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약 복용 환자와 미복용 환자의 사상체질 진단정확률 비교 연구

        이현미,류동훈,전수형,김규곤,김종원,Lee, Hyun-Mi,Ryu, Dong-Hoon,Jeon, Soo-Hyung,Kim, Kyu-Kon,Kim, Jong-Won 사상체질의학회 2011 사상체질의학회지 Vol.23 No.2

        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Sasang Constitution diagnostic rate between taking Sasang Constitution herb medicine patients and non taking group. 2. Methods: We collected data from 430 patients who were visited at the Department of Sasang Constitu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from November 2006 to September 2010. We classified them into two group. One was taking Sasang Constitution herb medicine patients group, the other was non taking group. For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they all have done SSCQ-P questionnaire. and a Sasang Constitution specialist diagnosed constitution. According to reactions after taking herb medicine, the patients of taking group were confirmed their constitutions. We checked Sasang Constitution diagnostic rate from each groups'(the whole subjects, taking herb medicine patients group, non taking herb medicine patients group) discriminant function. And to find out Sasang Constitution diagnostic rate, we applied discriminant functions to each other. 3. Results and Conclusions: 1) The whole subjects' diagnostic accuracy rate was 72.07%. 2) Taking herb medicine group's diagnostic accuracy Rate was 75.08%. Non taking herb medicine group's diagnostic accuracy rate applied taking group's discriminant function was 61.60%. 3) Non taking herb medicine group's diagnostic accuracy rate was 81.06%. Taking herb medicine group's diagnostic accuracy rate applied taking group's discriminant function was 57.14%.

      • KCI등재

        독삼팔물군자탕(獨參八物君子湯)으로 호전된 소음인(少陰人) 울광증(鬱狂症) 발열 치험 3례

        이현미,박세정,전수형,김오영,김종원,Lee, Hyun-Mi,Park, Se-Jung,Jeon, Soo-Hyung,Kim, Oh-Young,Kim, Jong-Won 사상체질의학회 2009 사상체질의학회지 Vol.21 No.3

        1. Objectives: Fever is an abnormal elevation of body temperature, usually as a result of a pathologic process. Fever can cause chilling, myalgia, headache and other related symptoms. We have tried researching effect of herbal medicine Doksampalmulkunja-tang(獨蔘八物君子湯) on fever. 2. Methods: The subjects are three patients who were on diagnosed Soeumin Woolgwang-incurable disease. They are treated by Doksampalmulkunja-tang(獨蔘八物君子湯). 3. Results: Doksampalmulkunja-tang(獨蔘八物君子湯) was effective on the subjects. Their fever and related symptoms were improved. 4. Conclusions: This case study shows that the treatment with herb-medicine may have effect on fever of Soeumin by rasing the stagnant yang qi.

      • KCI등재

        기체조와 두유섭취가 중년여성들의 신체조성, 혈청지질, 성선자극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이현미,곽이섭,김세종,예정복,백영호,Lee, Hyun-Mi,Kwak, Yi-Sub,Kim, Se-Jong,Ye, Jung-Bok,Park, Young-Ho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4

        부산에 거주하는 Y1동의 45-60세 중년여성40명을 대상으로 기체조와 두유(360 ml)를 12주 섭취하여 대조군(12명:A), 기조체군(14명:B), 기체조+두유군(14명:C)으로 분류하여 운동 전 후에 측정한 신체조성, 혈중지질, 성선자극호르몬에 대한 결과 신체조성 중 weight, percent fat, fat mass, muscle mass, BMI 의 측정결과는 weight, percent fat, fat mass 에 대한 집단간의 변화에서 대조군이 기체조군과 기체조+두유군보다 각 각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고, T-C의 집단내의 변화에서 대조군은 사전보다 사후에서 유의하게 증가했고(p<.05), 기체조군은 사전보다 사후보다 유의하게 감소했으며(p<.05), HDL-C의 집단내의 변화에서 기체조군과 기체조+두유섭취군이 사후에서 증가했고, LDL-C의 집단 내에서 기체조군과 기체조+두유섭취군이 사후에서 감소했고, 집단간의 유의도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기체조와 두유섭취가 중년여성들의 weight, percent body fat, fat mass의 문제를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이며, 또한 콜레스테롤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그리고 중년여성들의 생리주기를 파악하여 FSH, LH 혈중치 변화를 정확히 규명하여 중년여성들의 건강과 행복된 삶을 영유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i exercises and soybean milk supplement on the body composition and the physiological parameters including blood level of lipids and related hormones in middle-aged women. The Gi exercise program was composed of warming-up(10 min), main exercise(40 min) and cooling-down(10 min). The 40 middle-aged women between 40 and 60 years old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he control group(12 women), the Gi exercise group(14 women), the soybean milk supplement group(11 women), and the Gi exercise group with soybean milk supplement(14 women). The Gi exercise program was applied three times a week and two packs of the soybean milk per day were given.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1.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increase of body weight, percent body fat, and fat mass than other groups. 2. The blood level of T-C was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Gi exercise group and exercise with supplemented group were decreased 3. The blood level of HDL-C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ontrol group than other groups. 4. The blood level of LDL-C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than other groups. 5. The level of TG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all groups 6. The 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 (FSH) and luteinizing hormone (LH) hormone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all study groups

