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남령의 시학 연구

        정민구(Jeong, Min-gu)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8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3

        신춘문예에 소설, 시조를 발표하면서 문단에 등단하고, 가람 이병기의 3회 추천을 통해 기성 문인의 대우를 받게 된 영광 출신의 시인 조남령은 우리 문학사가 망각해 왔던 문인의 한 사람이다. 월북문인으로 해금조치 이후에도 그의 생애 및 작품 전반에 대한 정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이번에 『조남령 문학 전집』(2018)의 발간을 통해 망각된 문학사의 일부를 복원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기왕의 선행 연구들은 그의 생애와 작품이 역사적 상황과 밀접하다는 것에 주목했다. 현실과 마주하는 가운데 그것을 외면하지 않으면서 문학을 통해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것은 시인에게 있어서 일종의 정언명령과도 같다. 그의 작품들에 나타난 이념성의 강한 표출은 정언명령의 실천이 그에게 혹은 시작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의 전반적인 작품 세계가 이념성을 담고 있는 것은 아니며, 그것은 비교적 후반의 일부 작품들에서 두드러진다. 이 글은 그의 시작(詩作)을 가능하게 한 시적 원리가 명의(命意)의 미학에 있으며, 현실과 마주한 삶(시인)의 시름이 유래하는 시적 기원에 대해 고찰하여, 이념성의 표출이 생경한 방식이 아니라 그의 시학과 맞닿아 있는 현실 대응의 한 방식이라는 점을 밝혀내기 위한 예비 작업이 될 것이다. Cho, Nam-Ryung was originally from Yeonggwang and became a writer when he published novels and poems in the New Year’s novels in the 1930s∼40s. He is also a poet who has been recognized as a leading writer through three recommendations of Garam Lee, Byung-ki. At the same time, however, he is one of the forgotten writers of our literary history. Although his life and works as a whole have not been fully resolved after lifting of the ban as a North Korean writer, the opportunity to restore some of the missing literary history through the publication of The Complete Works of Cho, Nam-Ryung (2018). Precedent researches have noted that his life and works are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ical situation. It is a kind of categorical imperative for the poet to react positively through literature while not facing it in the face of reality. The strong expression of ideology in his works shows that the practice of categorical imperative was an important factor for him or for the writings. However, his overall works does not contain ideology, which is remarkable in some relatively late works. This study is based on the poetic principle that enabled his poetry and his poetic origin as the aesthetic of the poet. As a result, I want to point out that the expression of ideology is not a simple way but a way of responding to reality that is in touch with the whole process of writing.

      • 하절기 환경에서 구조체 코어 강도와 표준양생 공시체 강도의 압축강도 발현 상관성 평가 연구

        정민구 ( Jeong Min-gu ),김한솔 ( Kim Han-sol ),이한승 ( Lee Han-seung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3 No.2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varies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Among them, based on the curing temperature, the KCS 14 20 10 Standard Specification for General Concrete calculates the nominal strength by applying the temperature correction value (Tn) based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standard cured concrete at 20±2℃ when designing the formulation strength. However, Tn is a correction value that considers only the temperature, and the correction of strength difference due to heat of hydration is not applied. Therefore, in this study, one-component and two-component concrete are mixed in the summer, structural concrete are manufactured, standard concrete specimen are manufactured, and coring is performed on the central and boundary parts of the structural concrete to calculate the correction value applied to the nominal strength by compar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standard cured concrete on the 28th day of curing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structural concrete on the 91st day of curing.

