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누적적 이익 불이익 이론을 활용한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장은하(Eunha Jang),박하은(Haeun Park),홍석호(Seokho Hong)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6

        본 연구는 한국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누적적 이익 불이익 이론(Cumulative Advantage and Disadvantage Theory, CAD)을 활용한연구에 대하여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RISS, KISS, e-article, KCI 4개의 데이터베이스에 ‘누적적 이익 불이익’, ‘마태 효과’등의관련 검색어를 조합하고 2020년 8월 31일까지 출판된 국내 학술지를 검색하여 총 2,063편의 논문을 획득하였다. 문헌 선정 과정의첫 단계에서 중복 문헌 제거와 그레이존(각종 보고서, 학술대회 발표논문, 학위논문) 및 국외문헌 중 한국인 대상이 아닌 문헌을 배제하였고, 두 번째 단계에서 질적 연구 및 누적적 이익 불이익 이론과 관련이 없는 문헌들은 제외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 전문검토과정을 거쳐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최종 14편의 문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누적적 이익 불이익 이론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소득불평등, 건강(정신적·신체적·주관적 건강) 등의 메커니즘을 규명하려는 시도에서 활용되었다. 또한 분석문헌은 모두 2차 자료(패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론의 특성상 횡단연구보다 종단연구로 설계하여 분석하고 있었다. 둘째, 누적적 이익 불이익 이론은 10개의다양한 용어로 혼용되어 왔으나 공통적으로 생애 초기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익 또는 불이익 현상들은 과거로부터 누적되어 생애전반에영향을 미치는 것을 기본과정으로 하고 있다. 셋째, 누적된 사건으로 사회경제적 요인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중 학력과 소득을측정한 빈도가 가장 높았다. 그리고 누적된 결과로 우울이 가장 많이 다루어졌다. 넷째, 누적된 사건(독립)과 누적된 결과(종속)의 영향관계를 살핀 결과, 우울에 유의미하게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 소득, 본인학력, 생계곤란으로 학업중단 경험의 빈도순으로 나타났으며, 소득불평등 및 소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본인학력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누적적 이익 불이익이론을 적용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provides a systematic review on the domestic literature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Korea applying the Cumulative Advantage and Disadvantage Theory. Using four databases(KCI, RISS, KISS, and e-Article), a total of 2,063 papers were searched in domestic journals published by August 31, 2020 by combining search terms such as cumulative benefits, cumulative advantages, cumulative disadvantages, and Matthew effect. In the first stage of the literature selection process, duplicate documents were removed and gray literature (various reports, thesis presentations, dissertations) and documents written in foreign languages were excluded. Next, qualitative research and documents not related to Cumulative Advantage and Disadvantage Theory were excluded. In the last stage, through a full text review process, the final 14 articles that meet the research purpose were includ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Cumulative Advantage and Disadvantage Theory was used in an attempt to identify mechanisms such as income inequality and health (mental, physical, and subjective health) in various academic fields. In addition, secondary data (panel data) were used for all literature, and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theory, it was designed and analyzed as a longitudinal study rather than a cross-sectional study. Second, the Cumulative Advantage and Disadvantage Theory has been used interchangeably with 10 different terms, but in common, the basic process is that the advantages or disadvantages that occur in the early stages of life are accumulated from the past and affect the overall life. Third,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education and income in cumulative events were used the most. And depression in cumulative results was treated the most.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cumulative events (independence) and cumulative results (dependent), the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depression were income, personal education, and difficulty in living, and experiences of dropping out of school.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inequality was educational background.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pplying the Cumulative Advantage and Disadvantage Theory were presented.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주거만족 관련 요인 : 체계적 문헌고찰

