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철도종사원의 직무적합성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정민선 인문사회 21 2018 인문사회 21 Vol.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job satisfaction of railway employees by identifying the environment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individual variables. To that end, data concerning 656 railway employees were analyzed. The correlation and structural model were analyed by SPSS 23.0, AMOS 22.0. The verification reveal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fit, positive psychology capital, and job satisfaction, and proved the suitability of the structural model by which the job fit of railway employees had effects on their job satisfaction by the mediation of positive psychology capital. In addition, it was proved that the direct effect of job fit on job satisfaction and the indirect effect of job fit on job satisfaction by the mediation of positive psychology capital were all significant, thus showing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y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fit and job satisfaction. Thus, related agencies should establish a good human resources management system designed to appropriately assign employees to right jobs by considering individuals and their job fit, to offer appropriate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jobs, and to reinforce their positive psychology capital.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jor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철도종사원자들의 직무만족을 높이는 환경과 개인적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여, 철도종사원의 직무만족을 높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철도공사에 근무하는 종사자 656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23.0, AMOS 22.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직무적합성, 긍정심리자본, 직무만족의 관계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철도종사원의 직무적합성이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적합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가 모두 유의하여 긍정심리자본은 직무적학성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철도공사는 종사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개인과 직무의 적합성을 고려하여 직무배치를 하고 이들의 긍정심리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인적관리체계를 잘 갖추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주요 함의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남성상담자의 감정억제와 공감, 내담자의 작업동맹과 상담만족

        정민선,김지현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1

        This study identified how restricted emotionality of the male counselors' could affect the process of counseling(counselor's empathic ability, client's working alliance) and results(counseling satisfaction). Counselor's empathy ability and counselee's working alliance were supposed as medi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stricted emotionality of the male counselors' and clients' counseling satisfaction. Seventy-five male counselors and 225 clients(three clients of each counselor) answered the study questionnaire.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relationship of restricted emotionality and empathy ability of male counselors' was significant, and the relationship of client's working alliance and counseling satisfaction was also significant. Second,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empathy ability of male counselors was inversely correlated to their restricted emotionality, and diminished the clients' counseling satisfa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restricted emotionality and clients' satisfaction of counseling was fully mediated by counselor's empathy abilit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with male counselors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남성상담자가 내면화한 성역할 갈등 중 감정억제가 상담의 과정(상담자의 공감, 내담자의 작업동맹)과 성과(내담자의 상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남성상담자의 감정억제를 독립변인으로, 상담자의 공감과 내담자의 작업동맹을 매개변인, 내담자의 상담만족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남성상담자 75명과 그들의 내담자 각 3명씩, 총 225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첫째, 남성상담자의 감정억제와 공감의 관계는 부적상관이 있었고, 내담자의 작업동맹과 상담만족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다층구조방정식을 통한 연구모형 검증 결과 남성상담자의 낮은 감정억제는 공감을 증가시켰으며, 상담자의 높은 공감은 내담자의 상담만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성상담자의 감정억제와 내담자의 상담만족의 관계를 상담자의 공감이 완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에 따른 제한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 남성상담자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 되었다.

