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협력형 온라인 지식정보서비스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사서에게 물어보세요>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

        정광훈,김유승,Jung, Kwang-Hun,Kim, You-Seu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0 No.1

        21세기 지식정보사회로의 발전과 변화에 대처하여 세계 각국의 도서관들은 다양한 전자적 매체를 이용한 협력형 온라인 지식정보 서비스 개발에 큰 힘을 쏟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온라인 지식정보서비스를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와 질의응답 실험을 통해 국립중앙도서관이 주도적으로 시범 운영하고 있는 <사서에게 물어보세요> 서비스의 활성화 및 고도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온라인 지식정보 서비스의 정의와 유형을 살피고,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는 한편, 실질적 연구로서 KDC 대분류를 기준으로 한 30개의 즉답형 질문을 생성하여, 응답시간 및 방법을 비롯한 실제 서비스에 대한 종합적 실태조사를 실시한다. 결론으로 <사서에게 물어보세요> 서비스 발전을 위한 현재적 그리고 미래적 과제를 제시한다. To deal with a new environ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in the 21 Century, many libraries around the world have made great efforts to develop online knowledge-information services. In Korea, the National Library initiated an online knowledge-information services, <Ask Librarian> in 2008. Through case studies and practical tests of online knowledge-information services, this article discusses plans for developing <Ask Librarian>. The article explores definitions and types of online knowledge-information services, and analyzes online knowledge-information services in Denmark, Sweden, Finland, and Korea. Futhermore, practical reviews on the four services are conducted through 'question-answer' tests. As a result, the article discusses present and future tasks for improving <Ask Librarian>.

      • KCI등재

        불교 고사로서의 『환원기(還怨記)』와 그 서사적 특징

        정광훈 ( Kwang Hun Ju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民族文化硏究 Vol.66 No.-

        제목에서 드러나듯이 『환원기』는 중국에서 원한을 갚아주는 이야기만을 한데모은 최초의 고사집이다. 저자 안지추는 지괴(志怪)적인 이야기가 가장 활발하게 창작되고 유행하던 시대에 태어나 전기(傳奇)가 본격적으로 성행하기 직전 시대까지 살았다. 그가 편찬한 『환원기』 중에 지괴적인 성격의 이야기가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는 점은 저자가 당시 유행하던 지괴 이야기에 깊은 영향을 받았음을 말해준다. 안지추의 집안은 유가적 가풍이 농후하였고 안지추 자신도 어려서부터 유가적 교육을 받았다. 그럼에도 그의 『환원기』는 작품 전체가 불교적 인과응보의 내용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안씨가훈』에서 불교에 관한 세간의 오해를 적극변호할 만큼 불교에 심취해있던 안지추의 사상적 성향을 그대로 반영한다. 이런 측면에서 『환원기』는 불교의 인과응보 사상을 적극적으로 알리기 위한 안지추의 문학적 도구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환원기』 이야기들의 원한은 대부분 개인적인 것이고 그 복수의 과정 역시 개인적으로 이루어진다. 그 복수의 과정에서 남성과 여성은 다른 모습을 보이며,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여성의 호소, 하소연, 지필묵등 특정 서사 장치가 반복적으로 보이기도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안지추의 불교 인식과 『환원기』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안씨가훈』의 불교 관련 내용을 비교하며 살펴보고, 『환원기』 고사의 서사적 특징과 그 의미를 개인적 원한의 해원, 여성의 원한과 대리인을 통한 간접복수, 서사 장치로서의 하소연과 지필묵 등의 내용으로 고찰하였다. Huan Yuan Ji(還怨記) is the first collection of stories about grudge and revenge in China. An Zhi-tui(顔之推), the writer of Huan Yuan Ji, was born when Zhi-Guai(志怪) was very popular and died when Chuan-Qi(傳奇) really began to be written. Many Zhi-Guai tales in Huan Yuan Ji proves that An Zhi-tui was interested in these kinds of mysterious stories. Although An Zhi-tui was brought up in a confucian atmosphere, Huan Yuan Ji is full of stories about Buddhist retribution and karma. It reflects his ideology as a devoted Buddhist who refuted misunderstanding of people about Buddhism. Thus, we can say Huan Yuan Ji is a literary tool of An Zhi-tui to promote Buddhist ideas of retribution and karma. Most of grudges illustrated in Huan Yuan Ji’s stories are personal and the courses of revenges are personally accomplished. In this course of revenge, men and women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special narrative devices like appeal of women, complaint, paper, pens and ink repeatedly appear. First, this paper will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Buddhist ideas of An Zhi-tui and Huan Yuan Ji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Yan Shi Jia Xun(顔氏家訓), another work of him. Then it will investigate the narrative feature and meaning of Huan Yuan Ji in a perspective of personal grudge and revenge.