        장은하(Jang, Eunha),홍석호(Hong, Seokho),백옥미(Baik, Ok Mi) 한국노인복지학회 2020 노인복지연구 Vol.75 No.2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주거만족 관련 요인을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 Study)을 활용하여 연구동향 및 현황을 살피고 노인의 욕구에 부합한 주거환경 조성 및 주거정책 지원 제시와 후속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RISS, KISS, Scholar, e-article 총 4개의 데이터베이스에 ‘노인’, ‘주거만족’ 등의 검색어를 조합하여 2019년 10월 31일까지 출판된 국내 학술지 총 2,131건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이중 중복 문헌 제거 및 그레이존(각종보고서, 학술대회 발표논문), 학위논문, 외국어 작성 문헌과 종속변수가 주거만족과 관련이 없는 문헌을 배제하고 전문 검토과정을 거쳐 최종 17건의 문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거만족과 관련된 연구는 어느 특정 분야만이 아닌 노인학, 복지, 보건, 주거환경 및 디자인 등 다학제 및 복합 학문적 연구로 확대되고 양적으로도 점차 증가해 오고 있다. 둘째, 노인의 주거만족의 개념은 주변 환경과 입지, 주택내부 설비 및 시설 편의성, 주거 공간 내부의 크기, 조명 등에 대한 만족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여러 하위개념들로 구성되어 주거만족도를 측정하고 있다. 셋째, 주거만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영향요인들로는 성별, 연령, 학력, 수입에 대한 변인들 외에 건강, 가족형태, 가족구성원 수, 거주지역 등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넷째, 주거만족의 내부 요인으로 주거수준, 설비시설, 주거비용, 주거이동 등의 세부 영향요인들이 분석되었고, 노인의 건강과 이동성 약화를 고려하여 화장실 등의 안전 공간계획과 시설설비를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외부 환경 요인으로 녹지 환경, 공원, 의료 및 복지시설, 상업 편의시설, 대중교통 등이 분석되었으며, 이웃관계를 고려한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가 주요한 특징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주거만족을 위한 후속 연구의 발전적 제언을 제시하고, 주거복지향상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언하였다. A systematic review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research trends on hous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and to make suggestions on housing policies that meets the elderly’s needs and future research. Relevant studies were searched through RISS, KISS, Scholar, and e-article using key terms such as the elderly, housing satisfaction, or combinations of them. An initial search was resulted in 2,131 journal articles published until October 31, 2019. After removing duplications, grey literature, dissertations, studies written in foreign languages, and non-relevant studies, 17 studies were finally included for further analyses. As results, first of all, there were various disciplines involved in terms of studies on housing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for example, gerontology, social welfare, public health, design, etc. There were also a growing number of multidisciplinary or interdisciplinary studies in the area of research. Second, the concept of housing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has been widely used including community environment and locations, interior facilities and convenience, interior space and size, lights, and it was assessed using measures that consisted of multiple sub-scales. Third, in addition to demographical factor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income, factors like health status, family type, numbers of family member, and residential district were used for analyses. Forth, housing conditions, interior facilities, housing expense, and moving were found as significant internal factors of housing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Lastl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like green areas, park, healthcare and welfare facilities, commercial amen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housing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And it was significant to invigorate communities considering neighborhood relationship.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policies and future research were made to improve housing welfare among the elderly.

      • KCI등재

        독거노인의 고령친화적 환경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장은하(Eunha Jang),홍석호(Seokho Hong)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22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 No.43

        본 연구는 Lawton & Nahemow의 개인-환경 적합성 이론을 토대로 남녀 독거노인의 고령친화적 환경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사업인 『확장형 리빙랩을 통한 노인맞춤형 주거복지 통합서비스 개발』의 실태조사를 일부 활용하여 조사대상자 중 독거노인 477명을 분석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으며, 남성과 여성 그룹별로 연령, 소득, 학력, 주관적 건강상태를 통제한 후 물리적 환경, 사회문화 환경, 서비스 환경 등의 고령친화적 환경 변수들을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연령,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연령은 남성에 비해 여성의 평균나이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수준은 남성에 비해 여성의 교육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남성 독거노인은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성 독거노인의 경우에는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고령친화적 물리적 환경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실천적, 정책적 개입방안 및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Based on Lawton & Nahemow’s Person-Environment Fit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age-friendly environmental level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considering the gender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Data from 『A living-lab-based occupant-responsive housing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were used for this study, and 477 completed survey interview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main predictors of age-friendly environmental levels such as physical, socio-cultural, and service environment and their effec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bett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male elderly living alone, the higher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lderly females living alone, the higher the average monthly income, the bett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the higher the physical environment level, the higher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are made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for the elderly and for future studies as well.

