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담·심리치료 분야에서 인테리어 디자인을 융합하기 위한 ‘인테리어 테라피’ 교육프로그램 모형의 방향성 연구 - 한국과 미국의 미술심리치료교육 현황조사를 중심으로 -

        장미정(주저자) ( Jang¸ Mi Jeong(주저자) ),장미정(교신저자) ( Jang¸ Mi Jeong(교신저자)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1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0 No.1

        본 고의 연구목적은 상담 및 심리치료 분야에 인테리어 디자인을 융합한 인테리어 테라피 교육프로그램 모형의 방향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한국과 미국의 심리치료관련 및 미술치료교육의 현황파악을 통해 인테리어 테라피의 프로그램 목적, 주요영역, 구성 원리, 활동내용을 파악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목적은 실내디자인 분야에서 새로운 직업으로서 인테리어 심리치료사를 양성하는데 있다. 둘째, 프로그램 주요영역은 정서적·인지적·행동적 요소의 통합을 통해 정서·인지·행동의 통합적 교수법으로 한다. 셋째, 프로그램 구성 원리는 심리학적 원리가 주가 되고 내담자의 심리적 흐름과 변화에 따라 미술매체로서 인테리어 테라피의 구성요소를 적용한다. 넷째, 프로그램의 활동내용은 초기단계의 정서적 측면활용(향기, 사운드, 이미지 콜라쥬), 중기단계의 인지적 측면활용(풍수테라피, 라이팅테라피, 가구재배치 및 제거), 후기단계의 행동적 측면활용(원예테라피, 가드닝, 테이블 데코레이션)으로 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인테리어 디자인 분야에서 상담 및 심리치료교육 분야와의 첫 융합연구로서 향후 대학에서 성인학습자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terior therapy education program in which counselling techniques and psychotherapy are used in mix in the area of interior design. The study covers ranging from developmental stage, developmental area, and education target focused on designing the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is grounded on literature review, analysis on results, and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is aimed at developing a profession of interior psychotherapist in the area of interior design. Second, the education program adopts on integrative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teaching methods. Third, the program is mainly based on psychological principles and partly applies a concept from the interior design as part of an art therapy according to the counselee’s psychological changes. Fourth, the earlier step of the program is emotional activities(i.e. aroma, sound, and image collages) while the middle step is cognitive activities(i.e. Feng Shui therapy, lighting therapy, and furniture replacement) and the later step is behavioral activities(i.e. therapeutic horticulture, gardening, and table decoration). This study is to use a basic guide to appl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interior therapy education program for adult learners in college.

      • KCI등재
      • KCI등재

        에살하돈 조약 저주와 신명기 언약 저주(28장) 비교 연구에 대한 새로운 제언

        장미자(Mi-Ja Jang)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09 Canon&Culture Vol.7 No.1

        BC 3000년 기에서 1000년 기까지 내려온 고대 중동의 저주 목록은 공통 구조와 개념을 반영한다. 저주 목록의 이러한 특성은 고대 중동의 각 나라가 다른 나라와 문화적 교류가 자유로웠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삶의 정황, 기후와 생태계도 거의 동일하고 저주의 내용도 고대 중동 사람들의 국가적-개인적 관심사를 반영하기 때문에 저주 개념이 상응한다. VTE 저주와 신명기 28장 언약 저주 사이에 나타난 유사성에 의해 전자가 후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견해는 구약학계에 널리 지지되고 있다. 그러나 이 두 문헌이 보여주는 구조와 주제가 유사하다고 해서 상호간에 문헌적 의존성을 주장할 수 없는 것은 두 문헌 모두 BC 2000년 기 저주 문헌의 구조와 주제를 반영하고, 고대 중동의 필사가들의 저작 기법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VTE 저주와 신명기 언약 저주에 나타난 저주의 개념은 소수를 제외한 나머지는 완전히 다르다. 후자의 저자가 전자를 번역했을 것이라는 주장은 타당하지 않은 것은 고대중동의 필사가들의 원문의 의미를 왜곡해서 번역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VTE 저작 연대가 분명하다고 해서 신명기 28장을 동일한 연대로 보는 견해는 고대 중동의 필사가들의 저작기법에 비추어 볼 때 지지될 수 없다. BC 2000년 기와 1000년 기의 조약에 대한 연구는 신명기 28장 저작 연대 이해에 중요한 단서(端緖)를 제공할 것이다. The lists of ancient Middle East curses from the third coming down to the first millennium B. C. share the common structure and concepts. This characteristic of the lists of curses show the cultural distinction was not sharp distinguished from one to another countries. The circumstances of life, climate and ecology was almost same, and also the contents of curses reflect the peoples’ interests on the individual and national concerns, thus the concepts of curses are corresponding. The view on the similar curses between the curse of VTE and covenant curses of Dt 28 indicate that the former influenced on the latter is widely accepted in the Old Testament scholarly world. But the similar structure and concepts existed in the two literature do not support an literary interdependence from one to another. These literature both reveal the structure and the concepts of curses from the second millennium B. C. and the same method of working on curses used the ancient middle East scribes. Except for a few concepts of curses between VTE and Dt 28, others are completely different. A view that the writer of the latter translated the former is not convincing at all, since the ancient scribes did not translate, violating the meaning of the original. An attempt to date Dt 28 according to that of VTE is not sustained in the light of the way of writing used ancient scribes. A study of the treaties from the second down to the first millennium B. C. will provide a key understanding in relation to the date of the writing of Dt 28.

