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위암에서 RUNX3 발현의 임상적 의의

        장성화,신동규,김일명,유병욱,윤진,박상수,강성구,이윤경,허수학,조익행,Jang, Sung-Hwa,Shin, Dong-Gue,Kim, Il-Myung,You, Byung-Ook,Yoon, Jin,Park, Sang-Su,Kang, Sung-Gu,Lee, Yun-Kyung,Heo, Su-Hak,Cho, Ik-Hang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4

        목적: 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3 (RUNX3)는 새로운 tumor Suppressor로써 최근 많은 연구들이 여러 암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위암에 대한 임상연구는 아직까지 보고가 많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위암조직에서의 RUNX3의 발현율과 임상적 의의에 대해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서울의료원에서 위암으로 근치적 수술을 시행 받은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자에서 적출된 위 조직으로 만들어진 파라핀 블록을 이용해 위암조직 124예를 채취하여 RUNX3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염색으로 확인한 후 비교분석 하였다. RUNX3 염색결과는 핵과 세포질에서 양성과 음성으로 나누어 각각 판독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PSS 11.0을 사용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은 61세($33{\sim}87$세)였으며 남자 81명(65.3%), 여자 43명(34.7%)으로 1.9 : 1이었다. 위암조직에서 RUNX3의 발현율은 59.7% (74/124명)이었으며 위암세포에서 주로 세포질에 발현되었다. 위암조직의 분화도에 따른 RUNX3 발현의 차이에서 분화도가 양호한 경우의 발현율(핵내: 9.1%, 세포질: 57.0%)에 비해 분화도가 나쁜 경우 발현율(핵내: 5.2%, 세포질: 46.6%)이 낮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133). 위암조직에서의 RUNX3 발현 유무와 생존율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626). 5년 생존율과 연관지어 단변량, 다변량 분석 통계에서 의미가 있었던 것은 UICC TNM 병기뿐이었다(P<0.001). TNM 병기별 5년 생존율은 IA-93.6%, IB-90.9%, II-81.7%, IIIA-30.0%, IIIB-31.3%, IV-22.7%였다. 결론: 위암조직에서 RUNX3 핵 내 발현이 위암조직의 분화도가 좋을수록 발현율이 높았다. RUNX3의 핵 내 발현율이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은 단변량, 다변량 분석에서는 유의성이 없어 향후 이에 대한 좀 더 많은 증례로 유의성을 찾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RUNX3, a novel tumor suppressor, is frequently inactivated in gastric cancer.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pattern of RUNX3 expression in gastric cancer cells from gastric cancer specimens and the impact of its alteration on clinical outcome.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24 samples of both gastric cancer and normal tissue were obtained from 124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gastrectomy at the Seoul Medical Center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05. RUNX3 expression was determin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Statistical analysis wabased on clinicopathological findings and differences in survival rate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61 years, and the male:female ratio was 1.9:1. The expression rate of RUNX3 was 59.7% (74/124). The expression rate was higher in differentiated gastric cancers (nucleus: 9.1%, cytoplasm: 57.6%) than in the undifferentiated types (nucleus: 5.2%, cytoplasm: 46.6%) (P=0.133). The 5-year survival rates according to RUNX3 expression determined from cancer tissue were 88.9% for the nucleus $\pm$ cytoplasm(+) group of patients, 76.1% for the cytoplasm only (+) group of patients, and 65.3% for the RUNX3 negative expression group of patients (P=0.626). Only UICC TNM staging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related to the survival rate, as determined by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 The RUNX3 expression rate was higher in differentiated gastric cancer than in the undifferentiated types without significance. Although RUNX3 expression predicted better survival, based on multivariate analysis, the finding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 cases should be further evaluated.

      • KCI등재후보

        무용동작치료 연구동향 분석 : 2010년~2020년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장성화(Sung-Hwa JANG),이주연(Ju-Yeon LEE)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21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Vol.5 No.1

        연구는 2010년부터 2020년까지의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무용동작치료의 연구동향을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자료는 국회전자도서관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검색서비스를이용하여 석/박사 학위논문 총 120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선정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맞게 코딩,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4년에 석박사학위논문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으며, 2014년 이후 2020년까지 10편 이상의 꾸준한 학위논문 연구가 진행되고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무용동작치료 학위논문의 연구대상은 성인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유·아동, 청소년, 노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의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통합적 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사례연구와 개관연구에 대한 연구가진행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상에 따라서 다양한 연구변인들을 중심으로 학위논문 연구가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dance movement therapy, focusing on domestic master s and doctorate thesis from 2010 to 2020. The analysi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20 master s and doctorate papers using the search service of the National Assembly Electronic Library and the Korea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 The selected data were cod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largest number of master s and doctorate thesis studies were conducted in 2014, and more than 10 steady thesis studies were conducted from 2014 to 2020. Second, adults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research subjects in the dissertation on dance movement therapy, followed by children, adolescents, and the elderly. Third, research methods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followed by integrated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integrative research. Fourth,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research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and research on case studies and overview was being conducted.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dissertation research was conducted mainly by various research depending on the subject.