      • 17세기, 18세기 영건의궤 국용목재 부재별 해부학적 분석

        이현미 ( Lee Hyun Mi ),전우석 ( Jeon Woo Seok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

        조선후기 국용목재에 사용된 수종을 파악하기 위하여 영건의궤 6종(장서각, 규장각)의 영건에 사용된 침엽수 1점과 활엽수 5점에 대한 수종을 분석하였다. 영건의궤는 17세기 창경궁수리소의궤, 창덕궁창경궁수리도감의궤, 18세기 경모궁개건도감의궤, 진전중수도감의궤, 화성성역의궤이다. 주요 용도로는 궁궐, 제실, 사묘, 성곽 등의 수리와 보수 공사에 사용된 것으로 파악된다. 17세기~18세기 영건의궤에 명시된 수종은 재료 수급에 따라서 활엽수재는 가래나무, 물푸레나무, 박달나무, 오동나무, 참나무류(갈참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이고, 침엽수재는 소나무가 공통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조선후기 목조문화재가 현대의 목조문화재·건축 변화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형태의 단순화, 기계화, 부재의 규격화, 작업의 표준화, 수종의 복원화 등이다. 문화재 수리는 같은 재질의 동일 수종으로 수리나 교체를 해야만 하기 때문에 수종 조사는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는 각 시대별 수종을 대신해서 국립산림과학원 목재표본실 재감에서 식별에 필요한 같은 수종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현미경 관찰을 위해서 목재 3단면의 슬라이드를 제작하여 해부학적으로 관찰하였다. 영건의궤 편역본을 통하여 목조문화재 건축물의 부재별 수종을 알 수 있었으며, 수리·보수 공사시 목재 수종을 추정하는데 근거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 된다.

      • KCI등재

        경수척수손상환자의 일상생활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현미(Lee Hyun-Mi),양영애(Yang Yeong-Ae),허진강(Hur Jin-Gang),김정기(Kim Jeong-Ki) 대한치료과학회 2010 대한치료과학회지 Vol.2 No.1

        Object :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cervical spinal cord injury on patient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Method : Research was conducted on 65 patients from June, 2010 until September, 2010. A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 Korean translated SCIMⅢ and WHOQOL-BREF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Result : In the case of patients with complete injury, their final scor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showed a strong correlation to the quality of life, in all modules. In the case of incomplete injury, married status, monthly income, month past rehabilitation, month past injury were included as additional variables to determine that their final scor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showed a strong correlation to the quality of life. Conclusion :For patients with cervical spinal cord injury, according to the extent of injury; physical, mental, social aspects of life should be determined along with their activities of daily life as factors influencing their quality of life.

