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GA 투어의 골프 스코어 예측 및 분석

        임정은,임영인,송종우,Lim, Jungeun,Lim, Youngin,Song, Jongwoo 한국통계학회 2017 응용통계연구 Vol.30 No.1

        최근 골프는 많은 사람들의 취미 생활로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며 골프와 관련된 연구도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여 PGA 투어에 참여하는 선수들의 평균스코어를 예측하고 스코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4개의 PGA 투어 플레이오프에 대해 상위 10명, 상위 25명의 선수들을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는 다양한 선형/비선형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평균스코어를 예측하는데, 선형회귀분석 방법으로는 단계적 선택법, 모든 가능한 회귀모형, 라소(LASSO), 능형회귀, 주성분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비선형회귀분석 방법으로는 트리(CART), 배깅, 그래디언트 부스팅, 신경망 모형, 랜덤 포레스트, 최근접이웃방법(KNN)을 사용하였다. 대부분의 모형에서 공통적으로 선택된 변수들을 살펴보면 페어웨이의 단단함와 그린의 풀의 높이, 평균최대풍속이 높을수록 선수들의 평균스코어는 높아지며 반대로 한 번에 퍼팅을 성공시키는 횟수와 그린적중률 실패 후 버디나 이글로 점수를 만드는 scrambling 변수들, 그리고 공을 멀리 보낼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longest drive는 그 값이 높아짐에 따라 선수들의 평균스코어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1가지 모형 모두 테스트 데이터인 2015년 경기 결과를 예측하는데 낮은 오류율을 보였으나 배깅과 랜덤 포레스트의 예측률이 가장 좋았으며 두 모형 모두 상위 10명과 상위 25명의 랭킹을 예측할 때 상당히 높은 적중률을 보였다. This study predicts the average scores of top 150 PGA golf players on 132 PGA Tour tournaments (2013-2015) using data mining techniques and statistical analysis. This study also aims to predict the Top 10 and Top 25 best players in 4 different playoffs. Linear and nonlinear regression methods were used to predict average scores. Stepwise regression, all best subset, LASSO, ridge regression and principal component regression were used for the linear regression method. Tree, bagging, gradient boosting, neural network, random forests and KNN were used for nonlinear regression method. We found that the average score increases as fairway firmness or green height or average maximum wind speed increases. We also found that the average score decreases as the number of one-putts or scrambling variable or longest driving distance increases. All 11 different models have low prediction error when predicting the average scores of PGA Tournaments in 2015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training set. However, the performances of Bagging and Random Forest models are the best among all models and these two models have the highest prediction accuracy when predicting the Top 10 and Top 25 best players in 4 different playoffs.

      • KCI등재

        기관내관을 적용중인 국내 중환자실 성인 입원환자의 구강간호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임정은,정덕유,유리호,Lim, Jungeun,Jung, Dukyoo,Yoo, Leeho 한국중환자간호학회 2024 중환자간호학회지 Vol.17 No.1

        Purpose : This scoping review was designed to identify gaps in knowledge and guide future directions for clinical nursing practices and research on oral hygiene care for endotracheally intubated patients in Korean intensive care units. Methods : We conducted a scoping review using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proposed by Arksey and O'Malley. PubMed, CINAHL, RISS, Science On, and DBpia databases were searched. Two reviewers independently selected the studies and extracted data. A total of 445 studies were identified, of which 17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Results :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rom 2021 to the present. A total of 12 instruments were utilized in 13 studie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oral hygiene care. All studies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oral hygiene care have consistently documented that chlorhexidine ha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The frequency and time of oral hygiene care were each examined in one study. Conclusion : A research study is necessary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for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oral hygiene care suitable for endotracheal intubated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Interventional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hlorhexidine and the appropriate frequency and time of oral hygiene care. Thereafter, revision of domestic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by integrating these results will be necessary.

      • 윤곽선 재조정을 통한 의미 있는 객체 추적 알고리즘

        任貞恩(Jungeun Lim),李在淵(Jaeyoun Yi),羅鍾範(Jong Beom Ra) 大韓電子工學會 2000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37 No.6

        이 논문은 동영상에서 의미 있는 객체를 추적하기 위해, 첫 번째 프레임에서 사용자가 관심 대상인 객체를 정의하고, 그 다음 프레임부터 자동으로 그 객체를 추적하는 반자동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객체 추적 알고리즘은 객체 경계 투영, 불확실 영역 추출, 경계 재조정 단계 등 모두 세 단계로 구성되며, 첫 단계에서는 움직임 추정을 통해 이전 프레임에서 현재 프레임우로 객체를 투영하고, 두 번째 단계는 투영한 결괴를 이용하여 윤곽선 부근에서 투영이 불확실한 영역을 MC 오류 및 색채 유사성 검사를 거쳐 추출하며, 마지막으로 투영이 불확실한 영역을 재조정함으로써 정확한 객체의 경제를 찾는다. 모의 실험을 통해 제안한 알고리즘이 기존의 반자동 알고리즘에 비해 다양한 영상에서 대해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an algorithm for semantic video object tracking using semi-automatic method. In the semi-automatic method, a user specifies an object of interest at the first frame and then the specified object is to be tracked in the remaining frames. The proposed algorithm consists of three steps: object boundary projection, uncertain area extraction, and boundary refinement. The object boundary is projected from the previous frame to the current frame using the motion estimation. And uncertain areas are extracted via two modules: MC error-test and color similarity test. Then, from extracted uncertain areas, the exact object boundary is obtained by boundary refinement.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video object extraction method provides efficient tracking results for various video sequences compared to the previous methods.