      • KCI등재

        中.韓.蒙목련 고사의 그림서사 비교 연구 — <大目乾連冥間救母變文> 그림두루마리 재구성

        鄭廣薰(Jung, Kwang-Hun) 한국중국소설학회 2020 中國小說論叢 Vol.62 No.-

        목련 고사는 한⋅중⋅일 동아시아뿐 아니라 몽골, 티베트 등 불교 문화의 성격이 농후한 유목민족 사이에서도 각 지역의 특징에 어울리며 유행하였다. 악업으로 인해 지옥에 빠진 모친을 구하려고 지옥을 순례하는 목련의 모습은 동아시아적 효의 관념에 부합 하고인과응보의 불교적 교리를 설파하기에도 적합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들 지역에서 유행한 목련 고사의 주요 특징 중 하나가 바로 ‘그림’이다. 특히 지옥의 다양한 장면과 그곳을 순례하는 목련, 고통받는 모친의 모습은 그 자체로 매우 생생하고 드라마틱하여 그림으로 표현하기에 좋은소재였다. 그래서 목련 고사는 자연스레 그림이 들어간삽화본혹은문자와그림이하나의 세트가 되어 유통되곤 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그림 서사로서의 목련 고사에 착안하여 중국, 한국, 몽골에서 유행한 목련 고사 자료를 비교하고자 한다. 세 가지 자료는 각각 돈황본 <目連救母變文>, 조선 중기간행본<佛說大目連經>, 그리고 19세기 몽골의 목련 고사 그림책이다. 이중 둔황 자료만 그림이 남아있지 않고, 다른 두 자로는 원본 그대로의 그림이 전하고 있다. <목련구모변문> 은 비록 그림은 전하지 않지만, 당시에는 그림을 동반한 공연형식으로 유행했음이 분명하다. 동일한 형식의<降魔變文> 그림 두루마리, 그리고<목련구모변문>에 남아있는 그림의 흔적이 이를 증명해준다. 다시 말해 중국, 한국, 몽골의 세자로 모두 그림이 필수요소라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불설대목련경>과 몽골의 목련 고사 그림책을 먼저 분석하고, 다시 이들<목련구모변문>의 텍스트 부분과 함께 고찰하여 최종적으로는 지금은 전하지않는<목련구모변문>의 그림 두루마리를 재구성하고자 한다. The Mulian story was popular not only in East Asia,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but also among the nomadic peoples of Mongolia and Tibet whose cultures were richly influenced by Buddhism. The story of Mulian, which depicts his journey to hell to save his mother who has been cast there through evil deeds, reflects the East Asian notion of filial piety, and is suitable for teaching the Buddhist doctrine of cause and effect.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Mulian story that was a prevalent feature in these regions is the use of images with the text. In particular, the vivid and dramatic portrayal of the various scenes of hell, Mulian’s journey within hell, and his mother’s suffering were well-suited for representation in picture form. Thus, it was natural for the Mulian story to be distributed as a set, consisting of illustrations and text. This paper, focusing on the Mulian story as a form of visual storytelling, compares the popular Mulian story as it appears in China, Korea, and Mongolia. The three sources compared are Dunhuang manuscript Mulian jiumu bianwen 目連救母變文, the Mulian Sutra Bulseol dae Mokryeon gyeong 佛說大目連經published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and a 19th-century Mongolian Mulian picture book, respectively. With the exception of the Dunhuang manuscript, the source materials still contain their original illustrations. Although it no longer has its original illustrations, it is clear that it was very popular forMulian jiumu bianwen to be performed by actors using the picture scroll. The same picture scroll form is seen in Xiangmo bianwen 降魔變文and, together with the evidence of the use of pictures in Mulian jiumu bianwen, directly prove this hypothesis. In other words, pictures are essential elements of all three source materials from China, Korea, and Mongolia. In this paper, we first analyze the Mulian Sutra and Mongolian Mulian picture book, and then reconstruct the picture scroll of Mulian jiumu bianwen, of which the original no longer exists.

