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복지공간을 활용한 독거노인 사례관리모형 탐색 : 가상현실예술융합을 기반으로

        전혜성,이한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2

        Along with the increase of single person households, the population of solitary elderly is upsurging, and the solitary elderly may often be placed in a vulnerable state due to loneliness, disease and medical problems, economic poverty, and lack of family support. In recent years, case management has been used as the most effective service to meet the chronic and complex needs of the solitary elderly. However, with prolonged life span, the elderly population has increased rapidly, and the number of solitary elderly who cannot carry out the most basic functions, such as grocery shopping and going to the hospital, is increasing quickly.It has become difficult to have them only as passive recipients of services. Therefore, to increase the active purchasing power of the elderly, an Internet-based purchasing system designed for the elderly needs to be adopted to enhance their lives and raise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This study will use case management for solitary elderly by utilizing virtual reality welfare spaces. 1인 가구의 증가와 더불어 독거노인 인구는 매해 급증하고 있고, 독거노인은 고독, 만성질병, 경제적 빈곤, 가족의 부양기능 부재 등으로 가장 취약한 상태에 놓여 있기 쉽다. 근래에 이러한 독거노인의 만성적이고 복합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서비스로 사례관리가 적용되어 왔다. 그런데 수명 연장에 따른 고령인구가 급증하면서 거동이 불편하여 가장 기본 생활인 장보기나 병원 이동이 어려운 독거노인들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노인들을 더 이상 수동적인 서비스 수혜자로 유지하기에는 국가적·사회적으로 한계에 이르렀다. 따라서 노인들의 능동적인 서비스 구매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터넷을 활용한 노인 대상의 스마트 구매시스템을 제공하여 노인의 생활 자립과 삶의 만족을 높이는 접근이 요구된다. 노인을 위한 스마트 구매시스템에는 노인복지, 인문학, 예술, 과학기술이 창의적으로 융합되어서 노인의 신체 제한적, 인지능력 저하 등의 문제들을 가상현실 등 디지털기술 활용을 통해 다각적으로 해결하는 융합연구가 요청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예술을 도입하여 의료 및 물건 구매 시스템을 구현한 가상복지공간을 활용한 독거노인 사례관리 모형을 탐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자살 유가족의 외상 대처 및 가족재구조화를 위한 위기개입 가족상담 -위기개입모델 및 구조적 가족치료이론에 기반하여-

        전혜성 한국가족치료학회 2017 가족과 가족치료 Vol.25 No.2

        Objectives: This mixed methods research study explored the use of Roberts’ Seven Stage Crisis Intervention Model and Structural Family Therapy intervention strategies for a family bereaved by suicide. Methods: Ten 180-minute sessions were conducted with a family bereaved by suicide. Qualitative evaluation included a process-and-change analysis of the transcripts of the sessions and analysis of post-session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Quantitative evaluation included pre- and post-test administration of CES-D and The Reasons for Living Inventory. Results: Crisis intervention and family counseling succeeded in lowering the severity of the family’s trauma and restructuring the family relationships. After the counseling, levels of depression were lower and the Reasons-for-Living-Inventory scores were higher. Conclusions: Roberts’ Crisis Intervention Model and Structural Family Therapy were both effective in assisting a family bereaved by suicide to cope and change. 본 연구는 40대 장남의 갑작스러운 자살로 인해 심리적 외상을 경험하고 있는 유가족을 대상으로 위기개입 가족상담을 진행한 사례연구이다. 자살 유가족의 외상 대처를 위해 Roberts의 7단계 위기개입모델을, 가족관계 재구조화를 위해 구조적 가족치료이론을 적용하여 가족상담을 시행했다. 대략 매 회당 120분으로 총 10회를 진행하였다. 상담의 사전사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치료초기에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여 목표달성을 확인하였고, 변화의 질적 확인을 위해 매 회기마다의 내용을 녹취 및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양적 측정을 위해 우울감 및 살아야 할 이유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사후의 점수 변화도 파악하였다. 주요 결과로서 위기개입 가족상담은 자살 유가족의 위기 대처와 가족 재구조화에 유용하였다. 또한 자살의도 및 우울 측정을 통한 양적 평가에서도 특히 노모를 비롯한 전체 가족원들에게서 우울감은 감소하고 살아야할 이유는 높아지는 변화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가족원의 갑작스런 자살과 같은 강도 높은 위기를 경험한 가족이 외상에 대처하고 안정적인 가족재구조화를 이루는데 있어서, Roberts의 7단계 위기개입모델에 구조적 가족치료를 통합하여 재구성한 위기개입 가족상담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한국 다문화부부의 부부적응 증진을 위한 가족상담 : 구조적가족치료를 중심으로

