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5Station: HTML5-기반 효과적인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

        정다은(Jeong daeun),원지혜(Won jihye),김수정(Kim sujung),이종우(Lee jongwoo)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2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2

        As various smartphones users are increasing rapidly, the more contents they keep in their devices, however, the larger necessity for the effective and easy management of their files they want. To satisfy this need, we propose an integrated multimedia files management system, H5Station. By using H5Station client, users can connect to the H5Station server running on their own PC, and manage their multimedia files effectively, and enjoy every file they have. The H5Station client is developed by using HTML5 standard technology. Therefore H5Station client can run on any HTML5-supported browser. Main functions of the H5Station are as follows: configuring user settings, charting the distribution of user files, upload/download/deletion of files, synchronizing files’ meta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playing user-selected files, searching files users want, and finally creating user-customized buttons. Through these functions, users can easily find, play, and manage their multimedia contents at any place and anytime.

      • KCI등재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 연구 동향 분석

        정다은(DaEun Jeong),권소희(SoHee Kwon),이승미(SeungMi Lee),양보은(BoEun Yang),장현진(HyunJin Jang),정진경(JinKyung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방향성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 관련 학술지 및 학위논문 총 59편이다.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발표연도, 연구 방법, 연구 분야, 연구 주제, 주제어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연구는 2010년부터 2011년 사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 방법별 동향은 문헌 연구로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질적 연구, 혼합 연구, 양적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분야별 동향은 문학과 관련된 내용이 가장 많았고, 이어서 일반, 미술, 무용, 음악, 연극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주제별 동향은 대영역 중 방향과 관련된 주제에서 교육방안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주제어로 알아본 동향은 워드 클라우드의 주제어 크기로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 한국문화교육, 한국어 교육, 다문화사회, 문학교육, 문화적응 순으로 나타났고, 정체성 복원, 융합적 문화 정체성, 자아정체성, 서사적 정체성 등 결혼이주여성의 정체성과 관련된 주제어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다문화 시대에 도래한 한국 사회에 결혼이주여성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시사점 및 향후 관련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marriage migrant women. Through this study, it intends to provide insights and directions for future culture and arts education targeting marriage migrant women. Methods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s of a total of 59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marriage migrant women. The research trends in cultural arts education targeting marriage migrant women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based on publication year,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field, research topics, and keywords. Results First, the research related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marriage migrant women was most prevalent between 2010 and 2011. Second,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literature review was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mixed-methods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Third, the re-search fields were predominantly related to literature, followed by general arts, visual arts, dance, music, and theater. Fourth, regarding research topics, the majority focused on educational approaches in the context of broader themes. Lastly, the analysis of keywords through word cloud visualization revealed that topic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culture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multicultural society, literary educa-tion, and cultural adaptation were prominent. Additionally, themes associated with the identity of marriage mi-grant women, such as identity restoration, hybrid cultural identity, self-identity, and narrative identity, were also identified. Conclusions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in research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targeting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n society, where marriage migrant women hold a significant presence in the multicultural era. The significance lies in providing insights and future directions for related research in the context of marriage migrant women's culture and arts education within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Korea.

      • KCI등재

        묘사분석을 이용한 쌀 과자의 관능적 특성 연구

        정다은 ( Daeun Jung ),양정은 ( Jeong Eun Yang ),정라나 ( Lana Chung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6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1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sensory profiles of rice confections. The samples used in this study obtained from Korea (traditional Korea rice snack and local specialty rice snack) and three countries (USA, Japan, and China) were evaluated and compared.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five kinds of rice confections were evaluated using a sensory test and were analyzed via quantitative description analysis (QD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HCA). In the descriptive analysis, 10 trained panelists evaluated sensory characteristics consisting of 19 attribute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among the 16 characteristics. For the descriptive dat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as carried out and identified differences among the samples. The PCA of rice confections for the first two principal components could explain 85.66% of the variations. The Korean, Japanese, and Chinese rice confections were savory, gritty, and particle-sized, the other Korean local specialty rice confections were fruity, sweet, honey-flavored, compact, and crispy, and those from the USA were glossy, grainy, bright, adhesive, cohesive, crispy, and sweet.

      • KCI등재

        마커 제어 워터셰드와 타원 적합기법을 결합한 다중 교모세포종 분할

        이지영,정다은,이현우,양세정,Lee, Jiyoung,Jeong, Daeun,Lee, Hyunwoo,Yang, Sejung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21 의공학회지 Vol.42 No.4

        In order to analyze cell images, accurate segmentation of each cell is indispensable. However, the reality is that accurate cell image segmentation is not easy due to various noises, dense cells, and inconsistent shape of cell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that combines marker-based watershed segmentation and ellipse fitting method for glioblastoma cell segmentation. In the proposed algorithm, in order to solve the over-segmentation problem of the existing watershed method, the marker-based watershed technique is primarily performed through "seeding using local minima". In addition, as a second process, the concave point search using ellipse fitting for final segmentation based on the connection line between the concave points has been perform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we compared three algorithms with other algorithms along with the calculation of segmentation accuracy, and we applied the algorithm to other cell image data to check the generalization and propose a solution.

