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힐링과 치유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의 특성 프레임워크 제안 -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

        장은하(Jang, Eun-Ha),조지영(Cho, Ji Young) 한국주거학회 2020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2 No.2

        In an uncertain society, people experience various types of stress emanating from the environment, including crowd noise, restraint of freedom, or other environmental issues, which these critically impact their well-being and health. Especially with the COVID 19 pandemic, the desire to escape the source of stress and find a healing and therapeutic environment has risen.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holistic framework for healing and therapeutic environments that can be used by interested parties, such as researchers, designers, policy makers, and layperson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on environmental qualities impacting healing and therapy yielded 12 characteristics of such environments. In addition, we reorganized the existing therapeutic environment framework consisting of four elements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people are positively involved in the source of stress and placed the 12 characteristics under each element of the framework to produce a new framework. We expect it will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research on healing and therapeutic environments.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주거만족 관련 요인 : 체계적 문헌고찰

        장은하(Jang, Eunha),홍석호(Hong, Seokho),백옥미(Baik, Ok Mi) 한국노인복지학회 2020 노인복지연구 Vol.75 No.2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주거만족 관련 요인을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 Study)을 활용하여 연구동향 및 현황을 살피고 노인의 욕구에 부합한 주거환경 조성 및 주거정책 지원 제시와 후속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RISS, KISS, Scholar, e-article 총 4개의 데이터베이스에 ‘노인’, ‘주거만족’ 등의 검색어를 조합하여 2019년 10월 31일까지 출판된 국내 학술지 총 2,131건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이중 중복 문헌 제거 및 그레이존(각종보고서, 학술대회 발표논문), 학위논문, 외국어 작성 문헌과 종속변수가 주거만족과 관련이 없는 문헌을 배제하고 전문 검토과정을 거쳐 최종 17건의 문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거만족과 관련된 연구는 어느 특정 분야만이 아닌 노인학, 복지, 보건, 주거환경 및 디자인 등 다학제 및 복합 학문적 연구로 확대되고 양적으로도 점차 증가해 오고 있다. 둘째, 노인의 주거만족의 개념은 주변 환경과 입지, 주택내부 설비 및 시설 편의성, 주거 공간 내부의 크기, 조명 등에 대한 만족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여러 하위개념들로 구성되어 주거만족도를 측정하고 있다. 셋째, 주거만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영향요인들로는 성별, 연령, 학력, 수입에 대한 변인들 외에 건강, 가족형태, 가족구성원 수, 거주지역 등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넷째, 주거만족의 내부 요인으로 주거수준, 설비시설, 주거비용, 주거이동 등의 세부 영향요인들이 분석되었고, 노인의 건강과 이동성 약화를 고려하여 화장실 등의 안전 공간계획과 시설설비를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외부 환경 요인으로 녹지 환경, 공원, 의료 및 복지시설, 상업 편의시설, 대중교통 등이 분석되었으며, 이웃관계를 고려한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가 주요한 특징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주거만족을 위한 후속 연구의 발전적 제언을 제시하고, 주거복지향상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언하였다. A systematic review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research trends on hous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and to make suggestions on housing policies that meets the elderly’s needs and future research. Relevant studies were searched through RISS, KISS, Scholar, and e-article using key terms such as the elderly, housing satisfaction, or combinations of them. An initial search was resulted in 2,131 journal articles published until October 31, 2019. After removing duplications, grey literature, dissertations, studies written in foreign languages, and non-relevant studies, 17 studies were finally included for further analyses. As results, first of all, there were various disciplines involved in terms of studies on housing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for example, gerontology, social welfare, public health, design, etc. There were also a growing number of multidisciplinary or interdisciplinary studies in the area of research. Second, the concept of housing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has been widely used including community environment and locations, interior facilities and convenience, interior space and size, lights, and it was assessed using measures that consisted of multiple sub-scales. Third, in addition to demographical factor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income, factors like health status, family type, numbers of family member, and residential district were used for analyses. Forth, housing conditions, interior facilities, housing expense, and moving were found as significant internal factors of housing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Lastl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like green areas, park, healthcare and welfare facilities, commercial amen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housing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And it was significant to invigorate communities considering neighborhood relationship.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policies and future research were made to improve housing welfare among the elderly.