      • KCI등재

        초기불교 수행의 불안 제거 연구- 우땃짜(uddhacca)와 마음챙김(mindfulness)의 제한적 상호관계 -

        정민선,정준영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2

        This study deals with the causes and elimination processes of anxiety in psychotherapy and Early Buddhist practice. The mindfulness meditation, which applied the teachings of Early Buddhism, is currently used mainly to cure anxiety. However, cases in which psychological treatment of mindfulness is limited are also confirmed. These studies indicate that Early Buddhist understanding of anxiety as well as supplementation of mindfulness healing methods are necessary. This Study focuses on the meaning of anxiety centered on the uddhacca(anxiety), which is a common element of the Five hindrances and the Higher fetters (uddhambhāgiya-samyojana) in the Pāli-Nikāya. At the same time, discuss how to overcome the anxiety proposed by the Buddha. Early Buddhism does not apply sati directly with constant effort to control anxiety. The Buddha advises to start with wise attention(yoniso manasikara)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anxiety and reduce excessive motivation.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o find a balance between effort and sloth, and to remain calm and equanimity. Mindfulness today is broadened in meaning and is used as a term to replace meditation and psychotherapy in general. For the proper use of mindfulness, it is necessary to learn about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the Buddha. 본고는 초기불교 수행에서 나타나는 불안의 원인 및 제거과정을 토대로 현대인의 불안장애 제거를 위한 명상적 접근을 다룬다. 초기불교의 가르침을 응용한 마음챙김 명상법이 현재 불안치유를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마음챙김의 심리치료적 적용이 제한적인 사례도 확인된다. 이러한 설명은 불안에 대한 불교적 이해 뿐만 아니라, 마음챙김을 보완하는 치유 기제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초기경전의 오장애(五障礙)와 오상분결(五上分結)의 공통요소로 나타나는 우땃짜(uddhacca, 불안, 들뜸, 흥분)를 중심으로 불안의 의미를 살핀다. 동시에 붓다가 제안하는 불안의 극복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초기불교는 불안을 다스리기 위해 끊임없는 노력으로 사띠를 직접 적용하지 않는다. 붓다는 개인의 불안에 따라 올바르게 주의 기울이고, 과도한 의욕을 줄이는 것에서 시작할 것을 권유한다. 더 나아가 노력과 나태 사이에 균형을 찾으며, 고요함과 평온을 유지할 것을 제안한다. 오늘날의 마음챙김은 그 의미가 확대되어 명상과 심리치료 전반을 대체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마음챙김의 적절한 활용을 위해서는 그 근원적 가르침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사회적 지지와 청소년의 규범부적응의 관계:중퇴의도의 조절효과

        정민선,장지영,최희철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성 이론에 기초하여 사회적지지(부모지지, 교사지지, 또래지지)와 청소년의 규범부적응의 관계의 정도가 중퇴의도의 유무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경기도 소재의 9개 중고등학교 총 533명의 청소년들(남학생 219명, 여학생 314명, 중학생 267명, 고등학생 266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규범부적응과의 관계에서 중퇴의도의 조절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구조모형을 검증하기 전에 사회적지지와 규범부적응이 측정변인들에 의하여 타당하게 측정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측정모형검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타당하게 측정되고 있었으며, 중퇴의도 유집단과 무집단사이의 동일성이 확보되어 구조모형검증을 하였다. 사회적지지(부모지지, 교사지지, 또래지지)와 규범부적응 간의 경로에 동일화제약을 가하지 않은 모형과 순차적으로 동일화제약을 추가하면서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퇴의도 여부가 교사지지와 규범부적응의 관계에서 조절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지지와 규범부적응간의 관계, 또래지지와 규범부적응간의 관계에서 중퇴의도는 조절변인으로 작용하지 않았지만, 중퇴의도가 없는 집단에서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고, 중퇴의도가 있는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퇴의도가 있는 청소년의 경우 부모지지와 교사지지가 높을수록 규범부적응이 낮았고, 또래지지가 높을수록 규범부적응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에 따른 교육적, 상담적 함의, 연구의 제한점,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SD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parents support, teacher support, peer support) and the adolescent norm maladjustment is affected by the intention of school dropout. Data were collected from 533 adolescents (219 males, 314 females, 267 middle school, 266 high school) who attend the 9 middle and high schools in Gyeonggi area. For analys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goodness of fit and multiple sample analysis, which allows testing whether a pattern of relationship is invariant across different samples, were used. The results, which shows that the intention of dropping school plays a role as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 between teacher support, and the norm maladjustment. The intention of school dropout didn't play a role as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support and regulations maladjustment, or peer support and regulations maladjustment. In the case of students who had the intention of school dropout, high parents support and teacher support minimized the regulations maladjustment, while high peer support showed that it was high. According to these results, educational and counselling implica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SCOPUS
      • KCI등재

        A Tumefactive Multiple Sclerosis Lesion in the Brain: An Uncommon Site with Atypical Magnetic Resonance Image Findings

