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드론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국내 대기오염물질 연직분포 관측 사례 2

        이춘상,한진석,한상우,최다영,송희준,주흥수,김경찬,전권호,문광주 한국대기환경학회 2021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국내 미세먼지에 대한 효과적인 저감과 관리를 위해서는 국내에서 국지적으로 발생되는 오염원을 추적, 관리, 규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나라 총 황산화물 침적량 중 40% 이상이 중국으로부터의 영향이 있다는 일부 보고가 있고 국외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영향을 연구하여 과학적으로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기오염물질의 이동 및 변환 특성 분석을 위한 일환으로 드론을 이용한 대기오염물질의 농도 차이에 따른 연직분포 등의 관측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국내 대기오염물질 연직분포 관측을 위해 드론에 탑재할 센서들은 실험실에서 센서의 성능테스트를 실시하여 성능이 검증된 센서들로 선정하였다. 실제 드론 비행 시에 드론 운행 시간의 한계를 고려하여 드론 모니터링 시스템을 운영하였다. 전기적인 신호로 데이터가 수집되는 센서에 대해서 데이터로거를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계산된 농도가 모니터링 및 저장되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대기오염물질의 물질별, 고도별, 시간별 등의 측정결과를 종합하여 대기오염물질의 농도 차이에 따른 연직분포 및 성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온·습도 영향을 반영한 H2S와 NH3 센서의 농도 교정 연구

        이춘상,김경찬,한상우,임선향,장현섭,주흥수,한진석 한국냄새환경학회 2020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19 No.3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i) to evaluate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on two electrochemical sensors measuring hydrogen sulfide and ammonia using a laboratory testing system for various sensors, and (ii) to propose a calibration method for those concentrations to collect more reliable monitoring data.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as tested under three different conditions, respectively. The linearities measured data under all different conditions for the relative humidity and temperature were excellent, indicating more than 0.99 of R2 for both odor sensors. Under the condition of zero concentration, baselines (intercepts) at zero increased with increasing relative humidity for both hydrogen sulfide and ammonia sensors. The rate of gas concentration according to ADC variation (slopes) increased with increasing relative humidity about only the hydrogen sulfide sensor. In this study, slope, and intercept are utilized for calibration of hydrogen sulfide and ammonia concentration, and the reliability of the data of hydrogen sulfide and ammonia sensors is further enhanced by the relational expression obtained by this paper.

      • KCI등재

        온도, 습도의 영향을 반영한 대기오염물질 NO, NO2, SO2, CO, VOC 센서의 농도보정 연구

        이춘상,김경찬,한상우,송희준,최다영,전권호,문광주,주흥수,한진석 한국도시환경학회 2021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21 No.4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on electrochemical and pothoionization sensors used to measure air pollutants (NO, NO2, SO2, CO, VOC), and to propose calibration methods to produce more reliable monitoring data. Measurement sensors for each substance were tested under four temperatures and three relative humidity conditions. The linearity measured for each condition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as excellent,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0.92 to 0.99 was shown in all sensor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concentration was zero, the baseline (intercept) of zero increased as the relative humidity of NO and some VOC sensors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the gas concentration increase rate (slope) in accordance with the variation of the SO2 and VOCM sensors increased, and the intercept of the CO sensor also tended to increase. In this study, slope and intercept were used to calibrate sensors for each air pollutant, and it is expected that the reliability of NO, NO2, SO2, CO, and VOC sensor data can be improved by deriving a relational expression based on this pa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기오염물질(NO, NO2, SO2, CO, VOC) 측정에 사용되는 전기화학식 센서와 광이온화 센서에 대한 온도 및 상대습도의 영향을 평가하고, 보다 신뢰할 수 있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산하기 위한 보정 방법을 제안하는것이다. 각 물질에 대한 측정 센서는 네 가지 온도와 세 가지 상대습도 조건에서 테스트되었다. 온도와 상대습도 각 조건에서 측정된 선형성은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모든 센서에서 0.92~0.99의 결정계수를 나타냈다. 농도가 0인 조건에서 NO 와 일부 VOC 센서는 상대습도가 증가함에 따라 0의 기준선(절편)이 증가했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SO2 및 VOCM 센서의 값(mv) 변화에 따른 가스 농도 증가율(기울기)은 증가하였고 CO 센서의 절편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각 대기오염물질별 센서 교정에 기울기와 절편이 활용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한 관계식을 도출함으로써 NO, NO2, SO2, CO, VOC 센서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소규모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 연속 모니터링을 위한 전기화학식 가스센서의 온·습도 영향과 농도보정 연구