      • KCI등재

        배우자 사별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령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장은하,홍석호,Jang, Eunha,Hong, Seokho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0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in widowhood among older females. Using the sixth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supplementary survey data, a total sample of 1,471 women aged 65 or older whose spouse had died were selected, divided into 508 young-old (65-74), 745 middle-old (75-84), and 218 oldest-old (85+). Then,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se three groups were analyzed, based on a combination of perceived health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levels. It was found that among the young-old group, a higher level of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indicated by monthly income and mater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linked to more frequent participation in community gathering combined for an overall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For the middle-old group, higher life satisfaction was provided by monthly income, informa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for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nd no diseases for interpersonal satisfaction. The oldest-old group with higher life satisfaction referred to monthly income for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nd no experience in donation activities for interpersonal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who have experienced their spouse's death.

      • KCI등재

        밀레니얼 세대 사회복지사의 일의 의미

        수미 ( Jang Soo Mi ),장은하 ( Jang Eunha ),정휘경 ( Jung Hwigyeong ),김가빈 ( Kim Ga Bin ),박혜경 ( Park Hye Kyoung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0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7 No.3

        밀레니얼 세대의 등장에 사회적 관심이 주목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도 사회복지 인력의 세대 간 교체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복지사가 일에 대해 부여하는 의미는 서비스 질의 제고와 직무 만족의 증진을 가져온다. 이에 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에 해당하는 사회복지사들이 인식하는 일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종합사회복지관에서 3년 이상 재직 중인 밀레니얼 세대 사회복지사 9명이다. 총 2회의 초점집단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주제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46개의 개념, 15개의 하위범주, 5개의 범주, 3개의 주제(일을 선택한 동기, 일의 의미부여 과정에서의 장애물, 일의 의미)가 발견되었다. 일의 의미는 “가치와 물질이 공존하는 일”, “기쁨, 도전, 인정의 원동력으로 일궈가는 일”, “자율성과 성장이 보장되는 신바람 나는 일터”로 나타났다. 주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종합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밀레니얼 세대 사회복지사 일의 의미와 관련한 논의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With the emergence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there has been a generational shift of social work manpower within the social work fields. Depending on how a social worker perceives the meaning of work, it may enhance the quality of service and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different millennial social workers perceive the meaning of work.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9 millennial social workers who had been working at the social welfare centers for more than 3 years. The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two focus group interviews and authors analyzed by data with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total of 46 concepts, 15 sub-categories, 5 categories and 3 themes(i.e., the reason for selecting work, obstacles faced when giving a meaning to work, and meaning of work). The study also showed the meaning of work as “coexistence of values and materials”, “work that is motivated by joy, challenge, and recognition”, and “a pleasant workplace where autonomy and growth are secur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and recommended further studies on how different millennial social workers from the social welfare centers perceive the meaning of work.

