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윗의 인구조사, 회개와 개혁(대상 21:1-22:1)

        이창엽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8 영산신학저널 Vol.0 No.46

        This paper deals with David’s census, plague, sin offering, and the altar for Israel. David’s census is not the brave response to a military threat, but a by-product in the ensuing action by an unnamed accuser. David wanted to fall in YHWH’s hands, not in man’s hands because of his command (debar-hammelek), which is a sin to YHWH. The fall in the hands of YHWH was consequently the plague, namely the sword of the Lord. Destroying angel was standing on the threshing floor of Ornan and the other angel of YHWH appeared unto Gad to pass the command of YHWH to atone for David’s sin and after this he disappeared. The chronicler expands “drew his sword” mentioned in his original Samuel (Vorlage) more theologically. The fact that David had to give sacrifice to atone for his sin is hidden in the text, but the text is more focused on showing David’s efforts to stop the national disaster instead. David built the altar of burnt offering for his sin, but the chronicler expanded the scope and application of the altar of burnt offering in order to emphasize that the altar was for the people of Israel. 1 Chronicles 21:1-22:1 shows that the place itself is not the focal interest but a place for a person’s sin was transformed into the place for the entire people of Israel. The altar of David became the altar for Israel and this site will be the place for YHWH. 1 Chronicles 21:1- 22:1 shows that there must be repentance of leaders for the reform and revival of the Korean church. 본 논문은 역대상 21장 1절-22장 1절에 나타난 사건의 신학적 의미를 재조명한다. 다윗의 인구조사는 군사적 위협에 대한 용감한 반응이 아니라, 무명의 대적자의 행동에 뒤따른 부산물이다. 다윗은 자신의 명령(debar-hammelek)으로 말미암아 여호와께 죄를 범했기에 사람의 손이 아닌 여호와의 손에 빠지기를 원했다. 여호와의 손에 빠지는 것은 결과적으로 전염병이고, 이는 여호와의 칼로 묘사된다. 이 전염병은 이스라엘 백성 칠만 명을 죽인다. 이스라엘 온 지경을 멸하는 심판자 천사는 오르난의 타작마당에 서 있고, 여호와의 명령을 전달하는 다른 여호와의 천사가 갓에게 나타나 갓에게 다윗이 지은 죄를 속하기 위한 방책을 갓에게 알리고 사라진다. 역대기 저자는 그의 사무엘서 원본(Vorlage)에 언급된 “칼을 빼어”를 더 신학적으로 확장시킨다. 칼을 강조하여 사용하기에 다윗이 정작 자신의 죄를 속죄하기 위한 제사를 드려야 하는 사실은 가려지고, 그 대신에 이스라엘 백성에게 내린 재앙을 멈추기 위한 간구와 제사가 더욱 부각된다. 다윗이 지은 번제단은 일차적으로 자신의 죄를 속하기 위한 번제단이지만, 다윗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내린 전염병이그치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이스라엘을 위하는 번제단’이라는 어휘를 사용하여 그적용과 범위를 확대 변경시켰다. 이 본문은 장소 그 자체 강조하기보다는 한 개인의 속죄제를 위한 장소였지만 이스라엘 백성 전체를 위한 제사가 받아들여진 것을부각시킨다. 다윗의 제단은 이스라엘을 위한 제단이 되고 이 제단은 여호와를 위한제단이 세워지는 집이 된다. 역대상 21장 1절-22장 1절은 한국 교회의 예배와 사회개혁을 위해서는 지도자 한 개인의 회개가 반드시 있어야 함을 증거한다.

