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星湖 李瀷의 退溪 읽기와 學派分裂 ─ 星湖와 近畿南人의 학문적 접점과 “道東”論의 괴리 ─

        정도원 한국유교학회 201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8 No.-

        Sungho Yi-ik emphasized that he emulated Toegye Yi-hwang and Misu Heo-mok as Neo-Confucian heirs. He redacted Toegye’s texts and made a report on many Toegye’s disciples. He was valuated as one of the heirs, who succeeded to Toegye’s Neo-Confucianism and lived in near Seoul, in the consequence of these efforts. But this estimation was fictional, because his Neo-Confucianism was not Neo-Confucianism of Toegye. He did his own philosophy, not Toegye style Neo-Confucianism. His compilations of Toegye’ texts had not the core of Toegye’s Neo-Confucianism. Especially, Dodongrok, the Records of Neo-Confucian Core in Korea, is a representative sample. Therefore, Soonam Ahn-jungbok, in his famous disciple, re-edited this book, completely. Yijasuo, the collection of Saint Yi’s maxims was the result. Soonam was orthodox Neo-Confucian scholar and the heir of Toegye’s Neo-Confucianism. Their philosophical goal was different. So Soonam became silent at the controversy between the Sungho left and Sohnam Yoon-donggyu. In his point of view, maybe Sungho was not a legitimate successor of Toegye School in near Seoul. The Sungho left argued “Self-Complacency”, which was a new prospect of Neo-Confucianism in Chosun Dynasty. On the other hand, Sungho right asserted norm-observance in the horizon of Neo-Confucianism. This was the flare of rupture in Neo-Confucian world. There was two ideological flow in 18th century Chosun. One was orthodox Neo-Confucianism, main and old, and the other was Silhak, weak but new. They had the same goal for reform but different strategy for real world. That is the reason why they have different ways in last period of Chosun Dynasty. And nowadays Silhak means the Confucianism as it is, without Neo-Confucain practical strategy. Sungho and his schools division was a symbolic incident telling new epoche and change of thought. 성호는 자신의 사상적 연원을 퇴계에 두고 근기남인의 한 명인 미수와의 관련성을 강조하였다. 퇴계의 저술을 편집하여 사숙자로서의 위치를 분명하게 하려하였고, 더하여 다수의 근기남인을 발굴하여 퇴계의 급문제자록을 증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성호의 이러한 주장은 후일 번암에 의해 체계화되었지만, 당파적인 색채와 지연, 혈연, 단순한 학연이 성글게 엉킨 이상의 의미를 가지기 힘들다. 막상 이러한 맥락에서 강화되었어야 할 사상적 귀결은 그 스스로 부정한 측면이 있다. 스스로 퇴계학적 귀결을 부정한 「사칠신편중발」이 그렇고, 좌파와 우파의 퇴계읽기 방식 대립에 침묵한 것이 그러했다. 성호의 사상적 귀결은 스스로 내세우는 학문적 지향과는 일치하지 않았던 것이다. 그의 사상적 귀결은 대체로 근기남인의 일반적 특징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는 반면, 정통적인 퇴계학 체계로 보기는 어렵다. 이는 성호의 대표적 퇴계읽기 결과인 『도동록』과 『이자수어』, 『사칠신편』 등에 드러난 사상적인 편차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자수어』가 정통적인 퇴계학 체계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면, 원저인 『도동록』은 「사칠신편중발」, 『성호사설』 등에서 발견되는 성호철학을 반영하고 있다. 이는 성호학이 주장하는 퇴계 연원과 자득의 논리가 서로 괴리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성호학파에서 퇴계 사숙이라는 면모를 여실히 보여준 저작은 『이자수어』이다. 그러나 이 책은 성호나 성호좌파가 아닌 성호우파, 특히 순암의 손에 의해 완성되었다. 순암은 전편에 걸쳐 수정했을 뿐만 아니라 책 제목까지 바꿨는데, 그 결과 ‘도통’을 자임하던 『도동록』의 원래 의미는 사라졌다. 결국 정산이 성호 사후 성호의 원저를 필사하여 家藏用으로 보관했어야 할 정도로, 양측의 학문적 차이는 분명한 것이었다. 순암은 성호 문하에 들기 전에 이미 나름의 학문을 구축했던 학자였고, “自得”을 주장하는 성호와 달리 “謹守䂓矩”를 주장하였다. 그는 정통적인 퇴계읽기, 즉 도학적 퇴계읽기를 함으로써 자득적 퇴계읽기를 하고 있는 성호나 성호좌파와 구별된다. 후일 성호좌파는 성호의 퇴계 이해가 소남-순암의 우파와 달랐음을 적극 주장하고 성호의 학풍이 自得에 방점을 찍고 있다고 본다. 반면 소남은 좌파가 퇴계 적통으로서의, 성호를 왜곡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길고긴 논쟁에 임하고 있다. 이는 성호와 소남의 긴밀한 사제 관계와 퇴계학맥으로서의 근기남인, 그리고 이를 계승한 것으로 자임한 성호의 입장을 정확하게 대변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성호 생전에 『이자수어』 출간에 앞장섰던 순암이 이 문제에 대해 침묵하고 있다. 여러 모로 원인을 추측해볼 수 있겠지만, 이미 『이자수어』 편찬 과정에서 성호의 학문적 진의가 무엇인지를 짐작한 탓은 아니었을지 생각해보게 하는 대목이다. 일반적으로 실학은 주자학의 도학적 모습이 탈각된 유학을 지칭한다. 도학적 모습의 탈각은 선대의 권위가 아닌 “자득적” 학문태도로 드러난다. 그들에게 현실에 대한 치열한 고민은 있어도, 앞 시대 학문에 대한 고민은 적다. 성호를 실학자라고 할 때 발견하게 되는 모습도 바로 이 연장선에 있다. 반면 퇴계 사숙자로서의 성호는 그 반대쪽에 있다. 그러므로 도통의 계승자임을 주장하는 성호와 자득의 학문을 주장하는 성호가 존재하는 것은, 도학자적 ...