        정민선,김현숙,김재훈,김은경,최윤선 대한영상의학회 201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9 No.5

        Tumefactive multiple sclerosis (MS) is a rare type of demyelinating disease. Typical magnetic resonance (MR) image findings show incomplete ring enhancement with a mild mass effect. This lesion is otherwise indistinguishable from other mass-like lesions in the brain. Knowledge of the MR imaging findings for tumefactive MS is thus helpful for correct diagnosis and appropriate therapy. In this report we describe the MR image findings for pathology-confirmed tumefactive MS in an uncommon location, alongside a discussion of its aggressive features.

      • KCI등재

        시멘트 수화에 따른 6가 크롬의 고정화 특성

        정민선,황준필,홍성인,안기용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7 No.6

        시멘트 내 6가 크롬은 피부질환이나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유해한 인체에 유해한 이온으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시멘트 내 6가 크롬의 정량적 분석을 하고자 시멘트 및 시멘트 경화체 내 6가 크롬의 고정화에 대해 평가하였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 3종과 플라이애쉬, 고로슬래그 미분말, 실리카퓸을 사용하여 수용성 및 산가용성 6가 크롬을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시멘트 내 수용성 6가 크롬의 농도는 10.5-18.9 mg/kg-cement 범위였으며 혼화재료 내 수용성 6가 크롬의 양은 매우 적게 측정되었다. 시멘트 내 산가용성 6가 크롬의 농도는 172.4-318.2 mg/kg-cement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수용성 6가 크롬에 비해 증가하였다. 그러나 크롬의 pH에 의존적인 용해 특성에 따라 용매의 pH가 저감된다고 하여 산가용성 6가 크롬의 농도가 항상 크게 측정되지는 않았다. 시멘트 수화 후 수용성 6가 크롬은 2.0 mg/kg-cement 정도로 감소하였으며 이는 크롬산-에트링게이트 생성에 의한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hexavalent chromium (Cr(VI)) is well known as a hazardous ion, presumably inducing dermatic diseases and if serious cancer. The present study concerns the binding capacity of Cr(VI) ions in the cement powder and matrix for a quantitative technique of Cr(VI) ions in cement to influence human health. Both the water-soluble and acid-soluble Cr(VI) ions present in 3 types of ordinary Portland cement (OPC), pulverised fuel ash (PFA),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GGBS), and silica fume (SF) were measured using the spectrophotometer.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of water-soluble Cr(VI) ion in cement ranged from 10.5 to 18.9mg/kg-cement, and in the additional materials a very low value of Cr(VI) ion was measured. Acid-soluble Cr(VI) ion was even higher than water-soluble Cr(VI) ion, ranging from 172.4 to 318.2mg/kg-cement. Nevertheless, the concentration of acid-soluble Cr(VI) ion is not proportional to addition of acid. It depends rather the variable pH of solvent involving cement paste. As enough cement hydration occurs, the binding capacity of Cr(VI) ion increases, inhibiting this ions from leaching out in the presence of hydration products such as ettringite or tri-calcium aluminate which bind Cr(VI) ion by ion-exchange.

      • KCI등재

        Primary Signet-Ring Carcinoma in the Bladder Presenting as a Hypervascular Luminal Polypoid Mass

        정민선,최승아,정윤영,조영권,이원미,이승욱 대한영상의학회 201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6 No.1

        Primary signet-ring carcinoma is a very aggressive and rare variant of a primary uri¬nary bladder cancer, accounting for less than 1% of cases. We reported on a 76-year-old patient with primary signet-ring carcinoma who occurred metastatic lymphade¬nopathy with extranodal invasion causing intraluminal tumor thrombi in the adjacent vein, and pulmonary metastasis over the course of three months. We demonstrated the computed tomography findings of primary signet-ring carcinoma of the bladder and correlated the imaging findings with the pathologic features. We reviewed the distinguishing imaging findings of the primary signet-ring carcinoma compared with urothelial cell carcinoma, the most common subtype of the bladder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