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조선전기 鶴城李氏의 지역 내 위상과 역할

        이종서(Lee Jong-Seo) 한일관계사학회 2007 한일관계사연구 Vol.28 No.-

        학성이씨는 울산의 토성(土姓)이다. 토성은 고려시기 향리에서 연원하였다. 고려의 향리는 국가의 관료체제에 편입되었으며 상급 향리인 장리층(長吏層)은 중앙 양반과 신분이 동등했다. 그러나 고려후기에 실질적 위상이 하락하였고, 조선전기에는 제도적으로 격하되었다. 장리층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고려말에 대거 중앙관직을 얻어 향리를 벗어났고, 국가에서는 이탈을 억제하는 제도를 마련하였다. 그 결과 조선전기에는 고려의 장리 가문이 계속 향리를 담당하는 이족(吏族)과 양반이 되어 좌수와 별감을 담당하는 사족(士族)으로 분화하여 각자의 역할을 하였다. 학성이씨도 이족과 사족으로 분화하였다. 이예(李藝)의 아들 중 이종근의 후손은 향리직을 담당했고, 이종실의 후손은 사족이 되었다. 호장 등 상급 향리직을 담당하던 이종근의 후손들은 임진왜란을 계기로 향리 신분을 면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후에도 계속 향리를 담당하여 일부 가문은 1700년대 중반까지 이어졌다. 조선후기에 더 이상 향리가 존중받지 못하고 중인으로 천시되자 이종근의 후손들은 향리를 그만두었다. The Hakseong Lee House has been a renowned Toseong(土姓) entity in the Ulsan region for a long time. Toseong designations originated from the Hyangri entities of the Goryeo dynasty period. The Hyangri entities of Goryeo were part of the national ruling system overseen by the government, and the Jangri figures(the Jangri-class(長吏層), who were the senior Hyangri figures) occupied the social status equivalent to those of the Yangban figures living in the capital or other central regions. Yet their status deteriorated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and in the early half of the Joseon period, their status was officially demoted. Responding to such changes in their own statuses, many of the Jangri figures managed to obtain positions inside the central government during the ending days of the Goryeo dynasty and escape the Hyangri status, while the government began to implement protocols discouraging the breaking from their original statuses. As a result, the Jangri houses of the Goryeo dynasty diverged into two groups, the Ijok(吏族) figures who kept managing Hyangri tasks, and the Sajok(士族) figures who became Yangban figures and were appointed to Jwasu and Byeolgam posts, in the early half period of Joseon. The Hakseong Lee house diverged as well. Among the sons of Lee Yae(李藝), Lee Jong Geun’s descendants continued to assume the roles of Hyangri, and Lee Jong Shil’s descendants became Sajok figures. Lee Jong Geun’s descendants, who were senior Hyangri figures(such as Hojang figures), escaped that status around the time of the Imjin-year war with the Japanese. Yet other house members maintained such existence through the mid-1700s.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 Hyangri figures were no longer respected as they had been in the past, and were rather disdained as middle class citizens(中人). So the Lee House members discontinued their service as Hyangri figures.

      • KCI등재

        중학교 교사들의 ‘학생 참여형 수업’에 대한 이해

        이종아(Lee, Jong-A),소경희(So, Kyunghee)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7 교육과학연구 Vol.48 No.2

        For the most part, Korean education has not been concerned with what students actually learn and experience in class. Consequently, students have largely been alienated from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To solve this problem, the “student-participatory class” became a slogan of the Free-semester Program and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However, current political understanding of the “student-participatory class” is more or less limited to drawing students" participation, especially engage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iddle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student-participatory class” and gain a more extensive understanding of it. For this purpose, qualitative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five middle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eachers conceptualized the “student-participatory class” in two aspects: type of learning activity and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And, teachers made efforts to realize the “student-participatory class” in three ways: lesson planning, classroom management, and external work. Also, teachers understood the “student-participatory class” to be 1) the pursuit of meaningful learning through students" substantive engagement, 2) efforts to foster good relationships to get students to participate in class, 3) guaranteeing rights of all students in the class, and 4) the need to change fundamental perspectives on the class beyond improving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this study presents implications for both policy and practic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김치선과 삼백만부흥운동의 의의

