Jung),김대은(D. E. Kim)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21 한국정밀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월

        기계부품의 마모는 표면 상태, 환경, 하중 등의 여러가지 변수에 의해 발생하고, 스케일에 따라 다른 마모 메커니즘이 적용된다. 기계부품의 기초적인 마찰 및 마모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나노 스케일 범위에서의 분석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나노 스케일 실험은 AFM 을 사용하여 진행되고, 작은 스케일에서의 실험이기에 표면 거칠기 등 시편 표면의 정교한 상태가 요구된다. 백운모는 원자구조를 이루는 칼륨과 주변 원자 간의 약한 결합으로 인해 기저면 방향으로 원자 단위에서의 평평한 표면 가공이 가능하다. 또한, 격자 상수도 비교적 크고 화학적으로도 안정된 상태여서 나노 스케일의 실험에 적합하고, 육각형 모양의 이방성 원자 구조에 의해 방향성에 대한 마찰 및 마모 연구도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AFM 을 활용하여 백운모 표면의 마찰 및 마모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실험 환경을 조성하였고, 실험 하중, 사이클 등 실험 조건을 달리 하여 나타나는 마찰 및 마모 특성을 관찰하였다. 표면의 상태는 AFM 의 접촉 모드로 스캔하였고, 취득한 데이터는 2D FFT 필터링을 통해 원자 구조 단위에서의 표면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재료의 트라이볼로지 특성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거점콘텐츠로서 웹툰의 활성화 방안 연구

        정영찬(Young Chan Jung)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애니메이션연구 Vol.11 No.3

        콘텐츠 향유와 생산의 지속성을 위해서는 최대 다수의 파생콘텐츠가 필수조건이다. 웹툰은 종이책 형태의 만화가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되는 웹 환경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등장하였다. 하지만 초기 전환 과정에서는 종이책을 이미지화하여 모니터를 통해 보는 단순 매체 전환 형태에 그쳤다면, 웹툰은 ‘Web’의 특성을 고려한 ‘Cartoon’으로 특화된 형태의 파생콘텐츠로 보아야 한다. 다시 말해, 브로드 밴드의 보편화와 함께 높은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고 이를 통해 향유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사라지게 되었으며 웹툰의 생산자와 향유자 간의 즉각적인 소통이 가능하게 된 환경에서 기존의 종이책 형태의 만화와 다른 웹툰만의 향유패턴이 생성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웹툰이 향유자로 하여금 적극적으로 수용되면서 팬아트, 패러디, 영화, 뮤지컬, 드라마 등의 다양한 파생콘텐츠 생산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만화에서 비롯된 웹툰을 또 다른 파생콘텐츠의 확장을 위한 거점콘텐츠로 설정하여 수익 창구의 극대화를 위한 수익원 연쇄작용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이는 웹툰이 지닌 뉴미디어 환경의 용이한 이동성과 파급의 즉각성을 바탕으로 향유 패턴의 다각화와 개별 몰입 증대를 위한 멀티콘텐츠화 시도, 시장 확대를 위한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플랫폼 개발 및 보급 등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In order to enjoy and produce the content consistently, maximum volume of derived content is necessarily needed. Webtoon has emerged on the process of conversion of paper comic books into web-based comics utilizing digitization. At the early process of conversion, each image of comics was just seen on the screen of computers which was simply re-formatting the image. However, Webtoon is the ‘Cartoon’ combi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Web’, which should be regarded as certain form of derived content. In other words, with the generalization of broadband, webtoon could obtain high accessibility indicating that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for enjoyment has disappeared. In addition, a certain kind of enjoyment pattern for webtoon was created based on the environment of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provider and user of webtoon. Furthermore, as the user enjoys webtoon more, a wide range of derived content such as fan-art, parody, movie, musical and drama is produced actively. Therefore, webtoon which is originated from comics should be set as positioned contents for extension of derived content, in order to induce the chains of profit to maximize total revenue. Eventually, based on the mobility of new-media environment and immediate influence, webtoon should become mulit-content to diversify the enjoyment patterns, to increase individual immersion in enjoyment and to develop and supply platform targeting for global market to expand the market.