      • KCI등재

        돈황(敦煌) 사본의 도문(圖文) 배치 방식과 도서사적(圖書史的) 의의

        정광훈 ( Kwang Hun J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3 中國硏究 Vol.57 No.-

        There are various layout formats of the Dunhuang Manuscript which contains both images and letters. These formats mainly show four different types: images above, text below; image only at the beginning; text between images; images on front, text on back. One consistency penetrating through the various kinds of layout is that the most effective way of conveying the contents was a high priority considering either its original scriptures or tales of Buddhism. The ``Illustration`` is most commonly used when discussing printing conditions after the typography of the Song Dynasty was developed. However, this notion can be applied to periods earlier than the Song Dynasty in regard to the existence of copies which harmonized images and letters during Tang Dynasty. Furthermore, illustrations of the Tang Age show us more diverse, liberal and imaginative layouts using the format of scroll than those following Tang.

      • KCI등재

        당대(唐代) 통속서사 속 웃음의 요소와 그 연출 방식

        정광훈(Jung Kwang h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2

        본고는 중국 돈황(敦煌)에서 발견된 변문을 대상으로 하여 당대(唐代) 통속서사의 해학적 요소와 그것의 연출 방식에 대해 논하였다. 시대적으로 당대의 통속서사는 송대(宋代)에 본격적으로 유행하는 통속문학의 바로 직전 시대 작품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송대 이후 통속문학의 특징들이 이미 당대 통속서사에도 보이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돈황 변문은 후대에 다시 정리된 것이 아닌 해당 작품이 유행하던 당시 그대로의 통속적 모습이라는 점에서 자료로서의 가치가 더욱 중요해진다. 본질적으로 문인 문학보다는 청중들과 훨씬 가까운 통속문학의 특성에는 웃음, 풍자, 익살의 요소가 자연스럽게 포함되며, 때로는 웃음의 요소들이 곧 작품 전체를 이끌어가는 분위기를 만들곤 한다. 당연히 당대 통속서사 역시 이러한 해학의 요소를 내포하면서 코미디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고에서는 당대 통속서사 속에 웃음의 요소가 어떤 모습으로 들어가 있는지 분석하고, 또 그러한 요소가 청중들에게 어떤 연출 방식으로 전달되었을지에 대해 주로 논하였다. 현재 당대 통속서사라고 분류되는 작품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희극적 장면의 의도적 설정’, ‘말다툼을 통한 웃음의 유발’, ‘그림 도구를 통한 해학적 공연’, ‘청중을 불러 모으는 익살’의 네 가지 주제로 나누어 이 문제를 살펴보았다. 당대 통속서사가 공연과 직접적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해학적 요소들은 청중들을 끌어 모으기 위한 일종의 코미디 장치가 된다. 이러한 해학적 요소가 작품에 전반적으로 퍼져있다면 그 자체를 하나의 코미디극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작품 전체를 코미디극으로 규정하긴 힘들더라도 이야기를 서술하는 과정에서 곳곳에 웃음의 요소를 의도적으로 넣은 작품도 적지 않다. 본 연구는 공연의 관점에서 당대 통속서사의 웃음에 대해 살펴보고 있으며, 향후 이를 송대 이후 통속서사 속 웃음의 연출 방식과 비교한다면 소설과 희곡 장르 모두에서 더 깊은 문학사적 논의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factors of laughter in Tang popular narratives and the ways of performance by analyzing Dunhuang Bian-wen. In terms of the history of Chinese traditional literature, Tang popular narratives have been considered as significant works for their direct relationship with succeeding Song popular literature. The typical features of Song popular literature also can be seen in Tang popular narratives. Generally, popular narrative is much closer to audience than literary narrative, so it contains many factors of laughter, humor, satire and comedy. Tang popular narratives also have these factors.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se factors presented in Tang popular narratives and how can be transmitted to the audience. For the study, this paper will discuss four aspects of comedy in Tang popular narratives which include intentional insertion of comedial scenes, provoking of laughter by wrangle, humorous performance by the way of picture representation and the clownery for audiences. Considering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Tang popular narratives and actual performance, we can see these factors as a sort of comedial establishment. If these factors spread in the whole narrative, we can designate it as a comedy in itself. This study on the laughter of Tang popular narratives could be more deepened through the comparison with Song popular literature.

