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제8기 1차 연도(2019)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한 건강행태 및 비만도에 따른 대사증후군 분포 연구

        정민영(Min-Young Chong),한인화(Inhwa Ha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1 No.11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기반으로 19세 이상 성인을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에 따라 증상이 없는 정상군, 1~2가지 증상을 나타내는 주의군, 3가지 이상의 증상을 나타내는 대사증후군으로 나누어 주의군과 대사증후군의 대사증후군 원인을 조사한 결과, 상승된 혈압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대사증후군 중에는 3가지 증상을 나타내는 대상자가 가장 많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분포를 살펴본 결과 남성이 여성 보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낮은 가구 소득과 교육수준이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아침 식사와 외식 빈도 모두 주당 4회 이하로 낮은 군에서 정상군의 비율이 낮고 대사증후군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흡연량에 따른 그룹의 분포는 남녀 각각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전체적으로 하루 20개비 이상을 흡연하는 경우 대사증후군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음주 빈도에서는 남성의 경우 한 달에 5회 이상 음주 시 대사증후군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여성은 반대로 1회 미만 음주 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만도에 따른 그룹의 분포는 남녀 모두 BMI가 증가할수록 정상군의 비율은 낮아지고 대사증후군은 증가하였고,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하는 복부비만인 경우에도 남녀 모두 대사증후군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으로 이용되는 혈압, 혈당, H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수치에 따른 정상, 주의, 대사증후군의 분포를 살펴보면 4가지 항목 모두 수치가 나쁜군에서 남녀 모두 대사증후군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에 따라 분류된 정상, 주의, 대사증후군의 식품군별 섭취량은 곡류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채소류의 경우 남녀 모두 대사증후군의 증상이 많이 나타날수록 섭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과일류는 여성의 경우 주의군의 과일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육류 섭취량은 대사증후군의 증상이 많이 나타날 수록 남녀 모두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음료류의 경우 남녀 모두 대사증후군이 정상군에 비해 섭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아침 식사 및 외식 빈도, 흡연, 음주 등과 같은 건강행태 및 식품 섭취량이 대사증후군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므로 대사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 이러한 행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인지하고 이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subjects in three groups, namely normal (0), caution (1∼2), and metabolic syndrome (MS) (≥3), based on the number of diagnostic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The data was sourced from the eighth (201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Elevated blood pressure occurred most frequently in caution group and three-combined cases were the most frequent in MS group. In males, older subjects and those with lower education levels were in higher numbers in MS group. Higher frequencies of eating breakfast and eating out decreased the probability of being in MS group, and smoking increased this probability in total. Males consuming alcohol more than five times per month showed the highest probability of belonging to MS group, but in females, this was true of those drinking less than once a month. An increase in body mass index and a higher waist circumference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being in MS group in both males and females. Subjects with higher blood pressure, blood glucose, and triglyceride, and lower HDL-cholesterol showed a higher probability of being in MS group. The intake of vegetables was the highest in MS group for both males and females and that of fruits was the highest for females in caution group. The intakes of meats and beverages were the lowest in MS group. In conclusion, health behavior and food intake are related to MS and therefore the improvement in these behaviors is needed to reduce the risk of M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제8기 1차 연도(2019)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한 정상, 주의, 대사증후군 그룹 간 영양 섭취 비교 연구

        정민영(Min-Young Chong),한인화(Inhwa Ha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2 No.12

        This study compared the nutrient intakes of normal (0), caution (1∼2), and metabolic syndrome (≥3, MS) groups, classified by the number of metabolic syndrome diagnosing criteria using data from the eighth (2019) KNHANES. The caution group was the largest group. Male, older age, lower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 level increased the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Intakes of protein, lipid, and dietary fiber were higher in the MS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but intakes of carbohydrates and sugars were higher in the normal group. Intakes of energy, lipid, PUFA, n-6 FA, and sodium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one-symptom subgroups of the caution group, and T (high blood triglyceride) group showed the highest intake amounts for all and the H (low blood HDL-cholesterol) group the lowest. Intakes of protein, cholesterol, and ir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intakes of the two-symptoms subgroups, additionally to the one-symptom subgroups. Intakes of energy, protein, fat, SFA, PUFA, n-3 FA, n-6 FA, cholesterol, phosphorus, sodium, thiamin, riboflavin, and niaci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3-symptoms subgroups of the MS group, and these intakes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4∼5 symptoms subgroups except for MUFA and n-3 FA. These results represented that nutrient intakes differ among the groups with different degrees of metabolic syndrome and suggests that dietary patterns should be modified accordingly.