      • 철기 II기 시대 유다지역에 발견된 기마인상

        이창엽 안양대학교 신학연구소 2018 신학지평 Vol.31 No.-

        본 논문에서는 철기 II기 시대에 유다 지역에서 발견되는 기마인상의 지역적이고 연대 기적인 분포에 대해 다룬다. 본 논문에서 철기 II기 시대의 기마인상을 분석할 때, 일 련의 학자들은 기수의 흔적이 전혀 없는 말상도 기마인상을 다루는데 포함시켰지만, 필자는 기마인의 흔적이 있는 말상의 파편과 기마인상만을 다루었음을 밝힌다. 유다에서 발견된 기마인상의 지역 분포를 통해 우리는 대부분의 벽으로 둘러싸인 주 요 성읍들에서 기마인상이 발견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기마인상은 보통 철기 II기 시대 의 것으로 보지만, 텔 엔-나츠베에서 발견된 기마인상 부분은 철기 I기 시대의 것으로 볼 수 있고 가장 이른 시기의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한편 철기 II기 시대라는 시간적 으로 짧기에 각 기마인상의 유형이 연대기적으로 어떻게 변화되면 발전되었는지 철기 II기 시대 안에서는 생각해 볼 수는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떤 변형이 있었는지 정확하게 구분해 내는 것은 힘들다. My paper deals only with HRFs among the range of clay figurines that have been found in Iron Age II Judah. In my analysis of Iron Age II HRFs, I exclude horse figurines without the remains of a rider, although such figurines are generally included as part of HRFs in all the catalogues by some scholars. While horse figurines should be catalogued as animal figurines, HRFs have both anthropomorphic and animal parts and so do not belong in a category limited to animals. They are small terracotta figures depicting human beings riding horses. HRFs are more focused on the representation of the male image than on the horse. In conclusion, it is clear that the geographical spread of Iron Age HRFs covers most major walled sites that have been excavated in Iron Age Judah. While HRFs in general may be dated to the Iron Age II period, one fragment of an HRF from Tell en-Na?beh could be from the Iron Age I period and would, therefore, be the earliest example of an HRF. The Iron Age II period covers such a short timespan that it would preclude the chronological development of each particular type of HRF within its bounds.

      • 흉부 X선촬영 기술의 변천에 관한 연구

        이창엽,조평곤,김지닐,최소영,김창균,최종학,김정민,김유현 高麗大學校 倂設 保健大學 保健科學硏究所 2002 保健科學論集 Vol.28 No.2

        To find elements which enable improving Quality of image of chest radiography, we attempted to make comparison between chest radiography used currently with that of the past, and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1) It could be confirmed that a dependance on chest radiography was declining, because proportion of chest radiography against overall radiography decreased. 2) There was a change of kVp to a high voltage in a chest radiography, and use of high kVp became a generalization 3) Exposure time was reduced and exposure dose was curtailed accordingly. 4) Apparatus was mainly comprised of 3-phase rectifier circuit and inverter type. 5) It could be confirmed that frequency of applying additional filters for high kVp radiography was insufficient. 6) There was almost no difference in the condition of exposure between hospitals using film/screen and hospitals using CR. But when CR is used for radiography, it was increase in exposure dose due to increase in tube current and it will be necessary to have continuous study on exposure dose by an increase use of CR in the future.