      • KCI등재

        청소년의 우울, 대인불안, 학교적응이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장성화(Sung-Hwa Jang),조경덕(Kyung-Duk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1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우울, 대인불안, 학교적응이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지역 소재의 중?고등학교 각 2개 학교의 중학생 249명, 고등학생 337명으로 총 613명이었다. 응답결과는 상관계수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우울, 대인불안, 학교적응, 휴대전화 중독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강박과 학교친구적응을 제외하고는 모든 하위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휴대전화 중독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변인으로 우울, 학교친구적응, 대인불안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우울, 학교적응의 하위 변인인 학교친구적응, 대인불안에 어려움을 보이는 청소년들의 휴대전화 중독 경향이 높은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dictors of students depress, Interaction anxiety, school adjustment on cellular phone addiction of teenager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613 teenagers composed of 249 middle school students, 337 high school students in Daejeon. The data was conducted by using a correlations coefficient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correlations among measured variables of students depress, interaction anxiety, school adjustment, cellular phone addiction were significant. Secondl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showed that students depress, peer relations, and interaction anxiety variables to most greatly explain cellular phone addi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ellular phone addiction related to depress, interaction anxiety of teenagers.

      • KCI등재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장성화 ( Jang¸ Sung-hwa ),최성열 ( Choi¸ Sung-yeol ),이주연 ( Lee¸ Ju-ye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1 아동교육 Vol.30 No.4

        본 연구는 경기 지역의 유치원 5세 유아를 둔 어머니 374명 대상으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의 관계에서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가족건강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서표현성의 하위 요인인 긍정적 정서표현성과 사회적 유능감의 정서조절, 정서성, 또래관계 기술, 사회적 규범이해와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부정적 정서표현성과 사회적 유능감의 정서조절, 정서성, 또래관계기술, 사회적 규범이해과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사회적 유능감과 가족건강성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하위요인 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정서표현성과 가족건강성과의 관계에서는 긍정적 정서표현성과는 정적 상관관계, 부정적 정서표현성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 부정적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가족건강성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on the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374 mothers with kindergarten 5-year-old infants in Gyeonggi Provinc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family strength,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emotionality, peer relationship skills, and social norm understanding were found. There were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emotionality, peer relationship skills, and social norm understanding.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family health performanc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pression and family health,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performance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performance. Second, the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were found to be factors influencing the child's social competence.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 on the effect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on infants’ social competence,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family strength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 were also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장성화 ( Sung Hwa Jang ),김순자 ( Soon Ja Kim ),최성열 ( Sung Yeol Choi ),이주연 ( Ju Yeon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3 아동교육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초등학생의 휴대폰 중독 감소를 위한 개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 휴대폰 중독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개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6학년 35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 첫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 휴대폰 중독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 휴대폰 중독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 학교적응과 휴대폰 중독 간에는 부적상관, 정신건강과 휴대폰 중독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휴대폰 중독에는 자아존중감, 학교환경적응, 정신건강의 측면들이 중요한 요인임을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esteem, school adjustment, mental health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ellular phone addi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provide the relevant educational authorities with basic data in order to prevent problems related to cellular phone addict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correlation are their among the degree of self-esteem, school adjustment, mental health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ellular phone addiction.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self-esteem, school adjustment, mental health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ellular phone addi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8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cated in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using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esteem and cellular phone addiction,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cellular phone addiction,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ental health and cellular phone addiction. Second, cellular phone addiction appeared to be influenced by the self-esteem, school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 휴대폰 중독 수준에 따른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의 관계 연구

        장성화(Jang Sung Hwa),박영진(Park Young Jin)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09 韓國敎育論壇 Vol.8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 수준을 비중독집단, 의존집단, 중독집단으로 나눈 후, 정신건강,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등의 심리적 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서울지역 중학생 191명(52.9%)과 고등학생 170명(47.1%)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무성의한 응답을 제외한 총 361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는 상위 25%, 중간 50%, 하위 25%로 구분하여 SPSS 15.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성별은 유의한 차이가 있지만, 학교급별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 정신건강,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의 모든 변인들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다회귀분석 결과, 휴대폰 중독을 가장 많이 설명해 주는 변인으로는 정신건강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본 연구는 제한점,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study looked into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fter dividing mobile phone addiction into a non-addicted group, a dependent group, and an addicted group. The subjects of study were 361 students in two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respectively, and the data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the SPSS 15.0 by dividing into the top 25%, middle 25%, and the bottom 25%. As the result of study,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s. In addition, as to every sub-area of mobile phone addiction and mental addition, it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mobile phone addiction.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l variables of teenagers' mobile phone addiction, mental health, self-control, and self-esteem.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among the variables Mental health explained mobile phone addition the most.