      • KCI등재

        김준태의 ‘불이(不二)의 시학’에 관한 시론(試論)

        정민구(Jeong Min-gu)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2

        “From May to Democracy! May to Unification!” is one of the powerful slogans about May Gwangju, which is repeated year after year. It belongs to people who remember Gwangju in May and also to poets. In this article, the poet Kim Jun-tae is named as the poet who uttered the slogan. He was undoubtedly called the poet of May Gwangju. However the shamanistic/political power of the slogan, “move from the spirit of May to the path of democracy and unification”, is fading. In addition, Kim Jun-tae’s series of poems for unification were also read within a parallax gap due to the changes in social mechanisms and the public sphere, which led him to be asked for the validity of the unification discourse embedded in it, or the possibility of poetic criticism and transformation. In response to such requests, this article intended to submit the Non-duality (不二) poetics as the principle of forming Kim Jun-tae’s unification poems. It is expected that the Non-duality (不二) poetics will be a step to establishing the May poetics, as well as to show the possibility of literature (poetry)’s response to the issues of democracy and unification here, while facing the changes in social mechanisms and public sphere along the way. “오월에서 민주주의로! 오월에서 통일로!”라는 해마다 반복되는 오월 광주에 관한 하나의 말/슬로건이 있다. 이는 오월 광주를 기억하는 사람들의 것이자 그것을 읊조리려는 시인들의 것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그 말/슬로건을 발화한 시인으로 김준태 시인을 호명한다. 그는 의심의 여지 없이 오월 광주의 시인으로 불렸다. 그러나 지금-여기에서 ‘오월의 정신에서 민주주의와 통일의 길로 나아가자’는 말/슬로건의 주술적/정치적 힘은 사라져가고 있다. 또한 사회적 메커니즘 및 공론장의 변동에 따라 김준태의 일련의 통일시 또한 시차적 간극 안에서 읽히면서, 그 안에 내재한 통일담론에 대한 유효성 혹은 비판과 변용의 가능성을 요청받게 되었다. 그러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이 글에서는 김준태의 통일 시편을 구성하는 원리로서 ‘불이(不二)의 시학’을 제출하고자 하였다. 불이의 시학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사회적 메커니즘 및 공론장에 대응하여 지금-여기에서 민주주의와 통일 담론에 대한 문학(시)의 응답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자, 오월의 시학을 정초하기 위한 한 걸음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 가족 사유의 한 양상

        정민구(Jeong, Min-gu)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9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5

