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 중도탈락률에 대한 대학기관 수준의 결정 요인 분석

        전재은(Jon, Jae-Eun)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6 글로벌교육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의 중도탈락과 관련된 대학기관 수준의 결정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지난 10여년 간 국내 외국인 유학생 인구는 대폭 증가하였지만, 외국인 유학생의 이탈과 불법체류 및 취업 등 사회적 문제도 대두되었다. 정부는 이를 관리하기 위해 2011년부터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 역량 인증제’를 실시하였지만, 아직외국인 유학생 중도탈락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미진하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중도탈락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기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2012년도 에듀데이터를 활용하여 총 167개교에 대한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대학의 소재지와 규모가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한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ing factors at the institutional level related to international students’ drop-out. For more than the last decade, the international student population in Korea has drastically expanded, and the social issues such as their drop-out, illegal stay or employment have emerged. Against this background, the Korean government started to implement ‘the accreditation system for international student recruitment and management’ from 2011. However, academic research on international students’ drop-out in Korean higher education has not received proper attention yet. Accordingly, this study has conducted an exploratory study on institutional-level factors related to international students’ drop-out in Korean higher education. Using 2012 data from the EDSS(EduData Service System) of the KERIS(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 total of 167 four-year institutions were included in analysis. Findings showed that the location and the size of institutions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international students’ drop-out rate.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have been provided.

      • KCI우수등재

        대학원생의 대학원 진학 동기와 학업지속 의도의 관계: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원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

        전재은(Jon, Jae-Eun),김민선(Kim, Min Sun)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2

        본 연구에서는 대학원생들의 대학원 진학 동기와 학업지속 의도의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원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가정한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와 개별 변수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지방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 29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측정모형은 대학원생들의 자료를 적절히 설명하였다. 또한 대학원 진학 동기가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원 교육만족도를 매개로 학업지속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모형이 자료를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원 진학 동기, 학업스트레스, 대학원 교육만족도는 학업지속 의도 변량의 27%를 설명하였다. 부트스트랩(Bootstrapping) 방법을 통해 대학원 진학 동기와 학업스트레스 및 대학원 교육만족도의 간접효과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대학원 진학 내적 동기와 학업지속 의도의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원 교육만족도의 간접효과와 대학원 진학 외적 동기와 대학원 교육만족도의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의 간접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및 고등교육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ausal structural model where students’ motivation to enroll in graduate school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ir intention to continue studies in graduate school via academic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graduate education. The study also examined the goodness-of-fit and the effects of individual variables from 291 graduate students who were attending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other reg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stimation model explained the data well and that the partial mediation model adequately explained the impact of motivation to enroll in graduate school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studies with respect to academic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graduate education. Motivation to enroll in graduate school, academic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graduate education explained 27% of the variance in intention to continue studies in graduate school. According to the bootstrap results on the indirect effects of motivation to enroll in graduate school on academic stress and satisfaction, the indirect effects of academic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graduate edu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intent to continue one s studies, as well as the indirect effects of academic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insic motivation and satisfaction with graduate education,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higher education and related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KCI등재