      • KCI등재

        단신 : 액상법에 의한 가시광감응성 티타니아 나노튜브의 제조

        이현미 ( Hyun Mi Lee ),소원욱 ( Won Wook So ),백진욱 ( Jin Ook Baeg ),공기정 ( Ki Jeong Kong ),문상진 ( Sang Jin Moon ) 한국화학공학회 2012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0 No.1

        TiCl4와 히드라진/암모니아수를 사용하여 졸겔 및 강알칼리 수열합성법의 신규 2단 합성법을 통해 N도핑된 TiO2 나노튜브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나노튜브는 튜브형상의 손상이 없이 10 nm 전후의 직경과 3 nm 이하의 벽두께를 가지며, 잘발달된 아나타제 결정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N이 도핑되어 일반 도핑되지 않은 TiO2 나노튜브와 아나타제상입자에 비해 각각 ~35 nm, ~25 nm 정도 적색편이 된 우수한 가시광 흡수능과 노란색 색상을 보여 주었다.

      •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유아의 자기 의도적 통제가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이현미 ( Lee Hyun-mi ) 동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유아의 자기 의도적 통제가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상북도 G시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영유아 339명과 그 어머니들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와 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이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들의 양육행동 중 `한계 설정`이 보통보다 높은 편이고, `거부, 방임`이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자기 의도적 통제는 보통 이상이었고, 행동문제는 보통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온정, 격려`와 `한계설정`은 유아의 행동문제와 부적 상관관계를, 어머니의 `거부, 방임`과 유아의 행동문제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유아의 자기의도적 통제는 행동문제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거부, 방임`과 유아의 자기의도적 통제 모든 하위요인이 유아의 행동문제를 38.6% 설명하였고, 이들 중에서는 유아의 자기 의도적 통제 중 `억제조절`이 가장 큰 영향 변수였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행동문제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기의도적 통제 중 억제조절 능력의 발달을 지원하는 양육기술 및 교수법이 개발되고 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and their young children`s intentional self control on their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9 children and their mothers who were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Gyeong-sang province, G city.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Win 21.0. Reliabilit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an score of mother`s `limitation setting` parenting was higher than normal level but mean scores of mothers` `denying and permissive` parenting were lowest level. Mean score of young children`s intentional self control abilities was higher than normal level, and mean score of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was lower than normal level.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mothers` parenting, young children`s intentional self control and behavior problems respectively.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mothers` `denying and permissive` of parenting and all sub-scales of children`s intentional self control on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On conclusion, as children`s behavior problem would be mostly influenced negatively by intentional self control of young children, in order to prevent the behavior problem of children, the most effective way is support to raise intentional self control ability of children at home and school.

      • < 전시-P-03 > 산림전통지식 유형 분류에 따른 목재 수종 식별 연구

        이현미 ( Hyun Mi Lee ),전우석 ( Woo Seok Jeon ),박찬열 ( Chan Ryul Park ) 한국목재공학회 2019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1

        우리나라의 산림전통지식 체계 연구를 통하여 다른 국가들의 전통지식과 비교 분석하고 고가옥·누각·정자와 목조 문화재의 수종 구성을 조사하여 목재문화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목재 수종 식별을 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지식에 대한 부분을 현대적인 해석으로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목재문화의 수종에 따른 산림문화 변천을 알 수 있었다. 산림전통지식 활용체계 정립 및 보전방안 연구의 유형 분류에 따라 소백산 권역의 경상북도 상주시와 영주시에서 목재 샘플채취를 하였다. 6.25 전후 전통가옥의 기둥, 문창살, 부엌문, 집틀 그리고 정자, 대청마루, 대들보에서 각각의 시료를 분류하여 활용하였다. 목재조직 현미경 관찰을 위한 목재 3단면의 수종분석 대부분은 침엽수인 소나무류로 식별되었고, 해부학적인 조직요소인 가도관, 수직수지구, 수평수지구, 수지구를 둘러싸는 에피델리움세포, 방사유세포, 방사가도관, 분야벽공 등을 관찰 할 수 있었다. 현미경 관찰을 통해서 시료에 대한 부후 정도를 알 수 있었고, 일부 시료에서는 부후가 심하게 나타났다. 특히 가옥의 시료 중 기둥 부재의 부후 원인은 빗물과 습기의 영향이 큰 것으로 사료된다. 다른 부재의 시료 중 소나무류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수종 중 방사단면이 다른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 부분은 과거 집을 지을 때 다른 부재가 함께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한국의 목재 관련 산림전통지식을 발굴하여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정립함으로써, 권역별 목재 관련 산림전통지식을 발굴하여 과학적인 근거 자료를 제시하고 공유와 확산을 통한 자료를 구축하기 위함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