      • KCI등재

        독거노인의 자살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남혜진(Nam, Hyejin),장은하(Jang, Eunha),홍석호(Hong, Seokho) 한국노인복지학회 2021 노인복지연구 Vol.76 No.2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자살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국내 연구 동향을 살피고 후속연구 및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KISS, e-article, KCI, RISS 4개의 웹 데이터베이스에 독거노인 자살을 키워드로 조합하여 2021년 2월 24일까지 게재된 국내 학술지 792건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중복된 문헌 및 회색 문헌을 제외하고, 관련 키워드 중심으로 초록과 전문검토를 거쳐 최종적으로 55건의 문헌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독거노인의 자살과 관련된 연구는 여러 학술지에서 활발히 게재되고 있다. 연구대상자의 경우 여성 독거노인의 비율이 높았으며, 70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둘째, 분석문헌에서 자살 유형 중 자살 생각, 자살시도, 자살 경향성을 주로 다루고 있으며, 그중 자살 생각을 다룬 문헌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셋째, 독거노인의 자살 관련 변인으로 인구학적 변인, 건강상태 및 건강 행동 변인, 심리·정서적 변인, 사회·환경적 변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인구학적 변인을 제외하고 심리·정서적 변인의 우울과 사회·환경적 변인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분석 빈도가 높았으며, 대부분의 연구에서 독거노인의 우울감이 높을수록 또는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자살위험이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 및 실천적 개입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omestic research trends and to derive follow-up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us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suicide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Based on four web databases, KISS, e-article, KCI, and RISS, 792 articles published by February 24, 2021 were searched by combining key words, suicide, and the elderly living alone. A number of 55 articles were finally analyzed through abstract and full-text review focusing on related keywords after excluding overlapping papers and gray literature. As results, it was found that studies related to suicid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re actively published in various academic journals. Regarding the study subjects, the proportion of female elderly living alone was higher than the male, and the elderly in seventies were studied the most. Second, the literature mainly deals with suicidal thoughts, suicidal attempts, and suicidal tendencies in suicide concepts. Third, the suicide-related variable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ere classified into demographic variables,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variable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variables,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he frequency of depression in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variables and social support in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was high. Also, in most studies, the higher the depression or the lower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higher the suicide risk was confirmed.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follow-up research and practical interven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노인의 대인관계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가 활동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노후 연령 인식의 조절 효과

        박하은(Haeun Park),장은하(Eunha Jang),홍석호(Seokho Hong)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5

        노인의 다양한 참여 활동을 통하여 사회 통합과 건강한 노후를 영위하기 위한 활동적 노화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활동적 노화에 대인관계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과 노후 연령 인식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KReIS) 7차 본 조사 및 부가조사를 결합하여 사용하였으며, 65세 이상 노인 3,754명의 자료를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첫째, 노인의 활동적 노화(건강⋅참여⋅안전) 구성요인 중 참여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대인관계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는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고, 노후 연령 인식은 평균 69.1세로 나타났다. 특히 자녀가없는 노인의 물질적 지지와 활동적 노화 수준이 공통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노년기 대인관계 만족도, 사회적 지지, 그리고 노후연령 인식이 높아질수록 활동적 노화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후 연령 인식의 조절 효과 분석결과, 대인관계 만족도와사회적 지지 모두에서 유사한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즉, 노후 연령 인식이 낮은 노인 집단에서 대인관계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 수준이높을수록 활동적 노화 수준이 더 가파르게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의 실천적 접근 방안과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active aging for social integration and healthy old age through various participation activities of the elderly. This study attempted to measure active aging in multidimensional areas in response to the aging of the populatio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and the modulating effect of recognizing old age. In this study, the 7th main survey and the supplementary survey of the KReIS were combined and used. The data of 3,754 senior citizens aged 65 or older were finally analyzed for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ctive aging consisted of health, participation, and safety,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was the lowest among the elderly. Satisfaction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ocial support were generally above the average level, and the average age recognition in retirement was 69.1 years. The level of material support and active aging of the elderly without children was generally low.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personal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retirement age transplantation in old age, the higher the level of active ag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recognizing old age showed similar moderating effects in both interpersonal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personal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in the elderly group with low perception of old age, the higher the level of active aging wa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practical approach of social welfare and policy suggestions are made.

      • KCI등재

        독거노인의 대인관계 만족도와 사회적지지가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박하은(Park Haeun),장은하(Jang Eunha),홍석호(Hong Seokho)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硏究 Vol.36 No.2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KReIS) 제 6차 부가조사에서 독거노인 1,010명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종교가 없을수록, 경제 및 단체활동에 참여할수록, 건강행동을 많이 할수록, 월 소득이 높을수록, 정보적지지가 높을수록 독거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수준이 높았다. 이를 통해 독거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증진시키기 위한 사회적지지 지원, 경제활동 지원 및 소득 증진, 사회활동 참여 촉진 방안 등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actor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among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to make sugges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Data of 1,010 from the 6th KRel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As results, those who were younger, less educated, without religion, and had participation in economic or organizational activities, more health behaviors, higher monthly income, and higher levels of informational support, reported higher level of subjective health satatus.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on health promotion, income increase,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were made to keep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healthy.