        대학생의 해외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 효과에 대한 종단 분석

        전재은 ( Jon Jae-eun ),이희영 ( Lee Heeyoung ),변수용 ( Byun Soo-yong ) 안암교육학회 2017 한국교육학연구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해외 교환학생 프로그램에 참여한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참여 이전과 참여 종료 및 귀국 이후까지 3시점에 걸쳐 수집한 자료를 사용하여 외국어 능력, 문화적 능력, 개인적 발달에 대한 참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위계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을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참여 효과의 변화 유무와 예측 변수들을 살펴보았다. 무조건모형 분석 결과, 외국어 능력, 문화적 능력, 개인적 발달 모두에 대해 해외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 이전인 초기치와 변화율의 개인차 존재를 확인하였다. 조건모형 분석 결과, 초기치에 대해 외국어 능력은 부모 학력과 대학 전 해외경험, 문화적 능력은 성별과 대학 전 해외경험, 개인적 발달도 성별과 대학 전 해외경험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화율에 대해서는 외국어 능력은 대학 전 해외경험과 파견 국가 및 지역, 문화적 능력은 참여자와 현지 학생 간 교류 정도, 개인적 발달은 대학 전 해외경험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와 관련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longitudinal effect of participation in an overseas exchange student program on foreign language competence,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personal development. Data were collected over three time points from the pre-, post-, and post-post tests with Korean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n overseas exchange program. Hierarchical linear model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 change of participation effects exists over time and which predictors affected outcomes. The results of unconditional growth model showed that foreign language competence, cultural competence, and personal develop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initial status prior to departure to participate in an overseas program as well as their growth rate. The results of conditional growth model showed that parents` level of education and overseas experiences before college affected the initial status of foreign language competence, and gender and overseas experience before college affected those of cultural competence as well as personal development. In case of growth rate, overseas experience before college and destination country/region affected foreign language competence, and interactions between Korean participating students and local students affected cultural competence. For personal development, only overseas experiences before college affected its growth rate. Lastly, relevant discussion and implications were provided.

      • KCI등재

        KOICA 석사학위연수과정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학 경험

        전재은(Jon Jae-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본 연구는 KOICA 석사학위연수사업에 참여하는 외국인 유학생의 경험을 질적 연구를 통해 탐구하였다. 특히 KOICA 석사학위과정의 연수생은 개도국 공무원 신분으로서 대학원 과정을 이수하는 다국가 출신의 정부 초청 외국인 유학생이라는 점 에서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를 위해 A대학 국제대학원의 KOICA 석사학위 연수과정인 경제 정책 역량 강화 과정 참여 연수생 17명을 대상으로 2016년 7월부터 2017년 11월까지 심층면접 중심의 질적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KOICA 연수생의 한국 유학 경험은 유학 동기부터 졸업 후 계획까지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으로 대비되는 주제가 공존하는 사이성의 특징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연수생의 해외유학 동기 및 한국 KOICA 선택은 공적 신분과 사적 동기의 특징을 보이고, 한국 사회에서 KOICA 연수생으로 특별 대우를 받지만 외국인 유학생으로서 차별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또 대학원 교육 경험에 대해 학문적으로 만족하지만 실천적 교육과정에 대한 아쉬움을 표현하였고, 한국에 대한 이해도 선진국 이미지와 불행한 개인이라는 양면성을 보여주었다. 졸업 후 계획도 공무원으로서 사명감을 나타내는 반면, 개인적 진로 포부 실현을 고려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KOICA 연수생의 세계시민성을 논의하고 석사학위연수사업에 대한 시사점과 의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s participating in the KOICA Scholarship Program for Master’s degree, using qualitative methodology. This group of KOICA students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they are government-sponsored intranational students from multiple countries, studying for graduate education as government officials in developing countries. Data were collected from 17 students in the Economic Policy and Capacity Development program at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A University, using qualitative methods focusing on in-depth interviews. According results in this study, KOICA student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in-betweeness where contrasted themes from public domain and private domain coexist in their motivation to study abroad to their plan after graduation. In detail, their motivation to study abroad and reasons for choosing Korea/KOICA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government official status and private motivation. In the Korean society, they receive special treatment as KOICA students, but also experienced discrimination as international students. For their graduate education, they expressed academic satisfaction but disappointment in practical education. In addition, their understanding of Korea showed the ambilaterality of an image as a developed country and unhappy individuals. For their plan after graduation, they showed the sense of duty as government officials, while they also considered the realization of private career aspir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the types of global citizenship among KOICA students, and provided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 for the KOICA Scholarship Program for Master’s degree.