      • KCI등재

        느부갓네살의 강 건너편 지역에 대한 원정과 여호야김의 죽음

        이창엽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21 구약논집 Vol.21 No.-

        Old Testament scholars have conducted many studies focused on the religious reforms of Hezekiah and Josiah, who were good kings in the later Judahite monarchic period, but a few dealt with the last four kings in relation to Nebuchadnezzar of Babyl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Nebuchadnezzar came to dominate the region beyond the river and the expeditions beyond the river, and examines them in relation to the history of Jehoiakim’s reign for 11 years. This thesis first examines in detail the historical process in which Babylon conquered Assyria and defeated the Egyptian army at Carchemish, thereby ruling the region beyond the river. After surveying how Nebuchadnezzar's acquisition of Carchemish correlates with the region beyond the river, we can infer where the name of the region ‘Hatti’ refers to in connection with Nebuchadnezzar's expeditions. The thesis explains that ‘Hatti’, often mentioned in Babylonian chronicles, is the region from Carchemish to Riblah. As part of Nebuchadnezzar’s continued interest in the region beyond the river, we look into the contents of king Adon's letter. Through Adon’s letter, we see the contrast between the majesty of Nebuchadnezzar, who began to rule and dominate the region across the river, and Adon, who had to be ruled by him. Finally, this thesis explains the actual collapse of Judah after the Babylonian invasion in 598/7 B.C as a result of Jehoiakim’s rebellion against Babylon in the wake of the war between Babylon and Egypt in 601 B.C. This thesis sheds new light on the cause of the destruction of Judah by explaining in detail the dominance and influence of Babylon until the destruction of the kingdom of Judah. Jehoiakim’s misjudgment in understanding the flow of the times hastened the destruction of Judah. 구약 학자들은 분열왕국 시대 남 유다의 선한 왕인 히스기야와 요시야의 종교 개혁을 중심으로 많은 연구를 수행했지만 바벨론의 느부갓네살의 원정과 관련하여 마지막 네 왕을 다루는 연구는 적었다. 이 논문은 여호야김의 11년 통치의 역사와 관련하여 느부갓네살이 강 건너편 지역을 지배하게 된 일련의 과정과 여러 차례 행한 원정을 살펴본다.  이 논문은 먼저 바벨론이 앗수르를 정복하고 갈그미스에서 애굽 군대를 무찌르고 강 건너편 지역을 지배하게 된 역사적 과정을 자세히 고찰한다. 느부갓네살의 갈그미스 점령이 강 건너편 지역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살핀 후, 우리는 느부갓네살의 원정과 관련하여 '하티'라는 지역의 이름이 어디를 가리키는지 유추할 수 있다. 바벨론 연대기에 자주 등장하는 '하티'는 갈그미스에서 리블라까지의 지역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강 건너편 지역에 대한 느부갓네살의 지속적인 관심의 일환으로 아돈 왕의 편지내용을 살펴본다. 우리는 아돈의 편지를 통해 강 건너편 지역을 통치하고 지배하기 시작한 느부갓네살의 위엄과 그의 통치를 받아야 했던 아돈의 대조된 모습을 본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주전 601년에 바벨론과 애굽 사이의 전쟁의 결과 여호야김이 바벨론에 반역을 꾀하고, 이로 인해 주전 598/7년에 바벨론의 예루살렘 침략으로 인한 유다의 실질적 붕괴를 설명한다. 이 논문은 유다 왕국을 실질적으로 무력화시킨 바벨론의 지배와 영향력을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유다 멸망의 원인을 새롭게 조명한다. 국제 정세의 흐름을 잘못 이해한 여호야김은 유다의 멸망을 앞당긴 왕이다.

      • KCI등재
      • KCI등재

        Clinical analysis of Korean adult patients with acute pharmaceutical drug poisoning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이창엽,김선표,김선휴,조규종,이지환,박은정,이덕희 대한응급의학회 2022 대한응급의학회지 Vol.33 No.4

        Objective: This study classified patients with acute pharmaceutical drug poisoning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ED) to identify clinical characteristics that could be used as the foundation for poisoning prevention programs. Methods: Adult patients aged ≥19 years who visited one of the 23 EDs in South Korea between 2011 and 2018 with pharmaceutical drug poisoning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by sex. The data were sourced from in-depth survey data and the ED patient surveillance system managed by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Results: A total of 21,620 cases were analyzed. The sample had more female cases, 15,057 (69.6%); the mean age was 48.3±18.7 years for men and 44.7±17.2 years for women. The onset time was mostly between 18:00 and 24:00 hours; most patients visited the ED via 119 or private vehicles; 5,498 (83.8%) men and 13,070 (86.8%) women reported intentional poisoning; the cause being an intention to commit suicide, though most patients had no history of previous suicide attempts. The frequency of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and mortality were higher in males than females. When a comparison of the type of drug by sex was carried out, it was observed that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drug poisoning were more frequent in females. On the other hand, cardiovascular drug poisoning was more frequent in males. Conclusion: There were more women than men among patients with pharmaceutical drug poisoning. Severity was found to be higher in men than women. In most cases, the poisoning was intentional, and the cause of poisoning was a suicide attempt. Sedatives and antipsychotic drugs were the most commonly used drugs in both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