        전통적인 의미에서 가족은 동일한 공간에서 같이 입고, 같이 먹고, 같이 살아가며 일체감을 형성한 매우 친밀하면서 상호의존적인 운명공동체를 말한다. 우리는 운명에 입각한 가족 단위에 대한 ‘닫힌’ 인식이 그러한 공동체적 관계를 만드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가족구성원의 행동이 우리의 행복과 불행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열린’ 인식이 그러한 관계를 추동한다. 간단히 말해서, 서로의 삶에 영향을 주는 공동체를 가족으로 의식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가족을 규제적 공동체가 아니라 구성적 공동체로 볼 수 있게 한다. 근대 이후로 과연 가족은 열린 개념이며 변화하는 개념이 되었다. 가족 개념의 열림과 변화에 관여하는 것은 가족 이데올로기이다. 그래서 지금-여기에서 가족에 대해 묻는 일은 기왕의 가족 이데올로기가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묻는 일이기도 하다. 가족 규정에 대한 여러 가지 방식의 규정들이 존재해 왔지만 정작 ‘가족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쉽게 제출될 수 있는 답은 여전히 요원하다. 물음과 답의 간극을 좁히기 어려울 때, 다만 우리가 해볼 수 있는 것은 존재하는 간극에 대한 끊임없는 물음의 시도이다. 이상과 같은 관점에 입각하여, 본 논문은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 가족의 형상을 살펴보았다. 김수영의 시에서 가족은 ‘정상적인’ 방식에서 어긋나 도립(倒立)되고 위악(僞惡)적인 방식 안에서 형상화된다. 이러한 가족 형상화에서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가장(家長)으로 간주되는 시적 화자의 태도이다. 그는 ‘정상성’에서 일탈한 방식으로 영위되는 가족생활에 대해 섬뜩하리만큼 정직한 시적 고백을 수행한다. 자신의 일탈에 대한 고백에 있어서 가장은 향유의 주체가 될 수 없으며, 그럴 때 가족 이데올로기 속에 배치된 가장으로서 시적 화자는 끊임없는 내적 갈등과 마주하는 존재가 된다. 이처럼 김수영의 시에서 나타나는 것은 ‘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가족생활에 반하는 것으로서의 도립되고 위악적인 가족생활이다. 가족생활에 대한 문제적 형상화는 비단 가족에 대한 특별한 묘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기왕에 존재하는 가족에 대한 관념에 물음을 던지는 것이기도 하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김수영의 시에서 나타난 가족 형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가족에 대한 시적 사유(思惟)의 한 양상을 포착해 보고자 하였다. In the traditional sense, the family refers to a very intimate and interdependent community of destiny that has been worn together in the same space, eaten together, lived together and formed a sense of unity. We tend to think that the "closed" perception of fate-based family units creates such a communal relationship, but the "open" perception that family members" actions can affect our happiness and unhappiness drives such relationships. In short, we become conscious of the communities that affect each other"s lives as family members. This allows the family to be viewed not as a regulatory community but as a structured community. Since modern times, the family has become an open and changing concept. Engaging in the opening and changing of family concepts is family ideology. So now, asking about family here is also asking how existing family ideology has changed. There have been many different ways of stipulating the family regulations, but the easy way to answer the question, "What is the family?" is still a long way from here. What we can only do on the gap between the question and the answer will be the constant attempt of the question. Based on the above-mentioned the sense of problem, this paper analyzes some figures of the family shown in Kim, Su-young"s poetry. In his poetry, the family is figured in a way that goes against the "normal" method and is independent and evil. Especially problematic in these family features is the attitude of the poetic speaker, who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He carries out a gruesomely honest poetic confession about family life being led in a deviant way from "normality." In a confession of one"s deviance, the head cannot be the main agent of enjoyment, and when so, as the head stationed in the family ideology, the poetic speaker becomes the one who faces constant internal conflict. As such, what appears in Kim"s poetry is the established and evil family life as opposed to family life considered "normal." The problematic image of family life is not only a special description of families, but also a question about existing ideas of the family. As a result, this paper sought to capture an aspect of the poetic thought of the family that appeared in modern Korean poetry through an analysis of the family figures shown in Kim"s poetry.

      • KCI등재

        김우진의 시에 나타난 내면의식 연구 - ‘가족주의’를 중심으로

        정민구(Jeong, Min-gu),김동근(Kim, Dong-geun)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21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0 No.38