      • KCI등재

        참여 학생의 입장에서 본 CAMPUS Asia 사업의 효과와 장애요인 분석

        전재은(Jon, Jae-Eun),변기용(Byun Ki Yong),이수지(Lee, Su-Ji) 한국교육행정학회 2014 敎育行政學硏究 Vol.32 No.2

        본 논문은 2012년부터 시범 운영되고 있는 한중일 3국간 대학생 교류 프로그램인 CAMPUS Asia 사업의 효과와 장애요인을 참여 학생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CAMPUS Asia 프로그램을 통해 중국 및 일본 대학에 파견된 한국 학생 16명을 심층 면접하 였다. 분석 결과, 참여 학생들은 중국과 일본에 대한 막연한 부정적 인식에서 탈피하고 모국 인 한국에 대해서도 객관적으로 이해하게 되는 인식의 변화, 동아시아 지역 전문가로 성장하 기 위한 진로 계획의 구체화 및 학문적?문화적 소양의 획득 등 다양한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장애요인으로서는, (1) 사업설계와 행정지원 측면에서 일반 교환학생 프로그램 과의 차별성 미흡, 중국 대학에서의 행정 지원 미흡, 일관성과 예측가능성이 떨어지는 학점인 정 시스템이 지적되었고, (2) 교육과정 및 수업운영 측면에서는 제한된 수업선택의 폭과 낮은 수업의 질, 불충분한 논문지도와 졸업지연의 부담감, 교류부족으로 인한 소속감이나 사업 정 체성 형성의 어려움이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CAMPUS Asia 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사업설계 및 행정적 지원, 수업 및 교육과정 운영의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and barriers of the CAMPUS Asia project among China, Japan, and korea from Korean participants students’ perspectives, which has its pilot project started from 2012.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6 Korean students who attended universities in China and/or Japan through the CAMPUS Asia program. Findings showed that participants experienced change to understand China and Japan positively and perceive China, Japan, and korea objectively. They also experience further developments such as setting detailed career plans and showing academic and cultural developments so that they can become experts in the East Asia region. However, we also found barriers to accomplish the goals of the program and maximize its positive effects. At the program level, little was the CAMPUS Asia program differentiated from general exchange programs at universities. Participants also experience difficulties in their academic and daily lives due to the lack of administrative support. In addition, they pointed out the issue of quality of classes and their liberty to choose classes outside the program. More importantly, difficulty in interacting with other participating students in the CAMPUS Asia program, either from other countries or even the same institution or Korea, was perceived to cause difficulty in developing sense of belonging and identity for the CAMPUS Asia program. Considering recent relationship among three countries for their economic dependency and political tensions, student exchange among them is needed more than anything for building the East Asian community, promoting the regionalization in this area, and educating future leaders for it. Against this background and research findings, we provided multiple suggestions to implement the program successfully and maximize its positive effects

      • KCI등재

        지도교수의 대학원생 지도 유형과 대학원생의 학업중단 의사 : 전공계열별 분석

        전재은 ( Jon Jae-eun ),전하람 ( Jeon Haram ),이희영 ( Lee Heeyoung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지도교수의 대학원생 지도유형과 대학원생의 학업중단 의사 간 관계가 전공계열별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원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 27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인문사회계열의 지도유형은 ‘학문 및 정서적 지지’와 ‘억압 및 착취’ 유형, 자연공학계열의 지도유형은 ‘학문적 지지’, ‘정서적 지지’, 그리고 ‘억압 및 착취’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인문사회계열과 자연공학계열 모두 ‘억압 및 착취’ 유형이 대학원생의 학업 중단 의사를 강화하고, 자연공학계열에서는 ‘학문적 지지’가 학업 중단 의사를 약화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또 자연공학계열에서 대학원생이 연구실 등에서 공동생활을 할 경우 학업중단 의사가 낮은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원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graduate advisors’ advising typ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graduate students’ intent to drop out by the field of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276 graduate students currently enrolled in Korean higher education. Results showed that advising typ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onsist of ‘academic and affective support’ and ‘oppression and exploitation,’ and those in science and engineering ‘academic support,’ ‘affective support,’ and ‘oppression and exploitation.’ In both fields of study, ‘oppression and exploitation’ tended to increase the intent to drop out, but in science and engineering ‘academic support’ tended to reduce it. In addition, in science and engineering, their graduate school life with other colleagues in a shared place such as a laboratory tended to show the lower level of intent to drop out.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vided implications for graduate education.

