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로서 온라인 애드버게임(Advergame)의 효용성 연구
장동련,홍성민,구유리,함승연 한국기초조형학회 2007 기초조형학연구 Vol.8 No.4
전통적인 미디어가 더 이상 예전만큼 성공적이지 못한 것은 자명한 현실이다. 기술력의 진보 및 대중 매체의 발달에 따라 미디어 통합이 일어났으며, 이와 함께 등장한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는 소비자가 “즐기는” 광고의 장을 열어 주었다. 하지만 인터넷 중심의 현대사회에서 ‘온라인’이 브랜드 광고를 위한 이상적인 공간으로 평가받는 것은 그리 놀랄만한 일이 아니며, 더욱이 현대 소비문화를 주도해 나가고 있는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소비자에게 단순히 보여 지고 주어지는 광고는 더 이상 설득력이 없다. 현대의 소비자들은 직접 매체에 뛰어들어 스스로의 컨텐츠를 만들고 관여하고 즐기는 것을 추구하게 되었으며, 자신과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새로운 광고 수단을 필요로 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부흥할 수 있는 브랜드 광고를 위한 새로운 수단으로서 광고(advertising)와 게임(game)을 통합시킨 애드버게임(advergame)에 대해 분석해보고, 온라인상에서 애드버게임의 활용방안과 효과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 분석을 위한 방법론으로 경험적 자료에서 이론을 구축하는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보다 심층적인 이용자의 내면통찰을 통해 애드버게임의 활용과 효과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핵심범주로 경험제공 효과, 엔터테인먼트 강화 효과, 사용자 관여 효과, 브랜드 이미지 제고 효과, 그리고 상품 구매 촉진 효과 등 애드버게임의 다섯 가지 효과가 도출되었다. It is obvious that conventional media are no longer successful. With the progress of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media convergence has appeared and branded entertainment has opened a place of "enjoyable" advertisement for consumers. However, in this Internet-based modern society, it is not so surprising that "online" is regarded as an ideal space for brand advertising, and moreover, simply displayed advertisements no longer impress active and independent consumers leading the modern consumption culture. Since modern consumers generate and enjoy their own contents, they require new advertising means interacting with themselve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advergames, connecting advertisement with games, as a new means for brand advertising in line with current circumstances and suggested the use plans and effect of advergames online. As an analytical method,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and effect of advergames through more in-depth insight to users' minds by applying a grounded theory from empirical data. As a result, five core categories of advergames were found as follows : experience providing effect, entertainment strengthening effect, user involvement effect, brand image improving effect and product purchase promoting effect. The study found that these five categories are correlated one another and are formed complicatedly.
장동련,신연우 한국기초조형학회 2009 기초조형학연구 Vol.10 No.2
Korea grew rapidly with development-centered policy. However, interest in city image has been risen in the wave of globalization, many cities make more effort than ever to build city brand. Recently, public design comes into spotlight as a method to build better urban environment and improve city image. Almost all the cities' image is not existing therefore, creating city image is needed. Induction and management of total design are required to build integrated urban environment though there may be difficulties for lack of experience. Urban design is undertaken by public institution and local government and should be useful and comfortable for people without distinction of age or sex. However they don't have any experience on design-centered works therefore, well organized system needs to be set and utilized. Consequently as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creating city image, total design management should be introduced and applied positively.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short and long range urban design plan which reflects macro and micro point of view about city through indicating direction to create city image by total design management. 우리나라는 그동안 개발중심적 정책을 기반으로 급속도로 성장해왔다. 도시맥락과 문화, 관계에 기초한 개발이 아닌, 개발자 중심의 도시계획과 개발을 해오면서 삶의 질과 행복에 대한 배려가 없는 환경을 구축해왔다. 그러나 세계화의 물결 속에서 도시이미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각 도시들은 도시브랜드 구축에 과거 어느 때보다 힘을 쏟고 있다. 최근에는 보다 나은 도시환경을 구축하고 도시이미지를 개선의 수단으로 공공디자인이 주목받고 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도시들은 도시이미지가 부재하고 있어 도시매력도를 저해하고 있으며, 나아가 확고한 국가브랜드 구축에도 장애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부정적이거나 부재했던 도시이미지를 탈피하고 새로운 도시이미지 창출이 필요하다. 아울러 통합된 도시환경 구축을 위해서는 통합 디자인에 대한 도입과 관리가 필요하나 이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여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된다. 도시디자인은 지자체 및 공공기관이 사업주체가 되어 이루어진다. 도시디자인은 공공성이라는 개념을 기본으로 하며,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모든 사람들이 사용하고 생활하기에 편리해야한다. 그러나 도시디자인의 주체인 지자체 및 공공기관은 디자인이 중심이 된 사업추진 경험이 많지 않다보니 통합적인 도시환경을 만드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보다 체계적인 도시디자인 관리시스템을 구축해 활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통합적 디자인관리 체계로서 통합디자인경영을 도입하여 적극적인 활용을 도모하여야 하겠다. 본 연구는 통합디자인경영을 통하여 도시이미지를 창출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도시에 대한 거시적, 미시적 관점을 반영한 장·단기적인 도시디자인 계획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장동련,차승희 한국기초조형학회 2008 기초조형학연구 Vol.9 No.4
In general, pre-existing urban design has been partially implemented. Besides, various problems including insufficient synthetic consideration and understanding of related sciences and institutions have been revealed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urban design. Recently, however, efforts have been made to express visually synthetic urban culture which can represent the index of national power. For this, newly-changed stereoscopic and qualitative urban spatial policy -not flat and quantitative urban spatial policy- is needed. This paper suggests new strategy after analyzing present condition of domestic and foreign urban design. First, visual information about urban distance should be sectionalized and be exteriorized into easily readable design. Second, publicity system should be developed and information network should be constructed to systemically connect various urban information delivery media which are currently installed. Finally, the standard for classifying street furniture which form urban environment should be prepared and flexible coordination is necessary to implement more systemic urban design. National competitiveness arises from human-friendly and eco-friendly matter, not from the matter among nations. The very small thing is the real global thing. City will be able to establish direction and system through such a strategy : developing design which is integrated with identity, information, life and Interactive. Innovative outcome which can stimulate the five senses in the integrated media era establishes identity of city as well as of citizen and enhances the value. Furthermore, it will have an effect on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현대 디자인경영 리더십과 체인지 매니지먼트에 관한 연구
장동련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 연구소 2002 미술디자인 논문집 Vol.- No.7
One of the most difficult challenges of recent design leadership has been how to strategically implement the change management process that is best suited for today's challenging environment. As rapid changes occur almost daily and evolve into unpredictable forms the modern design organization is faced with making sudden critical decisions that will have a major influence in terms of specializations and creating new design markets.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integral factors for change taking place within the design market environment and further analyze its organizational impact on effective design leadership for the future.