      • KCI등재

        【어문학(語文學)】 : 서사와 치유: 이야기를 통한 중국 고대문학의 치유 작용

        정광훈 ( Kwang Hun J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4 中國硏究 Vol.62 No.-

        Writing and appreciation of literature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s for healing the wounded hearts. Writer soothes one``s mind by writing, reader shares the effects by reading i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ersonal or social healing effects of Chinese traditional literature especially from the viewpoint of storytelling. For this study, it examines the concept of ``發憤著書``(writing from resentment) and ``街談 巷語``(street talk and alleyway gossip) as a healing method in Chinese traditional writings, and then considers specific healing process of narrative works which includes storytelling scene itself. Qi fa(七發) Fu(賦) by Mei Cheng(枚乘) in Han dynasty is comparable with the novel One Thousand and One Nights. A persuasive talker from Oh(吳) heals the wounded heart of Chu(楚) Prince by skillful storytelling. This character is similar to Scheherazade who cures a mental disease of King Shahryar through various stories in One Thousand and One Nights. The short story Dongcheng Lao fu Zhuan(東城老 父傳) in Tang dynasty has a social healing effect through the story of Old man who has experienced a peaceful reign and anarchic period either. This paper investigates healing functions of storytelling with some works above in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교과서 활용이 학습자의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EEG 연구

        권석원(Kwon Suk Won),권용주(Kwon Yong Ju),양일호(Yang Il Ho),변정호(Byun Jung Ho),이일선(Lee Il Sun),권승혁(Kwon Seung Hyuk),김순미(Kim Soon Mi),박상희(Park Sang Hee),김윤영(Kim Yoon Young),계보경(Kye Bo Kyung),정광훈(Jung Kwang 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교과서 및 서책형교과서 활용이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모두 5학년으로 디지털교과서 활용반 20 명, 서책형 교과서 활용반 21명이었다. 뇌파 측정은 안정상태, 단기기억, 작업기억, 공간인지 과제 수행간 이루어졌다. 행동과제 분석 결과, 단기기억과 공간인지 과제 수행시 디지털교과서 활용 그룹과 서책형교과서 활용 그룹간 통계적 차이는 발견되 지 않았다. 뇌파분석 결과, 디지털교과서 활용그룹이 서책형교과서 활용그룹에 비해 우측 전두엽 인근 델타대역에서의 부적 두뇌 활성이 관찰되었다. 또한, 디지털교과 서 활용 그룹에 비해 서책형교과서 활용 그룹이 공간인지 과제 수행시 전두엽을 중 심으로 민감도가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디지털교과 서 활용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교재 개발 의 나아갈 방향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using a digital textbook on cognitive function. We recorded EEG(resting state, short term memory task, working memory task, spatial cognition task) from 20(digital textbook group) and 21(paper textbook group), 5th elementary school volunteers. The results of behavioral tasks(short term memory and spatial cognition task),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gital textbook and paper textbook group. The results of an EEG, the digital textbook group that negative oscillate more than the paper textbook group around the right frontal(delta range) and paper textbook group that higher sensitivity more than the digital textbook group appears around the frontal area performing the tasks in spatial cogn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ffects of using a digital textbook on cognitive function and suggest that the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 and further research based on analysis results.

      • 다기능 의료용 마취기의 안전성 평가

        이해광,조양하,유규하,박해대,이창형,정호년,노혜원,정광훈,백동헌,장우익,김정구,이해빈 식품의약품안전청 2000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4 No.-

        과학문명의 발전과 더불어 의료기기의 발전 추세는 한 가지 주요 기능 외에 부가적 기능을 겸비하는 다목적인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다기능의료기기의 경우 부가기능이 주요 기능의 안전성에 위해를 가할 수 있으며, 또한 동작원리가 서로 다른 의료기기가 준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전기적인 결합에 의한 간섭 등에 의하여 전기적인 위해의 요소가 증가할 수 있다. 파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다기능 의료기기인 의료용 마취기를 중심으로, 제조사별 제품의 특성과 국제규격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안전성 평가를 위한 기술규격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개발 확림된 의료용 마취71의 개별기준규격을 고시화하여, 페품의 안전성확보에 관한 기준규격으로의 유웅한 정보제공과 아울러 국제규격과 조화를 이룬 국내 제품의 개발 가능성을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medical devi Purpose Ivhich includes additionalfunctions maf exert a harmful ices in these modern days have a current trend of multi-funci4ions other than major function. However,these additionalnfluence upon a major function such as potential risk of an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one of major multi-pumose rrom In)'estlgation ofvarious sl;andards on anaesthetic apparatus toThis standard directilye will be useful information to evaluatdomestic apparatus inharmony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