      • KCI등재

        독거노인의 고령친화적 환경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장은하(Eunha Jang),홍석호(Seokho Hong)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22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 No.43

        본 연구는 Lawton & Nahemow의 개인-환경 적합성 이론을 토대로 남녀 독거노인의 고령친화적 환경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사업인 『확장형 리빙랩을 통한 노인맞춤형 주거복지 통합서비스 개발』의 실태조사를 일부 활용하여 조사대상자 중 독거노인 477명을 분석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으며, 남성과 여성 그룹별로 연령, 소득, 학력, 주관적 건강상태를 통제한 후 물리적 환경, 사회문화 환경, 서비스 환경 등의 고령친화적 환경 변수들을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연령,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연령은 남성에 비해 여성의 평균나이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수준은 남성에 비해 여성의 교육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남성 독거노인은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성 독거노인의 경우에는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고령친화적 물리적 환경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실천적, 정책적 개입방안 및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Based on Lawton & Nahemow’s Person-Environment Fit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age-friendly environmental level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considering the gender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Data from 『A living-lab-based occupant-responsive housing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were used for this study, and 477 completed survey interview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main predictors of age-friendly environmental levels such as physical, socio-cultural, and service environment and their effec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bett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male elderly living alone, the higher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lderly females living alone, the higher the average monthly income, the bett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the higher the physical environment level, the higher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are made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for the elderly and for future studies as well.

      • KCI등재

        현대국어 문장의 문체 연구-국한문체, 한글체 표현을 중심으로-

        장은하 ( Jang Eun-ha ) 우리어문학회 2017 우리어문연구 Vol.58 No.-

        이 연구에서는 현대국어 문체의 변별성과 특징을 문체소의 구성성분을 이루는 표기요소인 국한문체, 한글체 표현을 중심으로 신문, 잡지 소설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어떠한 문장의 문체의 구성과 흐름은 그것을 이루고 있는 표기문자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이 연구에서는 현대국어 문장의 문체에 대하여 1945년 이후 현대국어 문장의 문체를 구어체로의 문체의 흐름이 일반화되고 대부분의 문체에서 한글체가 중심이 되는 1945부터 2000년까지의 시기와 한글체가 문체의 중심이 되기는 하지만 IT기술의 발전과 소셜 네트워크의 발달에 따라 축약어, 비어, 비표준어 등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우리말 국한문체에 있어서도 다양한 문체적 접근이 나타나는 그 이후의 시기로 나누어 현대국어의 문체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1945년 이후 현대국어 문장에서 나타나는 문장의 문체는 우리말 국한문체와 우리말 한글체의 완성단계라 할 수 있다. 문어체에 있어서 국한문체의 경우 개화기, 일제시대를 거쳐 나타나던 한문구 국한문체, 한문어 국한문체는 점차 우리말 국한문체 한글체로의 변화과정을 겪었다. 이러한 과정은 동적언어이론의 어휘분절구조의 바뀜으로도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이 시기에는 문장을 이루는 구성성분의 대부분이 한자어로 쓰여지지 않고 일반명사, 고유명사에 국한되어서 나타나고 있었으며, 사용 빈도도 현격하게 줄어들었다. 수사의 경우 현 시점에 가까이 올수록 아라비아 숫자로 대부분이 표현되고 있었으며 외래어의 쓰임이 빈번하였다. 이 시기는 한글로 된 문장의 문체에 한자와 외래어가 한 낱말의 구성에 일부분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사람 이름, 나라 이름 등 고유명사에 있어 한자 한글자로 의미의 은유적 특성을 표현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1999년 2월 9일부터 문화관광부에서 추진되고 있는 한자병기의 방침에 따라, 정부공문서, 도로표지판, 새로운 주민등록증에 한자가 병기되어 쓰여지고 있으며, 잡지나 신문의 경우 그 잡지의 성격에 따라 약간 다르기는 하지만 단락의 처음에 나오는 인명의 경우, 어려운 어휘나, 고사성어같은 경우에 한자를 병기하고 있다. 2000년대 이후에는 그 이전에 나타나던 낱말의 일부분이 한자로 표기되던 방식이 `N빵으로 더치페이`, `中 기업 제재, 北 자금유입 경로 원천봉쇄`, `LCC(저비용항공사) 1위 자존심 3분기 최대실적` 등의 예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의미의 구분을 변별화시키기 위하여 한자어 줄임말이나 외래어 줄임말을 통한 더 다양한 형태의 문체적 접근이 나타나고 있다. 줄임말에서 한자를 사용하여 그 의미를 강조하거나 의미의 변별성을 극대화시키기도 하며, 은유적인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또한 외래어가 문장의 한 성분에 그대로 쓰여지기도 하는데 이러한 변화는 각각의 어휘분절구조에 있어서 각각의 분절구조에 해당하는 어휘의 개별가치가 추가되거나 확대되어가는 것으로 해석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한자병기는 개화기 시대, 일제시대를 거쳐 광복 이후의 현 시점에 이르기까지 공통적으로 꾸준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2018년부터 초등학교 3학년 국어, 사회 교과서에 한글과 한자가 병기되는 정책이 시행될 것으로 볼 때 글을 읽은 독자가 효율성과 경제성에 바탕하여 의미의 구분을 명확하게 하는 방향으로 문체의 흐름이 바뀌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sentences in modern Korean language expressed in newspapers, novels, and magazines. The beginning of modern Korean language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period of the flowering period and Japanese colonial era. Since then, the period from 1945 to the 2000s and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s, we will try to catch the abbreviation, ellipsis later in the expression of sentences. In the 2000s, the stylistic features of the sentence are the Korean writing style and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with Chinese characters in it. The way in which the part of the words that appeared before the 2000s was expressed in Chinese characters, the English alphabet letter appeared in the part of the word, and the expression which expresses the whole meaning with one letter of Chinese character appeared. Also, there are some expressions in which the abbreviation of English is abbreviated as Hangul, which is interpreted as to better convey the original distinctive meaning.