      • KCI등재

        일본 유학 한국인의 일본에 대한 국가이미지 변화와 결정 요인 분석 : 일본 문부과학성 장학금 유학생을 중심으로

        전재은(Jon Jae Eun),강규원(Kang Kyu wo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7 比較敎育硏究 Vol.27 No.6

        본 연구는 일본 국비 장학금을 받고 일본에서 유학한 경험이 있는 한국인이 유학 후 일본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변화하는 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를 결정하는 요인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한일관계의 정치경제적 중요성과 갈등, 그리고 한일 간 고등교육 단계 국제교류의 비중을 고려하였을 때, 한국인의 일본 유학 경험에 따른 일본에 대한 이미지 변화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를 위해 일본 문부과학성의 국비 장학금을 받고 일본에서 유학 후 한국으로 귀국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74명의 설문응답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일본에 대한 이미지를 규칙을 준수하고 꼼꼼하지만 융통성이 낮다고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참여자들의 일본에 대한 이미지는 일본 유학 전과 비교하여 일본 유학 후 우호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에 대한 결정 요인으로서 유학 중 일본인과의 교류, 일본 유학 만족도, 그리고 일본 유학 경험이 현재 업무에 도움이 되는 정도에 대한 인식이 우호적 이미지 변화와 긍정적으로 관련되었다. 다만, 일본 관련 전공 여부는 긍정적 이미지 변화와 부적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정부의 외국인 유학생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Koreans who studied abroad in Japan with the Japanese government scholarship change their national image toward Japan after study abroad in Japan, and we also explored which factors may determine such change. Considering the political and economic importance of relationships between Korea and Japan, and the significance of international exchange at the level of higher education between two countries, it is meaningful to study Koreans’ change toward Japan after study abroad in Japan. Data were collected from 274 participants using survey, who returned to Korea after study abroad in Japan with the Japanese government scholarship from Monbukagakusho.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perceived that Japanese tend to observe rules and they are detailed but they are low in flexibility. Participants also showed tendency to change their image toward Japan favorably after study abroad in Japan. Their interaction with Japanese during their time in Japan, their satisfaction about study in Japan, and how much their study abroad experiences in Japan are perceived to be helpful for their current work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ir favorable change toward Japan. On the other hand, study in major related to Japan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ir favorable change toward Japan. Based on results from this study, implications for policy on international students by the Korean government were provided.