      • KCI등재

        문화콘텐츠 변용 양상으로 본 박동진의 창작판소리 「예수전」

        정영찬 ( Jung Youngchan ),김용범 ( Kim Yongbu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8 No.-

        21세기는 `문화의 시대`로서 소구 충족의 확대를 위한 문화융합이 불가피하다. 뿐만 아니라 대중문화에서 시작된 한류가 한국 문화 및 산업 전반에 걸쳐 입체적 확장을 가져오며 `가장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이라는 인식까지 불러일으키고 있다. 결국 창조 산업은 전에 없던 새로운 영역 또는 문화를 생산해낸다기 보다 창의성이 전제된 융합적 접근이나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는 콜라보레이션 단계를 거쳐 무한 파생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제 융합적 접근은 한 분야 안에서의 담론을 벗어나 영역 간, 산업간, 나아가 인문과 과학기술의 융합 등 사회 전반적인 변화의 축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른 융합적 관점으로 성서 소재의 서사 예수 이야기가 박동진의 창작판소리로 변용 과정을 거치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문화 융합의 원형적 모델을 추출하여 그 인문학적 근거를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 판소리의 민족적이고 문화적인 고유 특성이 가치소재로서의 성서와 만났을 때 결합 분석틀을 문화융합의 관점에서 살피고, 서사의 본질을 이끌어가는 가치소재에 연행과 향유의 차원에서 판소리라는 옷을 입혀서 대중에게 소구할 수 있는 여지를 살피는데 그 의의가 있다. 1988년에 발표된 판소리 「예수전」은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박동진의 회고적 성격으로 발표 되었으며, 판소리의 특성대로 소리꾼과 고수의 창, 아니리, 발림에 추가하여 청중의 추임새를 통한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며 연행되어진다. 이는 서사의 효과적 전달이라는 연행에 목적에 기대어 종교적 가치를 재현해내는 행위로 설명할 수 있으며, 전통문화로서 판소리 연행의 보존과 창작을 통한 적극적 변용을 전제로 한 시대적 문화향유 양식에 적용되어 재창작될 수 있는 여지가 생성되는 것이다. 결국 서사의 내용은 바뀌더라도 이를 표현하는 양식과 서사 방법에 따라 토착화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21st century is the “Era of Culture” which the cultural integration for expansion of appeal satisfaction is inevitable. Furthermore, as Korean wave rooting from popular culture brought about multi-dimensional expansion throughout Korean culture and industry, there is an understanding that “most Korean thing is the most global.” Eventually, creative economy does not simply produce totally new things or culture. Rather, it promotes infinite derivation through collaboration step which could expect integrated approach or synergy with creativity on premise. Integrated approach now is out of discussion within one field, but it has settled down as the axis of entire change in society such as combination of fields, industries, humanities and scientific technology. From integrated point of view following the periodical deman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cculturation of the story of Jesus Christ to Park Dong Jin`s pansori piec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humanistic background my extracting original model of cultural integration. In other words, the study examined the combination of ethnic and cultural unique characteristic of pansori as value material with the bible from cultural integration point of view, and it is meaningful in examining the pansori piece`s appeal to the public by giving the value material with its essence of narration a touch of pansori for enjoyment. Pansori < Yesujeon > published in 1988 is a retrospective piece of publically popular Park Dong Jin. It contains characteristics of pansori and contains chang of sorikkun and gosu, aniri, ballim and additional rejoinder from audience for active participation. This can be explained as behavior realizing religious value relying on the purpose of effective delivery of narration. Also, it provides a possibility of pansori to be recreated by applying the periodical cultural enjoyment style on the premise of active acculturation based on conservation and creation of pansori as cultural culture. In conclusion, even thought the contents of narration changes, the expression style and method of narration can appear as a naturalized style.