        김우진(金祐鎭)에게 집/가정은 자유와 자연이 없는 감옥으로 비유되었다. 그것은 소위 가족주의로 둘러싸인 “기대의 감옥(prison of expectation)”이었다. 기대는 분명 주체가 아닌 타자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끊임없이 자신의 내면에서 들려오는 주체의 감각에 몰두하면서 그것을 시를 포함한 여러 장르의 글로 표출하였다. 1926년 6월 김우진은 주체의 자유와 자연을 회복하기 위하여 출가(出家)를 결행하였다. 그는 대한해협을 건너 동경으로 들어갔는데, 그것은 독일로 가서 문학과 철학을 다시 공부하기 위한 준비 과정이었다. 그는 아버지의 뜻에 따라 가업을 잇는 삶의 방식 대신에 자신의 뜻에 따라 문학을 실천하며 살아가는 삶의 방식을 택했던 것이다. 그러나 문학의 삶은 그것을 위해 건너가야 했던 대한해협 위에서 역설적으로 종국(終局)의 장면에 이르게 되었다. 그 이후로, 그가 집/가정을 초극하면서 추구하고자 했던 문학의 생은 지워지고 풍속의 죽음만이 널리 회자되었다. 이 글에서는 풍속의 죽음으로 담론화되었던 죽음의 장면에서 출발하여 김우진의 시에 나타난 내면의식을 가족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그의 죽음에 가려진 문학의 생을 다시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그의 죽음/자살은 단지 풍속의 차원에서 소비될 수 없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죽음/자살의 장면은 문학의 기원이 되는 내면의식이 자리잡은 곳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근대적 지식인이 자신의 내면에 형성된 자유의지에 따라 출가하여 죽음/자살을 감행한 것 자체는 가족주의를 극복하려는 사회적 실천의 한 방식으로 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김우진의 생과 사는 문학과 현실이라는 이중의 관점 안에서 겹쳐진다. 그에게 삶이란 죽음의, 죽음이란 삶의 다른 명명인 것처럼, 문학은 현실의, 현실은 문학의 다른 명명이 되는 것이다. 이처럼, 이 글에서는 김우진의 시세계에 놓여있는 내면의식을 가족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집/가정에서 사회로 이어지는 내면의식의 연장에 대해 논구해 보았다. Kim Woo-jin (1897-1926) likened home/family to a prison without freedom and nature. It was the so-called "prison of expectation" surrounded by familism. Expectations are definitely not the subject but the other"s. Nevertheless, he constantly immersed himself in the senses of his inner self, expressing them in various genres of writing, especially poetry. One day, Kim Woo-jin ran away from his self-described ‘prison’ to be restored by freedom and nature. He crossed the Korean Strait into Tokyo, which was a preparatory process to go to Germany and study literature and philosophy in earnest. He chose to live by practicing literature according to his will instead of the way of life pursuing the family business according to his father"s will. However, the life of literature ironically ended up in the final scene on the Korean Strait, which had to be crossed for it. Since then, the life of literature he wanted to pursue in overcoming home/family was erased and only the death of the customs (風俗) was widely talked about. Starting from the scene of death, which was discussed by the death of customs, this article focused on the inner consciousness of Kim Woo-jin"s poetry based on familism, and tried to reconstruct the life of literature hidden by his death. His death/suicide was judged not to be consumed solely in terms of customs. The scene of passing is where the inner consciousness of literature originated. In addition, the fact that modern intellectuals ran away from home/family and carried out death/suicide in accordance with such free will formed inside them can be seen as a way of social practice to overcome familism. In this regard, his life and death overlap within the dual perspective of literature and reality. For him, life is another side of death, and literature is another side of reality. Of course, the reverse is also established. As such, this article discussed the extension of Kim Woo-jin"s inner consciousness from home/family to society, focusing on familism.

      • KCI등재

        정재완 시인 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 ― 물음과 단서들

        정민구 ( Jeong Min-gu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85

        정재완 시인은 광주 지역을 중심으로 문학 활동을 하면서 생전에 9권의 시집과 2권의 동시집을 발간하는 등 괄목할만한 문학적 성과를 이루어냈다. 아울러 1960년 『현대문학』으로 등단한 이래 다른 지역의 문인들과도 여러 동인을 결성하여 활발하게 교유하면서 지역문단의 외연을 넓히는 활동을 지속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시인의 문학적 생애를 정리하고 문학 활동을 검토하는 과정을 통해 지역문학이나 한국현대문학사의 공백과 결여를 보완할 수 있음을 환기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시인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추동하기 위한 예비적 연구의 차원에서 몇 가지의 물음과 단서를 도출해 보였다. 침체의 시기를 둘러싸고 발생하는 시적 진정성의 문제, 시(집)과 동시(집)의 관계, 윤석중 문고에서 발견된 시집들, 시인의 아호에 내재한 문학적 교유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예비적 연구를 통해 정재완 시인의 시 세계 전반을 규명하기 위한 실마리를 마련하고 지역문학(사)의 별자리를 구성하는 데에 보탬이 되고자 하였다. Poet Jeong Jae-wan produced remarkable literary achievements while working as a regional literary activist, publishing nine collections of poetry and two collections of children’s verse during his lifetime. In addition, since his debut with Hyŏndaemunhak in 1960, he has continued to expand the scope of regional literature by actively interacting with writers from other regions as literary coteries. This paper first summarized the literary life of the poet, and in this process, it evoked a point where the gaps and deficiencies in the history of regional literature or modern Korean literature can be filled. To this end, prior to a full-fledged study of the poet's literary activities, several clues were drawn as a preliminary work. They include issues of poetic authenticity surrounding the period of stagnation, relationships between (collections of) poetry and (collections of) children’s verse, his collections of poetry found in Yoon Seok-joong's bookshelf, and literary intercourse inherent in the poet's pen names. This preliminary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basis for identifying the whole poetic world of Jeong Jae-wan and help form constellations of regional literature.