      • KCI등재

        CAMPUS Asia 시범사업의 성과 및 집행과정 분석

        변기용 ( Byun Kiyong ),전재은 ( Jon Jae-eun ),홍세영 ( Hong Seyoung ),박예진 ( Park Ye-jin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부터 2015년까지 4년간 시행된 CAMPUS Asia 시범사업의 성과와 집행과정을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시각에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본 사업의 설계 및운영에 대한 실천적인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정책집행 분석을 위한 통합적 접근방식을 사용하였고, 시범사업 기간 동안 수집한 문헌자료, 설문 및 면담조사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CAMPUS Asia 시범사업은 참여 학생의 발달측면 그리고 정부 및 대학 차원의 교류 협력 기반 조성 측면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둔 반면, 여러 한계점도 드러낸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CAMPUS Asia 시범사업의 성과및 한계에 영향을 미친 맥락적 요인을 정부 차원, 참여 사업단 차원, 학생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CAMPUS Asia 본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위한 다양한 방안들, 예를 들어, 사업의 궁극적 목표에 대한 명확한 설정, 정부 차원의 국가별 학사제도 차이 및 학점인정 문제 해결, 사업의 차별성 확립, 사업단별 교육과정 강화, 공동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특화된 진로모델 개발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utcomes and implementation process from various stakeholders`` perspectives related to the CAMPUS Asia (Collective Action for Mobility Program of University Student in Asia) pilot project, and thereby provide practical suggestions for it. The pilot projet of the CAMPUS Asia lasted four years from 2012 to 2015. A hybrid approach was used to analyze its implementation process, and diverse sources of data such as documents, surveys, and interviews were employed for analysis. Findings showed the accomplishments of the CAMPUS Asia pilot project for promoting participants`` development and building the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at the governmental and institutional levels, while various limitations were also identified. In addi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ntextual factors that influenced the outcomes and limitations of the CAMPUS Asia pilot project at the governmental, institutional, and student levels. Based on these findings, multiple suggestions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CAMPUS Asia pilot project were provided, for example, to set up the ultimate goals of the project clearly, for governments to coordinate different academic systems by country and address the issue of credit transfer, to establish the uniqueness of the project, to strengthen the curriculum of each consortium, to co-manage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o develop the specialized career paths.

      • KCI등재

        Clark(1983)의 Triangle 모형을 적용한 고등교육행정 전공 프로그램 활성화 요인 분석: 미국, 유럽, 중국,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변기용 ( Ki Yong Byun ),전재은 ( Jae Eun Jon ) 안암교육학회 2012 한국교육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미국을 비롯한 해외 주요국의 고등교육행정 전공 프로그램의 현황과 이들 국가에서 고등교육행정 전공 프로그램이 활성화, 혹은 비활성화된 이유를 분석해 봄으로써 향후 한국에서 이러한 프로그램을 도입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현재 각국에 설치되어 있는 고등교육행정 전공 프로그램들은 그 특징과 발달정도가 상이하였는데, 이는 국가별로 서로 다른 사회경제적 환경 속에서 이에맞는 프로그램을 발전시켜 온 결과로 생각된다. 아울러 흥미로운 것은 그동안 고등교육행정 전공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었던 미국 외에, 유럽, 아시아 지역의 국가들에서도 최근 신공공관리주의에 바탕한 개혁의 확산에 따라 전문 행정가를 양성하기 위한 고등교육행정 전공프로그램에 대한 수요가 점차적으로 늘고 있다는 점이었는데,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의 분석틀로 채택한 Clark(1983)의 트라이앵글 모형은 이러한 발전 동향을 예측하는데 있어 상당한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고등교육행정 전공 프로그램 도입 및 활성화를 위해서는 (1) 고등교육행정 관련 학위와 경력발전 경로의 연계성 강화; (2) 고등교육 연구소에 관련 전공 프로그램의 설치 및 사이버 과정의 도입; (3) 학문지향과 실무지향으로 차별화된 고등교육행정 전공 프로그램의 도입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higher education administration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Europe, China, and Japan to learn why such programs have or have not developed, depending on certain countries and regions. This is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to consider in expanding and promoting higher education administration programs in Korea. Findings show that higher education administration programs in each country and region differ in many aspects, including governance structure, degrees offered, and program goals & target students. These differences are considered to have resulted from their histories, where higher education administration programs have developed in response to different socioeconomic environments in each country. It is particularly interesting that the demand for higher education administration programs in European and Asian countries has gradually increased where these programs have previously been little developed. Reform movements based on New Public Management have increased the need to educate administrators with specialized knowledge and skills in higher education. In this sense, Clark(1983)`s triangle model has considerable explanatory potentials to predict future developments of higher education administration programs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Implications for higher education administration programs in Korea include (1) strengthening the link between academic degrees in higher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administrators` path for career advancement; (2) introducing higher education centers that also function as academic programs (e.g., educating students) and online-based courses in reference to examples from Japan; and (3) differentiation between academic-oriented and practice-oriented higher education administration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