      • KCI등재

        농촌 독거노인의 스마트 홈 활용 경험

        백옥미 ( Baik Ok Mi ),홍석호 ( Hong Seokho ),이미영 ( Lee Miyoung ),장은하 ( Jang Eunha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4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스마트 홈 서비스를 시범적으로 적용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생생한 적응 경험을 탐색하여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부 지원의 스마트 홈 서비스를 제공받은 초고령 지역의 독거노인 9명을 대상으로 2회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것을 비롯해, 이들의 스마트 홈 서비스의 보급 및 관리에 관련된 핵심 정보 제공자 11명을 대상으로 별도로 2회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Grounded theory)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84개의 개념, 39개의 하위범주, 16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에 의한 분석 결과, 중심현상은 <기계적응 스트레스>와 <사회복지 실천의 확대>이며, 중심현상의 인과적 조건은 <정보 취득> <안전 염려> <사회 동참>, 맥락적 조건은 <접근성> <경제성> <지원 및 관리>이며, 중심현상을 조절ㆍ대처하기 위한 행동/상호작용 전략은 <적응을 위한 고군분투> <이익을 체험> <도움 요청> <제도적 보완>으로 나타났다. 중재적 상황은 <노인 성향> <도움 줄 존재> <편리성>이었으며, 결과는 <더디지만 점차 익숙해지고 있음>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들의 스마트 홈 경험의 핵심 범주는 “더디지만 ‘사람’의 도움으로 스마트 홈에 적응해가고 있음”으로 결정되었다. 주요 결과를 토대로 노인 사용자 기반의 스마트 홈 기술의 개발과 효율적인 전달체계 수립을 위해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actical adaptation experiences that rural older adults in using pilot smart home services. To this end two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senior citizens living alone in highly-aged areas who received smart home services, a government-supported pilot project. Also, two separat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key information providers related to the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their smart home services.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by Strauss & Corbin (1998) was applied for the analysis. Our analysis derived 84 concepts, 39 sub-categories, and 16 super-categories. In the paradigmic dimension, the central phenomenon was < mechanical adaptation stress > and < expansion of social welfare practice >, the causal condition of the central phenomenon was < information acquisition > < safety concern > < social participation >, and the contextual condition was < accessibility > < economic efficiency > < support and management >, and the behavior/interaction strategies for controlling and coping with the central phenomenon was < struggle for adaptation > < experience benefits > < request help > <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 The interventional situation was < elderly tendency > < presence of help > < convenience >, and the result was < slow but gradually getting used to it >. The core category of the smart home experienc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as determined to be “Slowly but adapting to the smart home with the help of ‘people’”. Based on the main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re presented for the development of smart home technology based on elderly users and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delivery system.

      • 메신저 TTS 실시간 알림 및 자동 답장 서비스

        정상화(Jung Sanghwa),곽명찬(Kwak Myungchan),박제민(Park Jemin),이종상(Lee Jongsang),장은하(Jang Eunha),김은한(Kim Eunhan) 한국정보기술학회 202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2 No.6

        우리는 스마트폰을 직접 확인하기 힘든 경우, 카카오톡 메신저에 도착한 메시지를 음성알림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고, 자동으로 답장을 보내주는 메신저 매니지먼트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목표로 하였다. “MIC로매니저”는 안드로이드 노티피케이션 매니저를 이용하여 실시간 메시지를 감시하고, 구글 TTS 음성 합성 엔진을 통해 음성알림으로 변환한다. SMS 서비스를 통해 발신자에게 자동으로 답장을 보내주고, 음성알림의 출력에 대해 다양한 편의를 제공한다. We aimed to create a messenger management application that notifies users of messages arriving on KakaoTalk messengers through voice notifications and automatically sends replies when it is difficult to check smartphones in person. “MICroManager” uses the Android Notification Manager to monitor real-time messages and convert them into voice notifications through the Google TTS voice synthesis engine. It automatically sends replies to callers through SMS services and provides various conveniences for outputting voice notif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