      • KCI등재

        문학 언어의 정치적 가능성에 대한 시론

        정민구(Jeong, Min-gu)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7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1

        본 논문은 문학=언어를 의사소통의 특수한 도구가 아니라 의사소통의 보편적 현상(활동)으로 전제한다. 문학 언어에 관한 기존의 관점들에 노정되어 있는 것처럼, 문학 언어는 특수한 언어로 구성되어 있다고 간주하거나 문학의 언어가 정치적인 역량을 가지고 있다고 기대하는 방식은 그것을 항상 ‘보이지 않는 것’, ‘암호화된 것’, ‘개별적인 것’으로 잔존하게 만든다. 그러나 만약 문학 언어라는 형식이 우리들의 삶에 어떤 구원을 줄 수 있는 것이라면, 그것은 오히려 ‘보이는 것’, ‘판독된 것’, ‘보편적인 것’이어야 한다. 그것이 진정한 구원의 방식이다. 문학 언어가 보편적인 구원을 수행하는 자리에서, 그 언어는 ‘문학의’ 언어가 아니라 ‘아무나의’ 언어가 된다. 따라서 문학 언어의 정치적 가능성은 우선적으로 ‘문학의 언어’에서 ‘문학과 언어’로 옮겨가는 인식론적 전환을 통해 모색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ssumes that literature=language is not a special tool of communication but a universal phenomenon of communication (activity). As included in existing perspectives on literary language, the way in which literary language is considered to be composed of a particular language or language of literature is presumed to have political competence makes it always "invisible", "encrypted" or "individual". But if the form of literary language is something that can deliver salvation to our lives, it should rather be `visible`, `decrypted`, or `universal`. The universal way of salvation in the true sense would be like that. In the place where literary language performs universal salvation, it becomes the language of `everyone` rather than the language of `literature`. Therefore, the political possibilities of literary language can be searched first through the epistemological turn from `language of literature` to `literature and language`.

      • KCI등재

        악(惡)에 대처하는 시적 전략의 한 가지 -여상현의 칠면조(七面鳥) 를 중심으로

        정민구 ( Min Gu Jeong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용봉인문논총 Vol.40 No.-

