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학습 및 수행 지원을 위한 통합체제로서의 e-HRD 시스템

        임정훈(Jung-Hoon Leem)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2 역량개발학습연구 Vol.7 No.3

        이 연구는 최근 대기업이나 중소기업, 공공기관 등에서 HRD 업무의 효율화 및 체계화를 위해 활발하게 도입·구축하고 있는 e-HRD의 주요 특성을 개념화하고, e-HRD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전략과 방향을 탐색하며, 효과적인 e-HRD 시스템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주요 과제들을 검토해 봄으로써 향후 국내 기업에서의 바람직한 e-HRD 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전자화된 시스템을 활용한다는 의미인 ‘e’와 학습과 수행을 지원하는 인적자원개발을 의미하는 ‘HRD’가 합성된 용어로써, e-HRD를 “조직의 성과 향상을 목적으로, 최첨단 컴퓨터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 및 수행 시스템을 통해 개인 및 조직의 전문성 개발을 총체적으로 지원하는 과정이나 활동”으로 개념화하였다. 아울러, 이 연구에서는 개인개발, 경력개발, 조직개발 모두를 통합적으로 지원 가능한 토털 시스템, 형식학습과 비형식학습, 유선 이러닝과 무선 이러닝 등 다양한 교육목적을 위해 활용 가능한 블랜디드 러닝 지원시스템, 긍정심리 자본에 기반하여 조직 구성원들이 갖고 있는 고유의 강점을 촉진시키고 지원하는 시스템, 성과향상을 위한 수행지원시스템, 그리고 소셜미디어, SNS 기반의 스마트 러닝 지원 시스템 형태로 e-HRD 시스템의 구축방향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향후에 보다 효과적인 e-HRD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기업교육 현장에서 고려해야 할 주요 과제들이 제시되었다. HRD system is defined as a total solution for developing individual expertise and expertise in organization through learning and performance support system based on cutting-edge computer technology. These electronic system can provide competency diagnosis system, career development program,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various types of tools for improving performance in workplace. While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or EMS(Education Management System) supports managing, administrating, tracking, evaluating, reporting and delivery of online education courses or training programs, e-HRD system provides both learning and performance experiences for support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human performance improvement. In this study, total solution for supporting ID, CD, and OD together, blended learning system for linking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e-Learning and m-Learning, system for facilitating learners` own strengths, performance support system for human performance improvement, and smart learning system based on social media, social network service were recommended as development strategies of e-HRD system. In conclusion, some future tasks for developing effective e-HRD system were discussed.

      • 교원 원격교육연수원의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 탐색

        임정훈(Leem Jung Hoon),임병노(Lim Byung Ro),이준(Lee June)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8 韓國敎育論壇 Vol.7 No.1

        이 연구는 e-러닝을 통한 원격 교원연수를 담당하고 있는 전국 원격교육연수원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원격교육연수원 유형별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탐색해 봄으로써, 현장 교사들을 위한 원격교육원연수원의 올바른 운영 및 발전방안을 제안해 보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는 설문조사의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를 위한 분석 대상은 전국의 48개 시도 원격교육연수원이었다. 설문내용은 원격교육연수원 운영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운영형태, 인가과정들의 특징, 운영과정과 수강인원, 수강료, 시스템 운영방식, 담당인력 현황 등을 묻는 문항들과 함께 연수원 담당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연수원 운영 및 교원 원 격연수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묻는 문항들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콘텐츠 설계 유형이 단순하고 LMS(학습관리시스템) 미확보, 전문인력 운영상의 문제점들이 확인되었으며, 향후 원격교육연수원 운영의 개선을 위하여 다양한 e-러닝 콘텐츠 개발, 홍보, LMS 및 전문운영인력 확보, 정부차원의 행ㆍ재정적 지원, 연수원간 교류ㆍ협력 확대 등이 지적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ways of facilitating teacher training in distance education environment by establishing a government-led distance teacher training center, in which a variety of support services might be provided for effective and efficient teacher training.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we conducted survey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problems, and future tasks of the distance teacher training center(DTTC). From the survey results, the simplicity of design types of e-Learning contents, non-building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s, lack of professional staffs in distance education and educational technology were found as problems in managing and implementing the DTTC. Finally, Development of various e-Learning contents, public relations of the DTTC, employment of experts in the field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professional online facilitator,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rom Ministry of Education,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private DTTC and public DTTC were suggested as useful implications that should be done to develop the DTTC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스마트교육 콘텐츠 품질인증기준 개발 연구