      • 3차원 세포 장벽의 동적의 미세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다층구조 플랫폼 개발

        임정은(Jungeun Lim),이형록(Stephen Rhee),전누리(Noo Li Jeon)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11

        Cellular barrier layer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body in regulating the diffusion between two microenvironments. Biological barriers such as the blood-brain barrier, blood-cerebrospinal fluid barrier, and the small intestine villi all utilize these epithelial barriers to control the diffusion of solutes into their system. This research describes a method to analyze the effects of microfluidic flow on cellular barriers through the use of a pumpless rocker. A barrier layer was recapitulated using brain epithelial cells cultured on a 3D-printed mesh platform, and a rocker system was used to induce microfluidic flow within the system. This study can provide insight into the mechanisms and effects of microfluidic flow on epithelial barriers for future studies.

      • 가정간호사업의 활동기준원가관리시스템 설계

        이수정(Sujeong Lee),임정은(JungEun Lim)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Ⅱ

        진료 및 간호서비스는 다른 제조업과는 달리 무형의 서비스에 대한 간접비의 비율이 두드러지는 특성을 지니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의료기관의 전략적 계획수립, 수익성 분석, 경제성 분석, 의료서비스 제공의 질 관리 등의 의사결정에 적극 활용되어야 하는 원가 분석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전문 간호 분야인 가정간호는 1회 방문 시에 다양한 활동들이 모여서 가정간호서비스가 수행되므로 가정간호의 원가분석에는 각 행위들이 모인 활동에 대한 분석에 근거한 정확한 원가 정보가 요구되고 있다. 활동기준원가의 기본 요소는 자원, 활동, 자원 동인, 활동 동인, 원가 대상이며 이에 따라 가정간호사업에서 활동기준원가의 각 요소를 정의하고 전통적 원가 계산이 아닌 활동을 중심으로 가정간호사업의 업무 알고리즘을 분석하여 활동기준원가관리시스템을 설계한다. 가정간호사업의 활동기준원가관리시스템은 가정간호의 효율적 운영과 의료기관의 경영 개선과 함께 실질적 원가 계산을 통해 정부가 건강 보험 수가를 결정하고, 보험 수가를 적절성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스마트 교육 효과성에 대한 체계적 메타분석

        김동일 ( Kim Dongil ),조영희 ( Cho Younghee ),임정은 ( Lim Jungeun ),조은정 ( Cho Eunju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3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스마트 교육 중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최근 9년간 출간된 국내 학술지 논문 중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를 대상으로 스마트 교육을 실시한 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한 연구 17편(k=48)을 대상으로 코딩을 수행하고 메타분석을 실시한 뒤, 조절변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스마트 교육의 평균 효과크기는 Hedges'g=.89로 매우 높은 효과 크기를 보였다. 또한, 장애특성, 중재방법, 중재영역, 중재자, 집단유형, 중재기간, 중재시간에 따른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대상 스마트 교육 중재에 유의미한 효과 차이가 제시되었다. 한편, 학년, 장애 유형, 중재 장소에 따른 효과크기의 차이는 보고되지 않았다. 결론: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스마트 교육 중재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라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를 대상으로 스마트 교육 중재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고려사항 및 지원방안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smart education interventions for at-risk learners by using meta-analysis method. Method: The present study collected group design studies sought of smart education for at-risk learners from 2011 to 2020. Total 17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studies were included, along with 48 effect size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weighted effect size (Hedges'g) for all studies was 0.878 (95% confidence interval = 0.697, 1.059), indicating a significant large effect. Subgroup analyses revealed that those factors,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intervention method, domain of intervention, intervenor, group types, duration and time, were influencing the effect size on the effect of smart education for at-risk learner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participant’s age, types of disabilities, and areas of intervention. Conclusion: Smart education interventions significantly have an effect on at-risk learners. The effects of intervention varies depending on several conditions. Further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and intervention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mart education intervention for at-risk learners are discussed.

      • KCI등재

        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 교육의 중재 효과: 단일대상 메타분석 활용

        김동일(Dongil Kim),조영희(Younghee Cho),조은정(Eunjung Cho),임정은(Jungeun Lim) 한국학습장애학회 2021 학습장애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스마트 교육 관련 단일대상 중재연구를 메타분석하여 전체 효과크기 및 효과크기에 영향을 준 관련 변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포함 및 배재준거에 따라 총 33편의 단일대상연구가 최종 선정되었으며, 67개의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장애학생 대상 스마트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929로 큰 효과크기에 해당하며, 개별 연구의 효과크기는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에 따른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연령에 따른 효과크기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중도중복장애 및 발달장애(지적, 자폐성 장애), 뇌병변장애 학생에게 중재를 적용했을 때 큰 효과크기가 제시되었다. 셋째, 연구 도구별로 살펴보았을 때, 연구자 개발 도구일 때 더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넷째, 중재 특성별로 살펴본 결과, 중재방법 및 중재자에 따른 효과크기의 차이는 없었으며, 중재영역에서는 정서적 지원이 교과 및 행동적 지원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효과 크기가 나타났다. 다섯째, 물리적 중재 특성을 살펴본 결과, 중재장소, 중재횟수 및 중재 시간, 중재충실도 보고에 따른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장애학생에게 스마트 교육을 적용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과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meta-analysis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mart education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 total of 33 single subject studies and 67 effect sizes(ES) were finally selected.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overall average ES of smar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Tau-U = .929, which has a large ES and a low heterogeneity. Second, among participant-related variab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according to variables related with participants’ grade,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effect size according to area of disability. Third, large ES was found only when using research-developed test. Fo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according to intervention types and interventionist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according to intervention areas. Fifth,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physical intervention variables related to intervention. From the results above, consideration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adopt smar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