        전혜성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19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8 No.4

        This study explored the use and results of family counseling based on Structural family therapy for a multicultural family experiencing complex family problems such as emotional conflicts and mutual criticism, excessive involvement of the mother-in-law, rigid family boundaries with little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difficulties in child discipline. In this study, five 90-minute sessions were carried out with the couple. For qualitative evalua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a process-and-change analysis of the transcript and post-session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For quantitative evaluation, the researcher performed a test of marriage satisfaction test to identify the before-and-after differences of counseling. Couples had strengthened the couple system and clearer boundaries and hierarchy. Also,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er. In conclusion, family counseling based on Structural family therapy has shown to be effective for the marita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본 연구는 장기화된 부부갈등을 경험하는 다문화 부부의 부부적응을 위해 구조적가족치료 모델을 적용하여 진행한 사례연구이다. 부부는 둘 간의 정서적 갈등, 상호비난, 시어머니의 지나친 관여, 상호소통이 적은 엄격한 가족 경계선, 자녀훈육의 어려움 등의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결혼 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차 역기능적인 가족구조가 형성되고 있었다. 이에 연구대상자 부부를 위해 구조적 가족치료 모델에 기반을 둔 개별화된 부부상담을 설계하여 시행하였다. 대략 매 회당 90분으로 총 5회를 진행하였다. 상담 개입의 전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치료초기에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여 목표달성을 확인하였고, 질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매 회기마다의 상담내용을 녹취 및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양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결혼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사후의 점수 변화도 파악하였다. 주요 결과로서 구조적가족치료에 기반한 가족상담을 통해 부부체계 내 유대감 및 갈등조정 능력, 시어머니-부부 간의 명확한 경계선 형성, 자녀에 대한 양육적 권위 등이 증진되었고 결혼만족도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다문화 부부의 부부적응 증진을 위해 구조적 가족치료모델에 기반한 가족상담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가족치료학회의 국제교류 추진방향과 과제 모색

        전혜성,Ui Jeong Moon,김정은 한국가족치료학회 2018 가족과 가족치료 Vol.26 No.4

        본고에서는 지난 30년간 본 한국가족치료학회(KAFT)의 국제교류 발자취 및 현황을 파악하면서 이와 더불어 미국가족치료학회(AAMFT) 및 아시아가족치료학회(AAFT)의 국제교류 동향도 함께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근간으로 향후의 본 학회의 국제교류 방향성 및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주로 텍스트 분석으로, 홈페이지 및 관련 자료들에서 발견되는 독립적 의미를 연결하여 맥락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본 학회의 국제교류 텍스트로는 한국가족치료학회 홈페이지 및 학회원들에게 소장된 일부 미간행 자료가 포함되었고, 미국가족치료학회 및 아시아가족치료의 국제교류 내용은 주로 해당 홈페이지에 제시된 국제교류 내용을 파악하였다. 조사결과에 기반하여, 향후 국제사회에서 한국가족치료학회의 국제교류 강화 및 리더쉽 확보를 위한 추진방향 및 과업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학회의 구체적 활동을 알리는 SNS 및 뉴스레터를 통하여 학문 및 임상 영역에서의 새로운 성과나 업데이트, 소식 등을 상호 공유한다. 둘째, 본 학회는 IFTA를 벤치마킹하여 아시아 국가들에서 가족치료사로 활동할 수 있도록 자격인증 제도를 도입한다. 셋째, 해외 가족치료 및 상담 관련 센터, 협회들 간에 단발적이 아닌 정기적인 교류를 지속한다. 넷째, 워크샵 또는 여러 국제적 학술교류 이후에 청중들의 피드백이나 반응을 초청 연사들에게 전달하여, 향후 한 차원 높은 국제교류의 아이템을 지속적으로 개발한다. 이상과 같이, 본 학회의 국제교류 현주소를 확인하고 더 나아가 지속적 성장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projects and works undertaken by the international network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Therapy during the last 30 years, and to suggest directions and future goals for building and improving networks abroad in the field of family therapy. Methods: Text analysis was used to find information related to international perspectives from webpages for the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Therapy and other international family therapy associations. Results: We made four suggestions. First, newsletters of KAFT should be disseminated t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t least twice per year to share events, achievements, and updates in the clinical and academic field in Korea. Second, we should launch an international accreditation system in order to make KAFT’s certified family therapies applicable, especially in other Asian countries. Third, planning regular programs and events with clinical centers and organizations abroad may help with our better understanding clients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Fourth, it would be beneficial to provide feedback from attendees to international guest speakers and to develop strong relationships. Conclusions: Specific activities and suggestions applicable to the context of Korean family therapy were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