      • KCI등재후보

        청소년이 지각한 부정적 양육태도가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

        장성화(Sung-Hwa Jang),이주연(Ju-Yeon Lee)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2 청소년상담학회지 Vol.3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정적 양육태도가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관계에서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8의 중학교 1학년 848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정적 양육태도가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정적 양육태도를 높게 지각할수록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정적 양육태도가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청소년이 지각한 부정적 양육태도는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스마트폰 과의존을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청소년들에게 필수요소가 된 스마트폰을 무조건적으로 규제하기 보다는 청소년들의 올바른 사용습관을 기를 수 있는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부정적 양육태도 개선을 위한 교육과 스마트폰 과의존 개선을 위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의 접근을 고려한 청소년들의 사이버불링 가해 행동을 예방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스마트폰 과다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관리 교육 및 과의존 방지를 위한 상담프로그램 개발과 실천 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adolescents on cyberbullying behavior, and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smartphone dependence in these relationships. To this end,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848 people i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adolescents on cyberbullying behavior,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were found to be the influencing factor.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martphone dependence on the effect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adolescents on cyberbullying behavior,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martphone dependence was verified. It was verified that th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adolescents directly affects cyberbullying behavior and indirectly affects it through dependence on smartphones. Rather than unconditionally regulating smartphones, which have become an essential element for teenagers, an approach to developing the right usage habits of teenagers will be needed. It is necessary to prevent and solve problems by teenagers' cyberbullying behavior in consideration of education to improve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access to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to improve dependence on smartphones. Furthermore, in order to efficiently manage excessive use of smartphones, a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and practice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for smartphone management education and prevention of overdependence.

      • KCI등재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학교생활적응과 일상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장성화 ( Sung Hwa Jang ),최은희 ( Eun Hee Choi ),이주연 ( Ju Yeon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이 학교생활적응과 일상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생 321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초등학교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 학교생활적응, 일상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의 상관관계 분석, 심리적 안녕감과 학교생활적응, 자아탄력성, 학교생활 적응과 자아탄력성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과 일상생활스트레스, 일상생활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안녕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이 일상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일상생활스트레스를 낮게 지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아탄력성이 부분매개 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안녕감이 일상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아탄력성이 부분매개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in the effect of elementary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on adjustment to schol life and everyday life stress.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study targeted at 321 children who were enrolled in th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The study used SPSS 20.0 program to collect the data an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ary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djustment to school, everyday life stress, and ego-resilience shows that psychological well-being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ego-resilience,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also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go-resilience.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veryday life stress, and also between everyday life stress and ego-resilience. Secondly, regarding the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the result shows that a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was higher, the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of adjustment to school life was higher. The result of examin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n everyday life stress shows that a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was higher, the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of everyday life stress was lower. Lastly, the psychological well-being had a positive(+) effect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ego-resilience was working as a partial mediating facto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had a negative(-) effect on everyday life stress, and ego-resilience was working as a partial mediating factor.

      • KCI등재

        대학생의 교우관계, 역기능 가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장성화(Sung-Hwa Jang),천영희(Young-Hee Chun),함성수(Seong-Soo Ham)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6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우관계, 역기능 가정 및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교우관계와 역기능 가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에 소재한 3개의 대학생 415명을 대상으로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교우관계, 역기능 가정,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교우관계,역기능 가정,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 중 갈등 및 불신과 대학환경적응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높은 변인은 갈등해결, 문제의 부모, 인정과 관심 순으로 나타난 반면, 그 외 모든 하위변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예측변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생활 부적응에 대한 예방과 대학생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심층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여러 가지 정책에 대하여 시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dictors of peer relationship and the dysfunctional family on life adjustment in university. The participants of study were 415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province. A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convenient sampling,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peer relationship, dysfunctional family and life adjustment in university, all of the subvariables except for conflict, distrust and university of adaptation show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in order of significance, conflict resolution, problem parents, recognition and attention variables significantly affected life adjustment in university. This has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of misfit university students, the related program development, and various policy establish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