      • KCI등재

        한국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누적적 이익 불이익 이론을 활용한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장은하(Eunha Jang),박하은(Haeun Park),홍석호(Seokho Hong)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6

        본 연구는 한국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누적적 이익 불이익 이론(Cumulative Advantage and Disadvantage Theory, CAD)을 활용한연구에 대하여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RISS, KISS, e-article, KCI 4개의 데이터베이스에 ‘누적적 이익 불이익’, ‘마태 효과’등의관련 검색어를 조합하고 2020년 8월 31일까지 출판된 국내 학술지를 검색하여 총 2,063편의 논문을 획득하였다. 문헌 선정 과정의첫 단계에서 중복 문헌 제거와 그레이존(각종 보고서, 학술대회 발표논문, 학위논문) 및 국외문헌 중 한국인 대상이 아닌 문헌을 배제하였고, 두 번째 단계에서 질적 연구 및 누적적 이익 불이익 이론과 관련이 없는 문헌들은 제외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 전문검토과정을 거쳐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최종 14편의 문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누적적 이익 불이익 이론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소득불평등, 건강(정신적·신체적·주관적 건강) 등의 메커니즘을 규명하려는 시도에서 활용되었다. 또한 분석문헌은 모두 2차 자료(패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론의 특성상 횡단연구보다 종단연구로 설계하여 분석하고 있었다. 둘째, 누적적 이익 불이익 이론은 10개의다양한 용어로 혼용되어 왔으나 공통적으로 생애 초기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익 또는 불이익 현상들은 과거로부터 누적되어 생애전반에영향을 미치는 것을 기본과정으로 하고 있다. 셋째, 누적된 사건으로 사회경제적 요인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중 학력과 소득을측정한 빈도가 가장 높았다. 그리고 누적된 결과로 우울이 가장 많이 다루어졌다. 넷째, 누적된 사건(독립)과 누적된 결과(종속)의 영향관계를 살핀 결과, 우울에 유의미하게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 소득, 본인학력, 생계곤란으로 학업중단 경험의 빈도순으로 나타났으며, 소득불평등 및 소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본인학력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누적적 이익 불이익이론을 적용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provides a systematic review on the domestic literature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Korea applying the Cumulative Advantage and Disadvantage Theory. Using four databases(KCI, RISS, KISS, and e-Article), a total of 2,063 papers were searched in domestic journals published by August 31, 2020 by combining search terms such as cumulative benefits, cumulative advantages, cumulative disadvantages, and Matthew effect. In the first stage of the literature selection process, duplicate documents were removed and gray literature (various reports, thesis presentations, dissertations) and documents written in foreign languages were excluded. Next, qualitative research and documents not related to Cumulative Advantage and Disadvantage Theory were excluded. In the last stage, through a full text review process, the final 14 articles that meet the research purpose were includ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Cumulative Advantage and Disadvantage Theory was used in an attempt to identify mechanisms such as income inequality and health (mental, physical, and subjective health) in various academic fields. In addition, secondary data (panel data) were used for all literature, and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theory, it was designed and analyzed as a longitudinal study rather than a cross-sectional study. Second, the Cumulative Advantage and Disadvantage Theory has been used interchangeably with 10 different terms, but in common, the basic process is that the advantages or disadvantages that occur in the early stages of life are accumulated from the past and affect the overall life. Third,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education and income in cumulative events were used the most. And depression in cumulative results was treated the most.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cumulative events (independence) and cumulative results (dependent), the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depression were income, personal education, and difficulty in living, and experiences of dropping out of school.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inequality was educational background.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pplying the Cumulative Advantage and Disadvantage Theory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