        이춘상,김경찬,최다영,김주연,주흥수,한진석 한국냄새환경학회 2023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22 No.4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s of H2S, NH3, and HCl sensors for real-time monitoring in small emission facilities (4, 5 grades in Korea) were evaluated at high concentration conditions of those gases. And the proper approach for the collection of reliable measurement data by sensors was suggested through finding out the effect on sensor performances according to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relative humidity, RH) settings. In addition, an assessment on sensor data correction considering the effects produced by environmental settings was conducted. The effects were tested in four different condition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sensor performances (reproducibility, precision, lower detection limit (LDL), and linearity) were good for all three sensors. The intercept (ADC0) values for all three sensors were good for the change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The variation in the slope value of the NH3 sensor showed the highest value, and this was followed by the HCl, H2S sens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helpful for data collection by enabling the more reliable and precise measurements of concentrations measured by sensors.

      • KCI등재

        이미지 검색을 위한 칼라 분포 기술자의 성능 평가

        이춘상,이요환,김영섭,이상범,Lee, Choon-Sang,Lee, Yong-Hwan,Kim, Young-Seop,Rhee, Sang-Burm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2006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Vol.5 No.2

        As more and more digital images are made by various applications, image retrieval becomes a primary concern in technology of multimedia. This paper presents color based descriptor that uses information of color distribution in color images which is the most basic element for image search and performance of proposed visual feature is evaluated through the simulation. In designing the image search descriptor used color histogram, HSV, Daubechies 9/7 and 2 level wavelet decomposition provide better results than other parameters in terms of computational time and performances. Also histogram quadratic matrix outperforms the sum of absolute difference in similarity measurements, but spends more than 60 computational times.

      • KCI등재

        드론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국내 대기오염물질 연직분포 측정에 관한 연구

        이춘상,송희준,최다영,김경찬,한상우,방승현,주유진,전권호,문광주,한진석 한국도시환경학회 2022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concentrations of air pollutants and to validate the reliability of the observation data using a drone monitoring system in a specific region in Korea. Drone monitoring system and custom-manufactured drone were carefully designed by considering several factors, such as the load weight, power consumption, turbulence, arrangement of measurement sensors, and so on. Gas sensors for monitoring NO, NO2, CO, SO2, VOC, black carbon(BC) sensor, O3 sensors, and particulate matter (PM) sensor were mounted on the monitoring system and those sensors were selected by considering those performance and specifications. For the observation of vertical profile of air pollutants, two sites areas in the central region in Korea (Chungjeongdo, Gyeonggido) were selected and flight altitudes was ranged from ground level to 150 m. Prior to the flight, PM and Ozone forecasts of measurement sites were confirmed and measurement data of two nearby monitoring stations were downloaded to comparing with the observation data during the flight. The monitoring data (PM2.5, O3), from drone monitoring system showed similar patterns to those of monitoring stations. Vertical profiles of air pollutants were not distinguished according to altitudes up to 150 m. When high PM2.5 concentration was expected, the drone monitoring data also showed the high PM2.5 concentration owing to long range transport from oversea. 본 연구의 목적은 드론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국내 특정 지역의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관측하고 , 관측 데이터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 드론 모니터링 시스템과 맞춤제작한 드론은 부하 중량 , 전력 소비량 , 난기류 , 측정 센서의 배 치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신중하게 설계하였다 . 모니터링 시스템에는 성능 및 사양을 고려하여 선정한 NO, NO2, CO, SO2, VOC, 블랙카본 (BC) 센서 , O3 센서 , 입자상 (PM) 센서를 탑재하였다 . 대기오염물질의 연직 분포를 관측하기 위해 국 내 중부권 (충청도 ), 경기도 2개 현장지역을 선정하였고 , 비행고도는 지상으로부터 150 m까지 범위를 정하였다 . 비행에 앞 서 측정지점의 미세먼지와 오존 등의 예보를 확인하고 인근 측정소 2곳의 측정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비행 중 관측 데이 터와 비교하였다 . 드론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 (PM2.5, O3)는 측정소와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었다 . 대기 오염물질의 고 도 150m까지의 연직 분포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높은 PM2.5 농도가 예상될 때, 드론 모니터링 데이터에서도 해외 로부터 장거리 이송된 높은 PM2.5 농도가 나타났다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