      • KCI우수등재

        트윗 글에 대한 편향성 인식이 트위터 사용자의 여론 지각에 미치는 영향

        김미희(Mihee Kim),정다은(Daeun Jeong) 한국언론학회 2015 한국언론학보 Vol.59 No.3

        Based on Hostile Media Perception and Persuasive Press Inference, this experimental study(N = 211) investigated how Twitter users’ bias perceptions of tweets influence their judgements of public opinion in the context of a controversial issue, the dissolution of the Unified Progressive Party in South Korea. The results show that bias perceptions of tweets vary depending on whether users’ opinions are congruent with Tweets’ slant. Twitter users who have opinions that are incongruent with Tweets’ valence perceived the tweets to be more hostile than users who have opinions that are congruent with the tweets’ valence. Direct effects of bias perceptions of Tweets on assessments of public opinion were not found. Twitter users presumed that Tweets’ slant influences other users’ opinion, which mediated the effects of bias perceptions of Tweets on estimations of opinion distribution. The implications of such indirect effects were discussed.

      • KCI등재

        문화적 도시재생을 활용한 문화관광지 사례 연구 : 일본 야네단 마을을 중심으로

        정지은(Jung, Jieun),김미정(Kim, Mijeong),정다은(Jeong, Dae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20 문화산업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정체성을 통해 문화적 재생을 실현한 야네단 마을 사례를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문화적 도시재생을 진행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에서 문화적 도시재생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주민들의 자발적이고 주도적인 협업 관계 구축이 중요하다. 둘째, 마을의 자원을 활용한 상품 개발 및 판매를 통해 주민들이 자치적으로 재원 조성을 확보하여, 주민 개개인의 수익 환원으로 연결되는 선순환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문화적 도시재생에 있어서 문화예술은 단순히 마을에서 향유되는 역할이 아니라 마을의 문제를 진단하고, 문화예술을 통해 해결해나가는 과정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마을의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주민들을 위한 복지와 기획자·교육자 등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문화적 도시재생을 활용한 야네단 마을의 시사점을 살펴봄으로써, 문화산업 현장과 학술에 지침을 제공하는데 시사점을 가진다. The aim of this study presents key implications for promoting cultural urban regeneration in Korea by analysis of Yanedan village, which realized cultural regeneration through regional identity. Its summarie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ed: first,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voluntary and proactive cooperative relationships among residents, for cultural urban regeneration in the village. Second, a virtuous cycl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hat leads to the return of individual residents’ profits by self-governing funding through the development and sale of products using village resources. Third, culture and arts in cultural urban regeneration are not simply the role enjoyed by the village, but the process of diagnosing village problems and solving them through culture and arts is important. Finally, the system is needed for welfare of residents and fostering professional manpower such as planners and educators, in order to maintain the sustainable ecosystem of the village.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providing guidelines to the cultural industry and academics by looking at the implications of Yanedan village using cultural urban regeneration.

      • KCI등재

        서울시 종합의료시설 도시계획지원을 위한 공공필요의료시설 설치 및 운영 기준 정립

        김은석 ( Kim Eunseok ),용인석 ( Yong Insuk ),정다은 ( Jeong Daeun ),구가연 ( Goo Gayeon ),유창훈 ( You Changhoon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2024 의료·복지 건축 Vol.30 No.1

        병원은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의료기관 별 운영 전략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운영된다. 특히 종합의료시설은 중증도가 높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이나 입원 등의 의료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자 그에 따른 운영 전략이 상이하다. 이러한 병원의 운영방식에 의해 결정되는 건축 역시, 건립 시기, 유형, 중증도에 따른 병원의 규모 등에 따라 시설 수준의 차이가 나타나며 이는 최근 정부에서 요구되는 제도 및 정책의 수용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 되기도 한다. 최근 의료법은 기존 의료시설뿐만 아니라 신규 의료시설에 대한 설치 및 운영기준이 강화 추세에 있고, 서울시 또한 공공의료 확충을 위해 감염관리시설이나 필수의료시설 설치를 위한 용적률 인센티브 정책을 추진 중이다. 병원 운영 환경이 상이함에 따라 종합의료시설 설치 및 운영에 대한 인센티브제도의 적용 기준을 일괄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렵다. 그러나 공익을 위해서 종합의료시설 인센티브제도를 지속 가능하게 운영하기 위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은 반드시 필요하다. 공공의료 기능 확충을 위한 서울시 종합의료시설 지구단위계획 수립·운영 기준은 공공과 민간이 모두 만족하는 의료환경 구축을 위해 매우 깊은 고민이 필요했다. 본 논설은 서울시 공공필요의료시설 확충 제도의 주요 내용과 공공필요의료시설 설치 및 운영 기준에 관해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기준의 주요 내용을 정립하게 된 배경과 이유 등을 설명하여 본 제도의 의의를 정확히 전달하고 향후 보완해야 할 부분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