        임정훈 ( Jung Hoon Leem ),임병노 ( Byung Ro Lim ),성은모 ( Eun Mo Su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4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0 No.3

        이 연구는 본격적인 스마트 시대를 맞아 교육현장에 활발히 보급·확산되고 있는 스마트교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고 양질의 스마트교육용 콘텐츠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를 목적으로 스마트교육 콘텐츠 품질인증기준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이러닝, 멀티미디어 콘텐츠, 디지털교과서, 모바일러닝과 스마트러닝, 소프트웨어를 위한 평가준거 및 품질인증 관련기준과 해외 품질인증 및 질 관리 기준들을 탐색하여 스마트교육 콘텐츠 품질인증기준 초안을 도출하였으며 스마트교육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전문가협의회, 타당성 검사와 교육용 앱을 대상으로 한사례 분석을 거쳐 최종 품질인증기준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교육 콘텐츠 품질인증을 위한 일반 기준으로 내용영역 4지표, 교수학습지원영역 7지표, 화면 및 인터페이스영역 4지표, 관리영역 3지표, 기술영역 3지표 등 총 5영역 21지표 21문항이 개발되었으며, 우수 스마트교육 콘텐츠를 평가할수 있는 스마트영역으로 소셜네트워크 상호작용, 지능적 맞춤화, 자기주도적 창발성, 접근성, 상호운용성 표준, 끊김 없는 서비스, 기술의 혁신성 등 7지표 7문항이 추가로 개발되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품질인증기준들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스마트교육 콘텐츠 유형을 고려한 기준 개발, 비형식 콘텐츠들을 평가할 수 있는 준거 발굴, 스마트 콘텐츠 개발 전문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적용가능성탐색, 개발자와 심사자들이 스마트교육 콘텐츠 개발 및 심사시 활용 가능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t this smart learning period, Researchers tried to develop quality assurance criteria for smart learning contents in order to advance the quality of smart learning and suggest guidelines for the contents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the preliminary criteria by exploring existing evaluation criteria and QA guidelines of e-learning, multimedia contents, digital textbooks, mobile learning, and smart learning. After several workshops, validity checks, case analysis were done by experts in various areas, final QA criteria for smart learning were developed. As a result, four items in contents area, seven items in teaching-learning support area, four items in screen-interface area, three items in management area, and three items in technical area were suggested. Total 21 items, 21 questions in 5 areas were developed. In addition, we developed 7 special items for the quality contents - social network interaction, intelligent customization, self-directedness, accessability, interchangeability, seamless service, and innovation. For the validation of the QA criteria and items, some considerations should be made such as type-based criteria development, additional criteria development for informal learning contents, applicability tests in diverse areas, and concrete guidelines development for various stake-holders.

      • 모바일 학습(Mobile Learning)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의 설계 방향 탐색

        임정훈(Leem Jung Hoon)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9 韓國敎育論壇 Vol.8 No.1

        이 연구는 무선 인터넷과 이동통신기기의 발달로 인해 최근 교육 분야에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는 모바일 학습을 실제 초중등학교 현장에 적용하고자 할 때, 모바일 인터넷의 특성, 모바일 매체의 교육적 잠재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어떤 방향으로 교수학습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교수학습 설계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모바일 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설계 방향으로 교수자 중심 교실수업 진행모형, 학습자 중심의 콘텐츠 학습모형, 온클래스-오프클래스 연계 커뮤니티 모형, 그리고 온라인 토론학습 모형 등 네 가지 유형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모바일 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설계시 모바일 기기의 교육적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 모바일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과 모바일 ‘활동’ 중심의 수업이 있다는 점, 모바일 학습 전용 학습관리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을 개발ㆍ활용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특정 환경을 전제로 한 m-러닝모형과 개괄적인 측면에서의 모바일 학습 모형이 다르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 등이 연구의 결론으로 제안되었다. Mobile learning(m-learning) refers to the use of mobile and handheld IT devices, such as PDAs, mobile phone, laptop and tablet PCs, in teaching and learning setting. The use of wireless technology and mobile devices in education can affect learner motivation, communication skills, collaboration, teaching and learning styles. In this study, m-learning was defined in three ways: technical perspective, educational perspective, and extensive perspective. An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m-learning were summarized as mobility, instant connectivity, accessibility, learner usability, conciseness, self-directivity, interaction or collaboration. context, and motivation. Based upon these characteristics of m-learning, four types of instructional model for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were suggested: 1) teacher-centered classroom model, 2) learner-centered contents learning model, 3) community-based on-class/off-class model, and 4) an online discussion model with mobile interaction tools. Finally, some considerable implications for design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mobile learning were suggested.