        여상현의 시에 대한 논의는 그리 많지 않다. 그는 월북작가인데다 단 한 권의 시집인 『칠면조(七面鳥)』만을 남겨놓았기 때문이다. 몇몇 기왕의 논의들은 주로 여상현의 생애에 대한 궤적을 추적하거나, 그런 배경을 바탕으로 『칠면조』에 수록된 시들의 전체적인 사상적 지도를 그리는데 치중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래서인지 모르겠지만, 시집의 표제이자 대표시인「칠면조」에 대한 분석은 아직까지도 다소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칠면조」의 시적 의미를 좀 더 넓은 차원에서 파악하기 위해 전복적 시-읽기를 시도했다. 처음에는 표준적이고 일면적인 시적 어휘의 수준에서 분석하였고, 다음에는 가급적 비-표준적이고 이면적인 시적 전언의 수준에서 분석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칠면조」는 언표내적 차원에서는 악에 대한 고발의 방식을 시적 전략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거기에서 그치지 않고, 언표외적 차원에서는 악에 대한 시인의 고백의 방식을 시적 전략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시적 전략은 궁극적으로 「칠면조」를 읽는 독자들에게 자기-반성을 수행하도록 만드는 실천적인 효과로 이어진다. 요컨대, 고발에서 고백으로 이어지는 방식은 도래할 파국적 상황 속에서 악에 대처하기 위해 나약한 인텔리 시인이 선택한 시적 전략의 한가지였던 것이다. The studies of Yeo Sang-hyun’s poetry are not many until now so. Because he was the writer who went to North Korea and only left one collection of poems, A Turkey. Some past studies seem to examine closely his life mainly, with the result which comes out from that, try to draw the whole ideological map about his poetry. It is, however, the fact that analysing the poem of “A Turkey” is insufficient so far, despite of which is both title and representative one of his collection. This study attempted a subverting poetic reading, in order to grasp poetic meaning of that poem more widely. Firstly, we analysed it from a level of poetic vocabulary which is standard and one side, secondly endeavored to analyse it from a level of poetic message which is non-standard and reverse side so far as possible. The result is like this. Seeing from illocutionary dimension, “A Turkey” is using the method which reveals ‘Axis of evil’ as poetic strategy. Also, from perlocutionary dimension it uses the method where poet oneself confesses his evil with poetic strategy. This poetic strategy would cause the practical effect of self-reflection for readers who read that poem. Shortly, the method being first as revelation then as confess, is to be one kind of poetic strategy selected by a weak intelligentsia poet, Yeo Sang-hyun, for handling properly against evils from looming catastrophes.

      • KCI등재

        시어를 둘러싼 물리적 경험과 기호적 경험에 관한 시론 - 조태일의 초기 연작시 「나의 處女膜」을 중심으로

        정민구(Jeong Min-gu) 한국비평문학회 2021 批評文學 Vol.- No.82

        본 논문은 조태일의 초기 연작시 「나의 處女膜」에 나타난 시어 ‘處女膜’에 주목하여 그것을 둘러싼 물리적 경험과 기호적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연작시 텍스트의 이해 지평을 확장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연작시 텍스트를 기호적 차원에서 규명하기 위해 시의 기호학(semiotics of poetry)과 체험주의적 기호 이론(experientialist theory of signs)을 참조하였다. 본론의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습적/문화적 도식의 한계에서 벗어나 시어 ‘處女膜’의 취택 배경과 기호적 경험의 측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해당 시어의 취택은 일상의 언어기호를 둘러싼 물리적 경험과 기호적 경험에 대한 시인의 각별한 고려가 반영된 것이다. 셋째, 해당 시어는 당대의 관습적이거나 문화적인 것, 혹은 획일적이거나 이중적인 것들에 대한 경계를 무너뜨리면서 시적 소통을 개진하는 열쇠어로 기능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조태일의 초기 연작시에 나타난 시어 ‘處女膜’에 대한 논의를 통해 연작시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재고하고, 보다 확장된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토대를 마련해 보였다. This paper tried to expand the understanding horizon of poetry texts by analyzing the physical and semiotic experiences of the poetic word ‘Cheonyeomak’ used in Cho Tae-il’s early series of poems ‘Naui Cheonyeomak’. In order to identify the texts of serial poetry in a semiotic dimension, semiotics of poetry and experientialist theory of signs were referenced. A summary of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he limits of the conventional/cultural schema and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adoption and aspects of the semiotic experience of that poetic word. Second, the adoption of that poetic word reflects the poet’s special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and semiotic experiences surrounding everyday language signs. Third, that poetic word functions as a key word to promote poetic communication while breaking the boundaries between the conventional and cultural things of the time, or the uniform and double things. As a result, this paper laid the foundation for rethinking the understanding of the texts of serial poetry and enabling a more expanded understanding through the discussion of the poetic word ‘Cheonyeomak’ that appeared in Cho Tae-i’s early series of poems ‘Naui Cheonyeoma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