      • KCI등재
      • KCI등재

        단백질 분해능과 aminopeptidase 활성을 보이는 Tetragenococcus halophilus CY54의 유전체 염기서열

        정도원,허소정,김태진,김정환 한국미생물학회 2021 미생물학회지 Vol.57 No.3

        Tetragenococcus halophilus CY54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eafood, meoylchi-jeotgal, exhibited protease and aminopeptidase activity. The complete genome of strain CY54 contains a single circular 2,620,793-bp chromosome without plasmids. The G + C content of the genome is 36.0% and encodes 21 protease and 14 aminopeptidase genes. 한국의 멸치 젓갈에서 protease와 aminopeptidase 활성을 보이는 Tetragenococcus halophilus CY54 균주를 분리하고 유전체의 염기 서열을 해독하였다. Tetragenococcus halophilus CY54 유전체는 2,620,793 bp 크기이며, 플라스미드를 보유하 지 않았다. CY54 균주의 GC 함량은 36.0%이고, 21개의 단백 질 분해 유전자와 14개의 aminopeptidase 유전자가 있는 것으 로 추정되었다.

      • KCI등재

        조선 도학파의 內聖外王論과 一理의 현실적 의미

        정도원 (사)율곡학회 2019 율곡학연구 Vol.39 No.-

        In this paper, I tried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theory in Chosun dynasty, especially focused the 15th and 16th century practical Neo-Confucianism(道學) in terms of the actual meaning of Li(理). The Neo-Confucianist in early period of Chosun dynasty sought the principle of integration and leadership to be presented to the national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realization of self and social ideal(內聖外王). The conclusions based on this was the One(一理), worship the Li(尊理), and the same origin(一本). The mottoes of late school was also in this context. The reality is also consistent with this horizon, and the national society should be operated on the basis of the absolute and universal of this theory. The moral philosophy of Yulgok and Toegye was a practical result sought in this premise, and the various ways of practicing the doctrines of the 17th century can be concluded in this context, which can be compressed into the righteousness(義理), the real moral(世道), and edification based on the ritual(禮敎). The "one" and "worship" is a kind of practical direction because the Li(理) at this time is the standard of practice and edification. This means that they were trying to embody Neo-Confucianism into our real world. The discussions of Chosun dynasty were progressive historical products in connection with the actual situation of Chosun dynasty. Especially, since the discussions of Neo-Confucianists reflect their historical consciousness as the orthodox school. At the core of these discussions was the discourse of ‘Li(理)’. Therefore, the discourse on Li(理) was embodied as ‘the Holy Study(聖學)’ through the practical filtration of Neo-Confucian Doctrine, that is realization of self and social ideal, and it was linked to practical discussion of ritual, righteousness and duty. However, it is not easy for the subject to perceive Li(理), and when the partisan confrontation or the change of the age act largely as in the late Chosun Dynasty, it was a problem that it could be distorted in order to secure the political justice. The disconnection of academic exchanges between the West Party(西人) and the South Party(南人) and the disputes within each school could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and the reason why the West Party(西人)-the Oldman’s Party(老論) had disputed themselves there was. The securing of the Subjective(主體) in the first place led to the legitimacy