      • KCI등재
      • KCI등재

        아시아 시장 한류콘텐츠 수익성 다각화 사례 연구

        정영찬(Jung, Young Chan),김치호(Kim, Kenneth Chi Ho) 인문콘텐츠학회 2015 인문콘텐츠 Vol.0 No.37

        본 연구는 아시아 시장을 비롯하여 세계 시장에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홍콩과 선전의 탐방기로 이루어져있다. 한류의 확장을 통해 한국 문화산업 전반의 해외시장 진출이 가능해진 오늘날 단순한 콘텐츠나 생산물의 판매와 마케팅 전략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수익성의 다각화의 필요성이 대두됨과 동시에 지리·문화적배경과 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수익 모델 창출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진은 아시아 시장의 허브로서 홍콩과 선전을 설정하고, 두 지역의 문화산업의 현장을 살펴보기 위하여 홍콩의 Channel M과 선전의 C-POP International Training Center을 탐방하고 사례를 분석하였다. Channel M은 CJ E&M의 Fox International Channels Asia가 함께 설립한 회사로서 동남아 10개국에 송출되는 리저널 방송채널이다. Channel M은 주로 CJ E&M의 국내채널에서 제작된 콘텐츠를 방송하지만 현지 한류 팬을 대상으로 자체 제작한 프로그램을 방송하기도 한다. 채널의 주요 수익원은 송출되는 일부 국가에서 받는 수신료와 프로그램에 대한 광고료이다. 최근 CJ E&M은 Channel M의 Fox의 지분을 인수함으로서 올해 6월부터 독자 경영에 돌입하여 아시아 시장을 타겟으로 한 적극적인 홍보 및 마케팅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C-POP International Training Center는 세계 시장에서 각광받고 있는 한류 콘텐츠인 아이돌 기획 사업을 현지화하고 있다. 한국 트레이너들에게서 받는 강습에 지불되는 학습비를 주요 수익원으로 하고 있으며, 한국 내 기획사와의 연계를 통한 가수 데뷔 및 이후의 부차적 수익 발생을 목표로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현지 제작·기획사와의 협업과 TV 프로그램 기획 및 제작, 영화제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화 콘텐츠 분야에 진출 모색 등 수익의 다각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중국과 동남아시아 진출을 위한 글로벌 기업의 거점이자, 중국 기업의 아시아시장 진출의 교두보로서의 역할을 감당하는 홍콩과 선전에 진출한 한국 문화산업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류콘텐츠의 현지화에 적합한 수익 다각화의 방향성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Hong Kong and Shenzen are recognized as strategically importance regions in not only in Asia, but also in the World in number of ways including the culture. Geographic positions of these regions make it easier for it them to play the role of hub for culture businesses in Asia. Hallyu as one of the hottest trends of culture businesses in Asia has been growing fast recently, but it needs carefully considered profit models to grow further in the future. Simple export of content may need to be localized adopting to local audiences of the regions. Recognizing the need of new hallyu model,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nitization models in Hong Kong and Shenzen. A regional television channel, Channel M from Hong Kong and music artist development facility, C-Pop International Training Center were chosen for this study. Channel M is a joint venture television channel between CJ E&M and Fox International Channels in Asia. Channel M is transmitted in single feed as a regional channel to 10 countries in South East Asia. Most of the content in Channel M are produced by number of channels under CJ E&M in Korea while Channel M also creates localized hallyu content targeting fans in the region. C-Pop International Training Center is focused on localization of music business in South China. It hopes to create idol groups in China with K-Pop training systems. C-Pop is working closely with number of companies in China and Korea from casting of talents to distribution of the music content created by idol groups in the process value chain. Hong Kong and Shenzen has potential for playing the role of hallyu portal to China and South East Asia. The case studies of Channel M and C-Pop International could provide meaningful insights which could claim the new monization models of localized hallyu in Asia.

      • KCI등재

        3레벨 인버터의 비선형성을 고려한 옵셋 전압 기반의 출력 전압 합성 및 직류단 전압 균형제어 기법

        정영찬(Young-Chan Jung),최승철(Seung-Cheol Choi),오윤재(Yun-Jai Oh),윤영두(Young-Doo Yoon) 전력전자학회 2023 전력전자학회 논문지 Vol.28 No.5

        This paper proposed a DC link voltage balancing control and output voltage synthesis using offset voltage for three-level inverters. In the three-level inverter, upper/lower DC link voltage imbalance may occur depending on the switching state, and if the imbalance is large, the switching devices may be damaged. In the voltage command near the peak and valley of the carrier, the gating signal may not be generated due to dead time, and distortion may occur in the inverter output voltage and current. This paper proposed a method that limits the offset voltage synthesis region while considering inverter nonlinearity and achieves DC link voltage balancing control using the limited offset voltage. Through this method, the output voltage distortion was reduced, and the DC link voltage was balanced. The proposed method was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on a three-level TNPC inverter and 3.7 kW induction motor.