      • KCI등재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탐색: 사례 연구

        임정훈 ( Jung Hoon Leem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1

        이 연구는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을 탐색하기 위하여 플립러닝 수업사례를 실제로 개발.운영해 보고 해당 수업에서 적용한 다양한 교수학습 전략들이 학생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어떤 교육적 유용성이 있는지를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I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학습을 위한 자료로서 이러닝 콘텐츠가 제공되는 ‘원격교육론’ 강좌와 동영상 콘텐츠가 제공되는 ‘교수설계론’ 두 강좌를 플립러닝으로 설계.운영하였다. ‘원격교육론’은 KOCW에서 제공하는 플래시 기반 이러닝 콘텐츠를 활용하여 사전학습을 수행한 다음 자기점검퀴즈 → 질의 및 응답 → 미니 강의 → 토론 및 팀별 활동 → 정리 및 차시예고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교수설계론’은 자기점검 퀴즈 → 질의 및 응답 → 토론 및 팀별 활동 →결과 발표 및 마무리 형태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수업 전 콘텐츠 유형에 따른 사전학습 참여도는 차이가 없었으며, 교수자는 동영상 콘텐츠를 개발할 경우 일반 수업의 두 세배 이상의 시간을 플립러닝 수업의 준비 및 설계에 소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중에 이루어지는 퀴즈, 미니강의, 질의 및 응답, 팀별 토론 및 공동 과제수행 활동, SNS를 활용한 오프라인 및 온라인 연계 활동 등은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플립러닝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예습 습관을 갖게 하고 학습자들간에 활발한 토론 및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구현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의 효과적 활용을 위하여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들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flipped learning and investigate their educational usefulness and effects in the context of higher education. ‘Introduction of Distance Education’ based on e-learning contents and ‘Understanding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instructional video clips were developed as case courses for flipped learning in I university. Participants who were involving in ‘Introduction of Distance Education’ and ‘Understanding Instructional Design for 16 weeks were 33 students (11 males, 22 females) and 43 students (16 males, 27 females). E-learning contents, instructional videos, quiz, mini-lecture, question and answer, team discussions and team activities, SNS-based communication were developed and used as mai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for flipped learning. Case study was used as research metho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class observation, instructer’s reflection journal, flipped learning experts discussion, questionnaires, in-depth interview with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were very useful for understanding and applying learning contents, and flipped learning based upon instructional videos improve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students. Finally, some implications and considerations for effective use of flipp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setting were discussed.

      • 초등학교에서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 쟁점과 과제

        임정훈(Leem Jung Hoon)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0 韓國敎育論壇 Vol.9 No.1