        이종전(Lee, Chong Jeon) 한국개혁신학회 2016 개혁논총 Vol.39 No.-

        한국교회사에서 삼백만부흥운동에 대한 언급은 곳곳에 나타난다. 하지만이 운동의 실체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미진한 상태다. 따라서 해방 직후에 김치선이 중심이 되어 주도한 삼백만부흥운동이 이 글을 통해서 한국교회사에서 재평가되고, 특히 해방 직후 교회의 재건과 함께 부흥운동사에 있어서 바른 정립을 기대한다. 김치선은 이 운동을 계획함에 있어서 한국교회의 부흥운동의 효시인 1907 년 대부흥운동을 전제로 해서 한국교회의 부흥운동의 역사를 계승하는 것임을 밝히고 있다. 따라서 삼백만부흥운동은 해방 이후의 민족복음화운동의 효시이며, 한국교회 부흥사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에 있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민족복음화라는 말은 1970년대에 이후에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렇다면 1945년에 시작한 삼백만부흥운동이야말로 민족복음화운동의 효시이고, 한국교회 부흥의 역사에서 1907년 대부흥운동으로부터 이어지는 부흥운동의 맥을 잇는 역할을 했다고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럼에도 이 운동에 대한 인식이 결여된 채 한국교회사를 서술한다는 것은 역사적 사실을 놓치는 것이다. 김치선이 주도한 삼백만부흥운동은 복음전도를 통해서 민족구원과 구국 (救國)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이루고자 했다. 김치선은 “구국과 구령”이라는 이중의 목적을 위해서 민족복음화라고 하는 방법을 선택했고, 이 민족복음화를 위해서 삼백만부흥운동을 계획하고 전개한 것이다. 결국 삼백만부흥운동을 전개하는 것은 “구국과 구령”을 목적으로 하는 민족복음화운동이었다. Even though we can easily find a word 「Three Million Revival Movement」 in the history of Korean church, still, researches on 「Three Million Revival Movement」 are insufficient so far. I anticipate this paper would contribute to revaluation of the 「Three Million Revival Movement」 in the history of Korean church, especially in the history of ‘Revival Movement’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Three Million Revival Movement」 is the beginning of ‘National Evangelism Movement’ after liberation, and it stand on the forefront of the revival history of Korean church. Chi-Syun Kim stated that 「Three Million Revival Movement」 is succeeding history of Korean church’s ‘Revival Movement’ when he planned this movement (he premised ‘The Great Revival Movement’ in 1907 which is the beginning of Korean church’s ‘Revival Movement’). National Evangelism, in general, was used since 1970’s. So 「Three Million Revival Movement」 would consider as the beginning of ‘National Evangelism Movement’. And we can regard 「Three Million Revival Movement」 as a successor of ‘Revival Movement’ after ‘The Great Revival Movement’ in 1907. So describe Korean Church’s history without 「Three Million Revival Movement」, means it missed an important historical fact. 「Three Million Revival Movement」 , led by Chi-Syun Kim, was aimed to achieve two main purposes ‘people’s salvation’ and ‘national salvation’ through evangelization. Chi-Syun Kim choose ‘National Evangelism Movement’ as a mean for achieving his two purpose ‘national salvation’ and ‘soul salvation’. Ultimately, 「Three Million Revival Movement」 is ‘National Evangelism Movement’ for the purpose of ‘national salvation’ and ‘soul salvation’.

      • KCI등재

        의사소통, 알아차림, 자기효능감이 온라인 협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종만(Jong Man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1 No.7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mindfulness, and self-efficacy on the performance of online collaboration. The survey method was used for this study, and data from a total of 80 university studen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communication and mindfulness have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Second, communication do not have a direct effect on online collaboration performance but self-efficacy mediates the communication effect. Third, mindfulness do not have a direct effect on online collaboration performance but self-efficacy mediates the mindfulness effect. In this study, we suggested the importance of self-efficacy in building the performance of online collabor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류문화에서 재현되는 여성/담론 - 케이팝 아이돌 걸그룹의 뮤직비디오 속 이미지를 중심으로