      • KCI등재

        CT영상의 텍스처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간종양 검출

        서형수,정민영,이칠우,Sur, Hyung-Soo,Chong, Min-Young,Lee, Chil-Wo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3 No.6

        의료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함께 의료기관에서 사용되는 영상 데이터량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대용량 의료 영상의 해석을 위해서는 의사들의 육안 검사보다 영상처리 기술을 이용한 자동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복부 CT영상의 간 영역에 대해 GLCM(Gray Level Co-occurrence Matrix)을 이용하여 텍스처 정보를 취득하고, 이 데이터로부터 주성분 분석을 통해 간종양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기존의 간종양 검출은 명암도 한 가지 특징에 의한 방법이 대부분이었으나, 본 논문에서 CT영상에 대해 GLCM의 텍스처 정보 8가지를 이용해서 4개의 주성분 누적 영상으로 변환시켰다. 실험결과 4개의 주성분 누적 영상의 백분율 분산값은 89.9%였으며, 이를 명암도 한 가지 만을 이용한 간종양 검출방법과 면적을 비교했을 때 약 92%의 일치도를 보였다. 이는 영상데이터의 차원을 8개의 차원에서 그 절반인 4개의 차원으로 줄여도 간종양을 검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 image data amount that used in medical institution with great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is increasing rapidly. Therefore, people need automation method that use image processing description than macrography of doctors for analysis many medical image. In this paper. we propose that acquire texture information to using GLCM about liver area of abdomen CT image, and automatically detects liver tumor using PCA from this data. Method by one feature as intensity of existent liver humor detection was most but we changed into 4 principal component accumulation images using GLCM's texture information 8 feature. Experiment result, 4 principal component accumulation image's variance percentage is 89.9%. It was seen this compare with liver tumor detecting that use only intensity about 92%. This means that can detect liver tumor even if reduce from dimension of image data to 4 dimensions that is the half in 8 dimensions.

      • KCI등재

        제7기 1차년도(2016)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한 비만 및 건강행태에 따른 HDL-콜레스테롤 혈중 농도 비교 연구

        한인화(Inhwa Han),정민영(Min Young Ch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12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1차연도인 2016년도에 실시된 건강 설문조사와 검진 조사에 응답한 만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비만도, 건강행태에 따른 HDL-콜레스테롤 혈중 농도와 이상지질혈증 진단 기준에 따라 분류된 HDL-콜레스테롤 낮음, 정상, 높음군의 분포를 비교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조사 항목에 따른 HDL-콜레스테롤 혈중 평균 농도는 이상지질혈증 기준인 40 ㎎/dL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그룹별 분포를 보면 18.7%가 낮음군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중 성별에 따라 여자가 남자보다 HDL-콜레스테롤 혈중 농도가 높았으며 이상지질혈증 기준에 따라 분류된 HDL-콜레스테롤 낮음군의 비율도 낮았다. 나이에 따라서는 남녀 모두 나이가 증가할수록 HDL-콜레스테롤 혈중 농도가 감소하고 낮음군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가구 수입과 교육 수준에 대해 남자는 가구 수입에 따른 HDL-콜레스테롤 혈중 농도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여자는 가구 수입과 교육 수준에 따른 그룹별 분포 차이가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허리둘레에 따른 HDL-콜레스테롤 혈중 농도 차이를 제외하고는 BMI와 허리둘레 기준 모두에서 비만인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HDL-콜레스테롤 혈중 농도가 낮았으며 낮음군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건강행태 중 아침 식사 빈도와 외식 빈도 모두 남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여자는 HDL-콜레스테롤 그룹별 분포에서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아침식사 빈도는 비례적인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외식 빈도가 증가할수록 낮음군의 비율이 감소하였다. 신체활동은 HDL-콜레스테롤 혈중 농도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그룹별 분포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고강도 신체활동 일수는 여자에서, 중강도 신체활동 일수는 남자에서 양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흡연량이 증가할수록 남녀 모두 HDL-콜레스테롤 혈중 농도가 감소하고 낮음군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음주 빈도의 경우에는 남녀 모두 빈도수가 증가할수록 혈중 농도가 증가하고 낮음군의 비율이 감소하는 긍정적인 관계로 나타나 음주와 HDL-콜레스테롤과의 관계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에서 보이듯이 HDL-콜레스테롤 혈중 농도는 일반적 특성, 비만, 건강행태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으로 LDL-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과 함께 이상지질혈증의 기준으로서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민 건강의 올바른 지침을 마련하기 위해 HDL-콜레스테롤 혈중 농도를 이상지질혈증의 치료 기준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variations in blood HDL-cholesterol (HDL-C) levels based on the data from the Seventh (2016) KNHANES. Further, the data was analyzed to correlate blood HDL-C levels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obesity and health behavior. Females showed higher HDL-C levels than males, and the levels decreased with age in males (P<0.001). HDL-C levels showed significant variations based on the household income in males (P<0.01). Males with obesity, as defined by both body mass index (BMI) and waist circumference, had lower HDL-C levels than normal but females with obesity defined only by BMI had lower levels (P<0.001). The HDL-C level showed significant variations based on the smoking and drinking frequency among the studied health behaviors (P<0.001). The distribution of low, moderate, and high groups classified by blood HDL-C levels showed significant variations by sex, age, obesity, smoking and drinking. Also, the distribution of the groups showed significant variations based on education levels, waist circumference and frequency of eating breakfast and eating outside in females. Similar variations were observed based on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 in both males and females, and medium intensity physical activity in males (P<0.05). HDL-C levels correlated negatively with obesity and smoking and positively with physical activity. Drinking frequency, however, was associated positively with HDL-C levels and this implies that further studies on the relation of blood HDL-C with drinking are needed. In conclusion, HDL-C is closely related to general characteristics, obesity, and health behavior. Therefore the importance of using HDL-C as the standard parameter for dyslipidemia treatment should be emphas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