      • KCI등재

        영미 현대시와 동아시아 전통

        장미정 ( Jang Mi-jung ) 영미문학연구회 2020 안과 밖 Vol.0 No.48

        This paper reviews recent studies on East Asian influence on modern Anglo-American poetry and their responses to Edward Said’s critique of Orientalism. East Asian influence on modern Anglo-American poetry is a relatively lately established field of study. The study began with pioneering works by a number of distinguished scholars in the 1950’s and 1960’s, but it had not developed significantly until the 1990’s when groundbreaking researches began to appear. This paper explores three major approaches taken by different groups of researchers. The first is by the researchers with Western backgrounds. They seek to redefine Modernism (or modernisms) as an international, multicultural, and cross-cultural movement emphasizing the East Asian vein in it. The second is by those with East Asian backgrounds. While they are still interested in redefining Modernism, these critics tend to underscore the agency of East Asian tradition through which the movement was established. Thirdly, there are Asian American researchers who hold an ambivalent view on the legacy of the modernist orientalism. They contend that the legacy has become both a challenge to and an opportunity for emergent Asian American poetry. Most researchers question the relevance of Said’s critique of Orientalism to the field. While some are deadly negative, others hold skeptical views that Said’s criticism seals off the possibility of representing the Other.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the Saidian critique does not necessarily negate East-West cultural exchanges and, as a conclusion, proposes that further investigations on this field will help develop new perspectives less prone to the critique.

      • KCI등재

        자폐성장애 학생의 읽기 특성, 교수 실제 및지원 방안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

        장미순 ( Mi Soon Jang ),이미경 ( Mi Kyung L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1

        읽기 교과는 자폐성장애 학생의 교과 학습 및 직업을 얻고 유지하는데 있어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나 자폐성장애 학생이 지니는 고유의 특성으로 인하여 현장의 교사들은 읽기 지도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특수교육 현장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자폐성장애 학생의 읽기 특성을 어떻게 인식하며. 읽기 지도의 실제는 어떠하며, 이들을 위한 읽기 지도를 위한 지원방향은 어떻게 되어야 하는 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 3개의 상위 주제에 따른 9개의 하위 주제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특수교사들은 자폐성장애 학생의 읽기 특성에서 인지, 언어, 의사소통 및 협소한 관심과 수동성으로 어렵지만, 단어재인 능력과 학습능력에서 뛰어난 장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자폐성장애 학생에게 읽기 지도를 할 때 두드러진 점은 시각적 매체의 활용과 체험을 중심으로 한 통합적 접근으로 나타났다. 셋째, 효과적인 읽기 교수를 위한 방안으로 수업 시 활용 가능성이 높은 프로그램의 개발을 많이 요구하였다. 또한 자폐성장애 학생의 읽기 지도를 위해서는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이 강화될 필요성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t is very important to teach students with ASD to read because it will be crucial prerequisite components for their future employment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but the teachers in the field feel difficulties for teaching them reading cause of ASDs‘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teachers perceived the characteristics of ASDs, how they taught them reading, and what needed to support for them to teach reading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3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ee main topics were identified and constructed through the interviews. the participants showed their perceptions toward students with ASD as follows: (1) it is pretty difficult to teach them to read because of their low cognitive levels and language impairment. but students with ASD had great priority on word recognition and learning abilities relatively. (2) it was effective to use visual prompting materials with other multiple instructional methods and applying integrated approaches which were based on their experiences. (3) they showed a desire to develop instructional programs which could be implemented during their class. The participants also showed a strong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curriculum modifications. We discussed on how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 students with ASDs to rea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 KCI등재

        서울시 대표경관의 야간 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장미래(Jang, Mi-Rae),신근창(Shin, Geun-Chang),양승우(Yang, Seung-Woo) 한국도시설계학회 201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2 No.5

        본 연구는 점차 활동인구가 증가해 중요성이 높아지는 야간시간에 주목하여 서울의 대표경관을 대상으로 야간 이미지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서울의 대표경관에 대한 인지순위를 조사하고, 주ㆍ야간으로 떠오르는 이미지 비율과 그 요소를 조사하였다. 이 중 야간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인지요소를 유형화하고 특성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인지순위 조사에서는 남산의 인지도가 가장 높게 분석되었고, 대표경관에 대한 인지순위가 상위권(1-3위)일수록 야간의 이미지로 인지되는 비율이 높은 특징을 보였다. 둘째, 야간의 이미지 요소는 경관, 시설물, 장소성, 환경지각, 기타로 구분되었으며 경관과 장소성에서 두드러진 특징을 보였다. 셋째, 구분된 요소들은 조망형, 랜드마크형, 활동형, 상징ㆍ인지형과 이 유형들이 서로 조합된 형태로 야간 이미지가 인지되는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직 기초적 연구결과이지만 보완을 통해 서울의 야간 대표경관이라 할 수 있는 남산, 한강, 청계천에 대해서 야간경관계획과 관리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ightscape image with the focus on the representative urban landscape in Seoul in the light of the importance of night time activity. Main research method was a questionnaire survey to a focus group with specialized in related fields. The survey asked about the representative urban landscape of Seoul during day and night respectively, which ranked in order and divided the ratio and impact factors of image cognition. The result drew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gnitive factors focused on representative nightscape images of Seoul. Firstly, Namsan is ranked the most top representative image of Seoul from the survey, and the first top three among the representative images in the rank are related to the nightscape of each landscape. Secondly, the basic components of the nightscape images are divided into urban landscape, physical structure, and sense of place, environmental cognition, and so forth. In particular both ‘urban landscape’ and ‘sense of place’ are outstanding elements for identifying representative images. Thirdly, these classified components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such as view, landmark, activity, and symbolic cognition. it finds that representative nightscape images are cognized by combining each type all together, and expects to be a guideline and provide a new perspective for an urban nightscape master plan for Namsan, the Han River, and the Cheong Gye Ch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