        이종임 ( Lee Jong I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6

        본 논문은 글로벌 팬덤과 문화산업의 핵심 주체 그리고 대중문화의 아이콘으로 자리잡게 된 아이돌 걸그룹이, 여전히 획일화된 젠더 이미지로 미디어에서 재현되는 이미지 생산방식과 그 구조적 원인을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논문에서는 한류문화 생산 시스템과 한류아이돌 가수의 육성방식이 결합되면서 나타나는 미디어 속 젠더 이미지의 함의를 이론적으로 정리함으로써 몸 이미지를 상품으로 구성하는데 열광하는 팬덤 형성의 중요한 매개가 `시선`임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또한 한류문화가 초국적 문화교류과정에서 형성되는 문화적 구성물이라기보다 뮤직비디오에서는 성애적 모습으로, 무대 밖에서는 `소녀`의 모습으로 이미지화되면서 사회속에서 실재하는 여성들과 남성들의 욕망을 위해 구성된 이미지로 소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의 향후 과제로는 아이돌 걸그룹의 이미지가 어떻게 이중적으로 재현되고 있는지 구체적인 내용분석을 통해 걸그룹의 미디어 이미지 구축방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한류문화의 민족주의적 담론을 넘어서 문화연구와 젠더 담론 분석의 중요한 이론적 근거로서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nquires into the implications of the music video image of the Idol girl group, as a phenomenon likes at the popularity of the Korean Wave. This paper examines the reason why consumer and fandom like girl group`s standardized image in the media and how girl group image is produced and reproduced by entertainment company and male gaze. This paper argues that the reason why girl group of media images are related to profit structure of the Korean Wave and the recent rise of k-pop fandom, such as the symbolic family. In the end this paper investigates to tend to sustain and reinforce the gender stereotype in the media image about girl group.

      • KCI등재후보

        성숙 흰쥐에 Capsaicin 투여가 시상하부의 vasopressin 분비세포와 oxytocin 분비세포에 미치는 영향

        이종은(Jong Eun Lee),김연희(Youn Hee Kim),한후재(Hoo Jae Hann),이원택(Won Taek Lee),박경아(Kyung Ah Park) 대한해부학회 1999 Anatomy & Cell Biology Vol.32 No.6

        붉은 고추에서 매운 맛을 내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capsaicin은 일차 감각신경세포 및 섬유만을 선택적으로 파괴시켜 통증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 와서 중추신경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와 이에 대한 가능성이 계속 대두되어 왔다. 본 실험에서는 capsaicin이 중추신경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정하에 capsaicin이 중추신경계 내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상하부의 신경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인 vasopressin과 oxytocin 생성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성숙흰쥐에 capsaicin 50 mg/kg를 1회 피하주사로 투여한 후 시상하부에서 vasopressin와 oxytoc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상하부의 뇌실옆핵과 시각로위핵에 존재하는 신경세포의 세포체의 면적을 계측한 결과, capsaicin은 일반 신경세포나 vasopressin 양성 반응 세포, oxytocin 양성 반응 세포 모두에서 세포체 면적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시상하부의 뇌실옆핵과 시각로위핵에서 vasopressin 양성 반응 세포와 oxytocin 양성 반응 세포들을 계수한 결과, capsaicin 주사 1개월 후부터 감소추세를 보이기 시작하여 주사후 2개월이 경과할 때까지 계속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성숙흰쥐에 투여한 capsaicin은 시상하부의 뇌실옆핵과 시각로위핵의 vasopressin과 oxytocin 분비세포의 vasopressin과 oxytocin에 대한 면역반응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아 시상하부의 신경분비세포들이 분비하는 vasopressin와 oxytocin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Capsaicin, the pungent algesic substance of the red pepper is known to be a neurotoxic substance, interrupting the pain conducting pathwa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the adult animals,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have been done after capsaicin treatment. Capsaicin 50 mg/kg was injected subcutaneously to the adult rats and after 1 week, 1 month and 2 months later, the morphometric change of vasopressin & oxytocin-secreting cells in supraoptic and paraventricular nuclei of the hypothalamic area were investigated. The count of vasopressin- and oxytocinimmunoreactive cells in supraoptic & paraventricular nuclei were decreasing from 1 month after capsaicin treatment and these decreasing was continued until 2 months. The area of neurons in the supraoptic & paraventricular nuclei were measured and they diminished in the all kinds of neurons. With the above results, capsaicin treatment in adult rats had no effects in central nervous system neurotransmitters, however, some part of the hypothalamus where blood brain barrier was not formed were affected. Therefore central nervous system could be affected by capsaicin depending upon the lo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