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부표층각막이식술에서 전층각막이식술로 전환한 환자에서 발생한 이중데스메막 1예

        임종찬,김홍균,이준훈,Jong Chan Im,Hong Kyun Kim,Jun Hun Lee 대한안과학회 2014 대한안과학회지 Vol.55 No.3

        Purpose: To report a case of double Descemet's membrane in a patient who had penetrating keratoplasty after rupture of Descemet's membrane during deep anterior lamellar keratoplasty (DALK). Case summary: A 24-year-old female had keratoconus in her right eye and underwent DALK for treatment. Descemet's membrane was ruptured while separating the corneal stroma from Descemet's membrane with the big bubble technique. The operation method was changed from DALK to penetrating keratoplasty. Detached Descemet's membrane was observed in the anterior chamber after suturing. Sterile air was injected into the anterior chamber to attach the Descemet's membrane. Five days after the surgery, Descemet's membrane was detached and a second air injection was performed. Corneal edema was improved but Descemet's membrane was re-detached. Double Descemet's membrane was observed by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The detached Descemet's membrane originated from the recipient's cornea and not from the donor's cornea. Detached Descemet's membrane was removed successfully. Patient's cornea was clear and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as 20/25. Conclusions: When penetrating keratoplasty is performed instead of DALK, the surgeon should completely remove the remnant corneal stroma and Descemet's membrane. Remnant Descemet's membrane can be disregarded as it comes from the donor cornea. Unnecessary anterior chamber air injection causes endothelial damage. Anterior segment OCT is a useful tool to identify anatomical structures of transplanted cornea.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3):449-453

      • KCI등재
      • KCI등재

        양수과다증이 임신성 당뇨 산모의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

        임종찬 ( Im Jong Chan ),이희종 ( Lee Hui Jong ),김행수 ( Kim Haeng Su ),양정인 ( Yang Jeong In ),김준형 ( Kim Jun Hyeong ),유희석 ( Yu Hui Seo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5

        목적 : 임신성 당뇨 임부에서 발생하는 양수과다증이 임신 및 신생아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아주대학교 병원에서 NDDG 기준에 의해 임신성 당뇨로 진단된 277명의 단태 임신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임신부들은 초음파검사상 양수 지수가 10-24인 대조군 (254명)과 24 이상인 연구군 (23명)으로 분류하였다. 산모와 신생아의 임상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통계학적인 검증은 Student t-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와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고 p<0.05를 유의하다고 하였다. 결과 : 양 군 사이에 임신부의 나이와 산과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조기 진통은 대조군보다 연구군 (4.3% vs. 34.8%, p<0.001)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아두골반 불균형이나 진행 장애에 의한 제왕절개분만, 전자간증, 태반 조기박리 등의 모성 합병증의 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신생아 합병증으로는 연구군에서 유의하게 재태연령 (38.2±1.4주 vs. 36.7±2.5주, p<0.05)이 짧고, 출생시 평균 체중 (3,405.0±595.2 gm vs. 3,701.3±757.9 gm, p=0.026)이 무거웠다. 거대아 (13.0% vs. 47.8%, p<0.001), 과출생체중아 (24.8% vs. 60.9%, p=0.001), 조산 (5.1% vs. 39.1%, p<0.001), 신생아의 중환자실 입원 (7.1% vs. 34.8%, p=0.05), 호흡기계 합병증 (3.9% vs. 21.7%, p<0.001), 고빌리루빈혈증 (11.0% vs. 47.8%, p<0.001) 등의 빈도는 희귀분석을 이용하여 재태연령을 보정한 후에도 연구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 임신성 당뇨 임신부에서 발생하는 양수과다증은 조산과 신생아 호흡기계 합병증 등은 증가시키지만 조기 진통을 제외한 모성 합병증은 증가시키지 않았다. Objective : To determine whether hydramnios occurring in pregnant women complicated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affects maternal and neonatal outcomes. Methods : We evaluated 277 pregnant women with singleton pregnancies and GDM diagnosed by the National Diabetes Data Group (NDDG) criteria. The study group was consisted of 23 pregnant women diagnosed as hydramnios (Amniotic fluid index ; AFI>24㎝) by ultrasonography, and the control group was consisted of 254 pregnant women with normal AFI (10-24㎝). REtrospective review of maternal and neconatal outcomes in these women was performed. Student t-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statistics.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aternal age and parity between the two groups. The frequency of preterm labor was higher in the study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4.3% vs. 34.8%, p<0.001). The frequencies of cesarean delivery due to cephalopelvic disproportion or failure to progress, preeclampsia, and placental abrup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study group showed significantly shorter gestational age (38.2±1.4 weeks vs. 36.7±2.5 weeks, p<0.05) and heavier neonatal birth weight at delivery (3,405.,±595.2 gm vs. 3,701.3±757.9 gm, p=0.026). The frequencies of preterm birth (5.1% vs. 39.1%, p<0.01), macrosomia (13.0% vs. 34.8%, p<0.001), admission to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7.1% vs. 34.8%, p=0.050), neonatal respiratory complications (3.9% vs. 21.7%, p<0.001), and hyperbilirubinemia (11.0% vs. 47.8%, p<0.001) were higher in the study group even after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controlling gestational age. Conclusion : Hydramnios occurring in pregnant women with GDM may be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preterm birth and neonatal respiratory complications, but not associated with adverse maternal outcomes, except preterm labor.