장동련,이예림,정정호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8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3
Background Presently, to cope with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mportance of design convergent R&D is being stressed as a way to produce creative value from innovative products and services. However, design industry has to come up with plans for design convergent R&D realistically in terms of the low competency of companies for R&D investment, lack of politic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or disconnection in creative and practical education at school. Methods He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strategic model of design convergent R&D centers for future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that allows government, local governments/public institution, private companies, and schools to be in a virtuous circle. This author suggests the value of it through status analysis grounded on Desk Research, in-depth expert interviews and surveys, and also analysis on overseas excellent cases. Result Based on the results, this researcher suggests ① the extension of developing design-led interdisciplinary convergent programs, ② the establishment of organically cooperating organizational systems between companies and schools, and ③ the obtainment of diversity in the agents of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for example, government agencies/local governments, private companies, and schools. Conclusion This author expect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allowing government agencies/local governments, private companies, and schools to grow together and create the ecosystem of national convergent industry grounded on design and creativity afterwards. 연구배경 현재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응하고 혁신적인 제품·서비스의 창의적 가치창출을 위해 디자인융합R&D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디자인산업은R&D 투자에 대해 기업의 역량부족, 정부정책의 미흡한 정책지원, 학교의 창의실무교육의 단절 등 현실적인 측면에서 디자인융합R&D의 대안이 필요하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는 정부, 지자체/공공기관, 민간기업, 학교가 선순환 할 수 있는 미래 산학협력의 디자인융합R&D센터의 전략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데스크리서치를 통한 현황 분석, 전문가 심층인터뷰 및 설문조사, 해외 우수선진 사례분석을 통해 가치제안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로 ① 디자인 주도의 타학문간의 융합 프로그램 개발 확대 ② 기업-학교간의 유기적인 상호협력 조직체계 구축 ③ 지자체/공공기관, 민간기업, 학교의 산학협력 주체의 다양성 확보를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정부기관, 지자체/공공기관, 민간기업, 학교가 미래 동반성장할 수 있는 협력체계 구축함으로써, 디자인창의 중심의 국가융합산업 생태계를 기대해본다.
공공 공간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디자인 전략 연구 : 인천국제공항 입국 심사장을 중심으로
장동련,권승경,민자경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6
The public space is extended from the existing study range in the aspect of physical environmental feature and the image of place, the concept of service is being magnified as a new concept because the experience of recent user is becoming important. However, the in-depth study applied with service design is inadequate yet. This study was to limit the research range into the port of entry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s a public place and suggest effective strategies and directions of service system design in the future. Before the diagnosis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e looked carefully into the concept, component and process of service system design and drew an implications through international case studies. The core value was drawn through the investigation from users and professionals. Based on it, the quickest experience 2.0 (Agility with Empathy) was drawn as a basic concept of service system design strategy for the port of entry. Based on the basic concept, we suggested design primers for three different level of service design, place blending design and interior design. It definitely can be used as a basic research and a guideline for making design for the port of entry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n the future and it is expected to have significance as a basic study of service system design which the study is still inadequate. 공공 공간은 물리적 환경의 특징과 장소의 이미지 측면에서 연구되던 기존의 연구 범위에서 확장하여, 최근 사용자 경험이 중요해지면서, 서비스 차원의 개념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서비스 디자인을 적용한 심도 있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공 공간으로서 인천국제공항 입국 심사장으로 연구 범위를 제한하고, 향후 효과적인 서비스 시스템 디자인 전략과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인천국제공항의 진단에 앞서, 서비스 시스템 디자인의 개념 및 구성요소와 프로세스를 살펴보고,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공항 이용객과 전문가 조사를 통해 핵심 가치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인천국제공항 입국 심사장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디자인 전략의 기본 콘셉트로 ‘신속한 경험 2.0(Agility with Empathy)’을 도출하였다. 기본 콘셉트를 기준으로 서비스 디자인, 장소 브랜딩 디자인, 인테리어 디자인의 세 가지 차원으로 디자인 기본 지침을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인천국제공항의 입국 심사장의 디자인 실행을 위한 기초연구 및 가이드라인으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아직 연구가 미비한 서비스 시스템 디자인의 기초적 연구로서도 의의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