of their regime. In other words, the absence of the One(一理) and the political conflict and the limits of the school vision are overlapped and it can be the reality of the controversies of the late Chosun dynasty. Inevitably, the real understanding that accompanies this reality is limited to the horizon of Li(理) only, thus limiting the two-dimensional extensibility of the practicality and ideality(不離不雜), and this has been reduced to the horizon due to their realistic understanding. It seems to have provided a motivation for the students to think about their own ideas. 본고는 15-16세기 조선의 道學을 중심으로, ‘內聖의 外王으로의 전개 논리와 이때 주요하게 동원된 理 담론의 실제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15-16세기 조선 도학은 국가사회에 제시할 統合, 統率의 대원칙을 內聖外王의 차원에서 모색하였다. 퇴계나 율곡의 聖學이 바로 이런 실천적 목적에서 나온 결과였으며, 義理와 世道, 禮敎로 압축되는 17세기 도학 역시 이 맥락에서 전기 유학과 연결되고 있었다. 이러한 논의의 중심에 ‘理’ 담론이 있었다. 理에 관한 당시의 담론은 內聖外王의 실천적 여과를 거쳐 ‘聖學’으로 구체화되었고, 一理, 尊理, 一本이라는 당위적이면서도 실천적인 결론을 도출하였다. 理가 모든 인식과 실천의 근거이자 내용이라는 전제였으므로, 一理, 一本, 尊理의 ‘一’과 ‘尊’은 內聖外王의 차원에서 사회를 통합, 운영하고자 하는 주체의 실천 방향을 가리키고, 理는 그 실천과 교화의 준거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이는 모든 존재가 理에 따라 성립된다면, 현실 역시 이 지평에서 일관되어야 하고, 국가사회는 이 理의 절대·보편에 근거하여 운영되어야 한다는 신념 및 역사의식의 산물이었다. 禮와 道理·義理의 담론들 역시 이를 사회기강의 확립 및 이를 통한 이상적 정치 구현이라는 방향으로 전개한 결과였다. 후기 도학의 ‘大一統’이나 ‘尊周大義’를 일관된 맥락에서 설명할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조선전기 도학의 논의는, 그러므로 당시의 현실과 맞닿아 진행된 역사적 산물인 동시에 도학 정통에 관한 역대의 담론을 계승한 역사의식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중국에서 수입한 주자학을 우리 현실 속 道學으로 구현하고자 한 것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에 필연적으로 전제되어야 할 理에 대한 주체의 자기체험적 인식은 용이하지 않았다. 더욱이 조선후기처럼 당파적 대립이나 시대 변화가 사상계에 크게 영향을 미칠 때, 이러한 理에 대한 담론은 당리당략이나 정치적 정당성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왜곡될 수 있었다. 주체 속 一理의 획득이 결국은 자신들 정권의 정당성 확보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는 당위에 대한 이해에 필연적으로 수반되어야 하는 현실 이해를 오로지 理의 지평에만 한정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不離不雜의 양면적 확장 가능성을 제한하게 되었고, 여기에 자신들의 현실적 이해마저 결부되면서 논의의 지평은 더더욱 협소해졌다. 北學이나 성호좌파와 같은 ‘탈도학적’ 사고가 대두된 시기가 이때와 겹치는 것은, 결코 시대적 우연일 수 없었다.

      • KCI등재

        Terbium and Tungsten Co-doped Bismuth Oxide Electrolytes for Low Temperature Solid Oxide Fuel Cells

        정도원,이강택,Eric D. Wachsman 한국세라믹학회 2014 한국세라믹학회지 Vol.51 No.4

        We developed a novel double dopant bismuth oxide system with Tb and W. When Tb was doped as a single dopant, a Tb dopantconcentration more than 20 mol% was required to stabilize bismuth oxides with a high conductivity cubic structure. Hightemperature XRD analysis of 25 mol% Tb-doped bismuth oxide (25TSB) confirmed that the cubic structure of 25TSB wasretained from room temperature to 700oC with increase in the lattice parameter. On the other hand, we achieved the stabilizationof high temperature cubic phase with a total dopant concentration as low as ~12 mol% with 8 mol% Tb and 4 mol% W doubledopants (8T4WSB). Moreover, the measured ionic conductivity of 10T5WSB was much higher than 25TSB, thusdemonstrating the feasibility of the double dopant strategy to develop stabilized bismuth oxide systems with higher oxygen ionconductivity for the application of SOFC electrolytes at reduced temperature.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long-term stabilityof TSB and TWSB electroly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