      • KCI등재

        다각적 관점에서 본 시조 형식 연구

        임종찬(Im Jong-chan) 한국시조학회 2009 시조학논총 Vol.30 No.-

        이 논문에서 밝힌 바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태 일반적으로 말해온 음수율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각 숫자는 음보율에서는 음보 단위가 되고 있다. 현대시조에 와서는 자수의 넘침이 고시조보다 심한 경우가 있지만 대체로 아래 표로 정리될 수 있겠다. 초장 3(2 - 4) ? 4(3 - 5) v 3(4 - 5) ? 4(3 - 5) 중장 3(2 - 4) ? 4(3 - 5) v 3(4 - 5) ? 4(3 - 5) 종장 3(고정) ? 5(6 - 7) v 4(3 - 5) ? 3(4) 둘째, 문장구조의 측면에서 시조 형식을 살펴본 결과는 이렇게 설명된다. 1) 각 장은 수식어를 극도로 배제하여 논리전개를 명확하게 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고시조는 시의 형식을 취하지만 언어로서 논리 정연한 문장이었다. 사고의 배치가 안정되고 전달내용이 정제되어서 의미의 혼란을 야기시키지 않았다. 2) 고시조는 의미와 의미의 연결을 확실히 하여 텍스트로서 단단히 결속되어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즉 고시조는 어느 것이나 장과 장 사이에는 연결성 (응결성, 응집성)이 확실하게 존재하고 있어 의미의 맥락이 정돈되고 마무리 된다. 3) 종장의 앞에는 비록 생략되어있지만 의미상 ‘그래서’ ‘그런데’라는 접속부사가 한정적으로 놓인다는 점이다. ‘그래서’ ‘그런데’ 가 놓여야 종장이 말하는 의미의 마무리가 확보하게 되는데 고시조는 이런 접속부사가 생략되어 나타나고 있다. 4) 시조의 각 章의 문장은 다음 4가지 형태로 짜여 있어서 안정된 기반을 갖추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정형시는 시행이 통사적 제약을 받는 경우가 많다. 漢詩의 七言詩의 경우는 의미맥락이 4와 3으로 나누어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고시조는 다음과 같이 짜여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ㄱ) 주어구 + 서술어구 ㄴ) 전절 + 후절 ㄷ) 위치어 + 文 ㄹ) 목적어구 + 서술어구 이렇게 짜여 있기 때문에 시조를 일러 3장 6구라고 한다. 이것은 시조가 정형시임을 입증하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볼 때, 시조형식을 음수율, 또는 음보율로 설명한다 해도 음수율을 가미한 음보율로서 설명되어야 하겠고, 문장구조조상의 형식을 보충해야만 보다 충실한 시조형식을 설명하게 된다고 할 수 있겠다.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the authentic syllable count of siio can be summed up as following: 〈Table〉 Variations in the Syllable Count of Sijo 〈이미지 참조〉 Second, the structure of the statement can be summed up as following: 1) Each statement extremely excludes the use of modifiers to clarify the development of the logic. 2) The meaning of each of the three statement, chojang (the 1st statement), jungjang (the middle statement) and jongjang (the last statement), is connected to the previous one closely, so the text as a whole is perfect. 3) The last statement identifies itself as the conversion or conclusion of the whole text. Therefore, the last statement should begin with a connective adverb like 'Therefore' or 'Then'. But in ancient suo works, this sort of connected adverb is normally omitted. 4) Each statement of sijo is composed of one of the 4 structures suggested below: a) subjective phrase + predicative phrase b) the formal clause + the latter clause c) location-indicating phrase + sentence d) objective phrase + predicative phrase Since the text of a sijo work is formed like this. siio is said to be composed of three jang (statement) & six su (phrase). which is the very feature that proves that siio is a fixed form of ve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