        이 연구는 최근 초등학교 현장에 미래 학습세대들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교수매체로 주목받고 있는 디지털교과서가 학교 교실현장에 활용되는데 있어서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과 쟁점들을 파악하고, 향후 어떤 방향으로 디지털교과서가 연구?개발되어 실천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초등학교에서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과 관련하여 도출될 수 있는 주요 쟁점은 크게 교육적 영향력과 교수학습 전략 및 방법 두 가지 측면으로 구분되었는데, 교육적 영향력과 관련하여서는 학습효과성 관련 문제, 인지적 정보처리 문제, 상호작용 및 커뮤니케이션 문제 등이 논의되었으며, 교수학습 전략 및 방법과 관련하여서는 디지털교과서 ‘중심’수업과 ‘보조’수업, ‘모형’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과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 ‘교수용’ 디지털교과서와 ‘학습용 디지털교과서’, 교실‘내’ 수업과 교실‘밖’ 수업을 연계한 교수학습전략 등이 논의되었다. 끝으로, 향후 디지털교과서의 연구?개발 및 활용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과제들이 몇 가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ain issues and future tasks on digital textbook as a new media for the future learning generation in elementary school setting. Main issues related to digital textbook-based instruction were categorized into two aspects: 1) educational impact, 2)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nd tactics used in the classroom. From the viewpoint of educational impact, learning achievement,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digital textbook were considered. In terms of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nd tactics, differences between digital textbook-centerd and assisted instruction, teaching-learning methods based on 'activities', teaching oriented or learning oriented digital textbook, linking strategies of in-classroom and out-classroom activities were presented. In conclusion, discourse about the future textbook, middle and long-term research on various influence of digital textbook, digital textbook design based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 development of supporting tools for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based on web 2.0/e-Learning 2.0, and search of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rom the viewpoint of the future class ecology were suggested as the future tasks for improving digital textbook-based instruction.

      • KCI등재
      • KCI등재

        "활동" 중심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수,학습 방법 탐색

        임정훈 ( Jung Hoon Leem ),임병노 ( Byung Ro Lim ),김세리 ( Se Ri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4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디지털교과서 활용의 활성화와 발전을 위하여, 교사와 학생의 교수·학습 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수·학습 방법을 탐색하고 현장 교사들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 명세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존의 교수·학습 모형, 절차, 방법들을 분석하여 분류기준을 도출하였으며, 그 기준을 토대로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수·학습 활동 유형을 추출한 뒤 주요 활동들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활동들은 현장 교사들로부터 용어의 명칭과 활동 타당성을 검토받고 현행 디지털교과서가 갖고 있는 주요 기능들을 추출함으로써, 교수·학습 활동과 디지털교과서의 기능들이 결합된 `활동` 중심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수·학습 활동 49가지를 확정·개발하였다.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수·학습 활동 명세서는 각 교수·학습 활동 유형별로 1) 활동 명칭, 2) 활동 개념 정의, 3) 활용 수업 단계, 4) 디지털교과서 활용 기능, 5) 활동 절차, 6) 활용시 유의사항 등의 요소들을 포함시켜 현장 활용이 용이하도록 개발하였다. 각각의 활동 유형들과 교수·학습 활동명세서는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교장, 교감, 교사 35명으로부터 타당성을 검증받았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제안된 교수·학습 방법의 현장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과제로서 1)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수·학습 활동의 사전교육, 2) 학습자들에게 디지털교과서 기반 다양한 정보처리 활동 연습 및 경험 제공, 3) 부가적인 ICT 도구나 학습자원을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의 설계와 적용, 4) 수준별 교수·학습 자원이나 전략의 고안, 5) 세부 교과별 교수학습 활동 명세서의 개발, 6) 실제 학교교육 현장 적용을 통한 문제점 개선 등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using digital textbooks and to develop their specifications in order to enhance teaching and learning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actual course management using digital textbook. First of all, we found the methods of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developed a framework to classify these methods using valid and reliable criteria. At the same time, we analyzed type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then selected activities appropriate in elementary schools. Next, the study focused on 49 types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with digital textbook. The second step of the study is to establish activity statement for each of the 49 activities mentioned above. The specification includes six items; 1) the name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2) the definition of their concept, 3) the procedure for using it in class, 4) the multiple functions of digital textbooks, 5) the process of the activities, and 6) the notices. Finally, The validation result of the specification, which was drawn out from survey to elementary teachers, showed that most of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scored higher than 3.0 out of 5.0 across six validation criteria. The aforementioned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supply and the dissemination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with digital textbooks are as follows: 1) in-service teachers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2)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for learners, 3) supplementary ICT materials and tools for more affluent learning resources, 4) individualized learning resources and strategies for all kinds of learners, 5) further development of specifications for every critical subject matters in the field, and 6) supplement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fter actual field t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