      • KCI등재
      • KCI등재

        저승의 의미에 대한 『신곡』과 『신과 함께』 비교 연구

        정영찬 ( Youngchan Jung ),성신형 ( Shinhyung Se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저승의 의미를 탐구하기 위해서 문헌 고찰을 통한 비교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서구 유럽 문화를 대표하는 단테의 『신곡』과 동아시아에서 큰 주목을 받은 주호민의 『신과 함께』를 연구한다. 서구문화는 영육이원론을 바탕으로 이승과 저승의 분리를 말하고 있으며, 이는 연옥 교리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한편 동아시아 문화는 윤회사상을 바탕으로 이승과 저승의 연결을 말하고 있고, 이는 사구제(중유)에서 잘 드러난다. 본 연구는 내세는 종교적인 차원의 불연속적인 세계가 아니라, 민중들의 삶의 현실이 반영되어 현실 삶에 대한 정당한 심판과 새로운 삶에 대한 희망의 장소임을 논증하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후 연구의 발전 과제로 조금 더 다양한 세계의 저승관에 대한 인문학적 탐구를 제안한다. This study compares Dante’s La Divina Commedia with Ju Homin’s Along with the God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afterlife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research method. Western culture speaks to the separation of this world from the afterlife based on the dualism of soul and body, which is well expressed in the doctrine of purgatory. Meanwhile, East Asian culture refers to the connection between this world and the afterlife based on the idea of Samsara and the principle of Saguje (Joongyu). This study argues that the afterlife is not a discontinuous world in the religious dimension, but a place of fair judgment and hope for a new life by reflecting the reality of people’s lives. Finally, this study proposes a humanistic exploration of the afterlife, which is more diverse as a development task for subsequent research.

      • KCI등재

        쌍태임신 149 예에 대한 임상통계학적 고찰

        영찬(Yeoung Chan Park),고선희(Sun Hee Ko),이태인(Tae In Lee),마재남(Jae Nam Ma),강우(kang Woo Jung),원종천(Jong Cheon Weon),김용필(Yong Pil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9

        목적 : 최근 쌍태임신의 임상양상적 특징과 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함. 방법 : 1990년부터 1999년까지 포항성모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분만된 18,333예중 쌍태분만 149예 산모의 임상기록부를 관찰, 분석하였다. 결과 : 쌍태분만의 발생빈도는 1:123이었다. 총 쌍태임신에 대한 보조생식술에의한 쌍태임신의 비율은 1990년부터 1994년까지 5.3%에서 1995년부터 1999년까지 25.4%로 증가하였다. 임산부 연령은 26-30세군이 41.6%로 가장 많았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27.5±4.1세였다. 또한 초산부가 전체의 71.8%였다. 임신주수는 37-38주군이 43.6%로 가장 많았고 평균 임신주수는 35주 5일 이었다. 태위로는 두위-두위군이 42.3%로 가장 많았다. 분만방법에서는 제왕절개분만이 전체의 77.2%였고 이들의 가장 많은 적응증은 선택적 제왕절개분만이었다. 신생아의 평균체중은 2,315±610g 이었다. 신생아 Apgar점수는 제1아에서가 제2아 보다 성적이 좋았다. 태반의 형태는 이중양막 및 단일융모막이 54.4%로 가장 많았다. 성별에서는 둘다 남성인 예가 44.9%로 가장 많았다. 산모합병증에서는 빈혈이 41.6%로 가장 많았다. 주산기 사망율은 1,000명당 97명이었으며 이의 가장 많은 원인은 조산(64.0%)이었다. 쌍태분만으로 인한 모체사망은 없었다.결론 : 최근 쌍태임신의 빈도는 증가하고 있지만 쌍태임신은 단태임신보다 많은 산과적 합병증과 높은 주산기 사망율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를 줄이기 위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 To evaluate the clinical aspects of twin pregnancy and its results Methods :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the 149 cases of twin births among 18,333 deliveries, from Jan. 1, 1990 to Dec. 31, 1999 at Pohang St. Mary's Hospital. Results : The incidence of twin births was one in 123 births. The rate of twin pregnancies by assisted reproduction technique was increased from 5.3% between 1990 and 1994 to 25.4% between 1995 and 1999. The predominant age group was 26-30(41.6%) and mean age was 27.5±4.1 years old. According to parity, nullipara(71.8%) was the most frequent. The predominant gestational age of twin births was 37-38 weeks(43.6%) and mean gestational weeks of twin births was 35 weeks and 5 days. The cephalic-cephalic combination(42.3%) was predominant presentation. The most common mode of twin delivery was cesarean section(77.2%) and its main indication was elective. The mean birth weights of twins was 2,315±610 grams. Low one minute Apgar scores occured more often in second twins than in first ones. The most common type of placental membrane was diamniotic-monochorionic(54.4%). Both male group(44.9%) was predominant. The most frequent maternal complication during pregnancy was anemia(41.6%). The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97 per 1000 newborns and its main cause was prematurity(64.0%). Maternal deaths were not encountered. Conclusion : Recently, although the incidence of twin pregnancy has been increased, it has greater risks of obstetrical complications and higher perinatal mortality than singleton pregnancy.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effective management of twin pregna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