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학 I 교과에 대한 화학 교사들의 인식과 학습 지도 방식에 대한 조사

        이은주,조영자,김은숙,유란영,김동진,박국태,Lee, Eun-Ju,Cho, Young-Ja,Kim, Eun-Suk,Ryu, Ran-Yeong,Kim, Dong-Jin,Park, Kuk-Tae 대한화학회 2007 대한화학회지 Vol.5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화학I 교과의 목표와 성격에 대한 화학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학습 지도 시 화학 교사들의 학습 내용 선택도와 학습 지도 방식에 대해 조사하여, 화학I 교과가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40개 고등학교 화학 교사 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화학 교사들은 제7차 교육과정의 화학I 교과의 목표가 화학적 소양을 갖춘 민주 시민의 양성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화학I 교과의 목표에 적합한 수업 방식은 실험·실습 수업 혹은 조사 및 토의 수업과 같은 탐구 중심의 수업 방식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 수업에서는 개념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화학 교사에 따라 학습 내용 선택도에 차이가 많았다. 그리고 화학 교사들은 화학I 교과가 화학 학습에 흥미와 호기심을 갖게 하는데 적합하다고 생각하지만 화학 개념을 체계적으로 이해시키기엔 부적당하기 때문에, 화학I 교과의 학습 내용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화학I 교과의 목표에서 탐구 학습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탐구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분한 교사 연수와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며, 교육과정 개정 시에 화학 교사들의 경험이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chemistry teachers' perceptions on the aim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emistry I course from the 7th national curriculum by means of investigating how frequently particular learning contents were selected and what the teachers' teaching styles were in order to find out how effectively teachers were working with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teaching.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by means of questionnaires, which was answered by 44 chemistry teachers in 40 different high schools.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for the perception on the aim and characteristics of chemistry I course, many chemistry teachers have already perceived that the aim of the course was to promote democratic citizens with the knowledge of chemistry. And the most appropriate way of teaching chemistry I course was inquiry-centered teaching such as experiment-practice and inquiry-discussion. However, these perceptions were not reflected when they actually taught students in the classroom. Instead, most of the class was concepts learning and there were a lot of differences in selecting learning contents among chemistry teachers. Furthermore, although chemistry I course was considered a good subject to make students have interest and curiosity in chemistry, it was not appropriate to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s of chemistry. Therefore, learning contents in chemistry I course need to improve. In conclusion, as the goal of 7th national curriculum of chemistry I course was to emphasize inquiry teaching, inquiry based teaching should be practiced in the class. Moreover, sufficient teacher training should be accompanied and alternative additional teaching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Finally teachers' experiences should be reflec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when it is revised.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활동에 있어 도서관목록의 의미

        이은주,이제환,Lee, Eun-Ju,Lee, Jae-Whoa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3 No.3

        이 연구는 대학생의 다양한 학습활동에 있어서 도서관과 도서관목록의 이용행태를 살펴보고, 이러한 행태 속에서 나타나는 대학도서관 목록의 가치와 의미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또한, 다양한 학습활동의 유형과 인적 변인에 따른 행태의 차이를 다각도로 분석함으로서, 이용자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목록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보다 면밀한 접근을 위해 도서관목록 탐색행태에 대한 관찰법을 함께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현재 대학도서관목록은 특정 자료의 소장유무 확인과 서가위치 파악과 같은 최소한의 목적을 위해 사용되고 있었으며, 도서관목록이 대학생의 학습활동을 위한 포괄적인 탐색도구로 기능하려면 대학생들의 정보행태에 기반한 전반적인 품질개선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lues and meanings of university libraries and library catalog in the learning activities of Korean college students. Discussed in details are unique features in their library use behavior and catalog search behavior, and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their behavioral characteristics. A qualitative approach was employed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Intens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0 students, also utilized was tight and close observation of their library search behavior. The result of this study is on identifying the underlying reasons why Korean students use their libraries and catalogs in a passive and limited manner.

      • KCI등재

        소아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과 기질 및 성격과의 관계

        이은주,김형중,이선행,장규태,Lee, Eun Ju,Kim, Hyung Joong,Lee, Sun Haeng,Chang, Gyu Tae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15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29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 children and Temperament and Character using objective criteria and questionnaires. Methods This study surveyed 3-6 years old 130 children who were attending the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 in the vicinity of Gangdong from May 15th, 2014 to November 30th, 2014. The Korean-translated Questionnaire on Pediatric Gastrointestinal Symptoms-Rome III (QPGS-Rome III) and The Junior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3-6 (JTCI 3-6) questionnaires were used. Results 1. Between the groups,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NS, NS1, NS4, HA4, ST and ST1. 2. As the number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crease, the group scored higher on NS, NS1, NS4, HA4, ST and ST1.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group exhibited higher NS, NS1, NS4, HA4, ST and ST1 scores.

      • SCOPUSKCI등재

        경피적 내시경적 위루술을 이용한 병적 공기 연하증 치료 경험 1례

        이은주,송애령,최은진,황진복,오희종,이영환,Lee, Eun-Joo,Song, Ae-Ryong,Choi, Eun-Jin,Hwang, Jin-Bok,Oh, Hee-Jong,Lee, Young-Hwa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0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3 No.1

        저자들은 정신 지체를 가진 병적 공기 연하증환자를 임상 증상과 단순 흉부 X-선 사진상의 '식도 내 공기 징후'와 투시진단법으로 진단하여 보고하는 바이며, 본 증례와 같이 장기적으로 호전을 보이지 않는 공기 연하증 환자에서 조기에 PEG를 시행하여 공기를 빼내는 도구로 이용하면, 심각한 합병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We experienced a case of pathologic aerophagia in a 10-year-old girl who has mental retarda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abdomen was non-distended in the morning and became maximally distended in the evening. Increased passage of flatus, but normal eructation, was noted. Roentgenographic examination showed 'esophageal air sign', abnormal air shadow on proximal esophagus adjacent to the trachea, in simple chest X-ray and visible air swallowing fluoroscopically. We tried a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PEG) to decompress swallowed air in stomach. We suggest that placement of a PEG catheter in early life, especially in mentally retarded patients, that can be used as desufflator, can prevent the complications of aerophagia. 'Esophageal air sign' may be very helpful for early detection of pathologic aerophagia.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활동에 있어 도서관의 의미 - P대학도서관 이용자의 정보행태를 중심으로 -

        이은주,이제환,Lee, Eun-Ju,Lee, Jae-Whoa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2 No.3

        이 연구는 대학생들을 사례로 하여 학습과 관련한 각종 활동의 실체를 파악하고 그러한 활동 과정에서 두드러지는 정보행태적 특징을 밝혀냄으로써 대학도서관 서비스를 '이용자 친화적'으로 혁신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성취하고자 이 연구에서는, 첫째, 대학생의 학습활동을 분석하여 유형화하고 학습활동의 유형에 따른 정보행태적 특징을 밝혀내었으며, 둘째, 정보행태적 관점을 중시하면서 학습정보원으로서 대학도서관이 갖는 비중과 이용행태를 파악하였고, 마지막으로, 대학도서관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인적 변인을 드러내고 그러한 변인에 따른 도서관이용행태의 차이를 밝혀내었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29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데이터는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거쳐 논점의 전개를 위해 활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nformation behavior of Korean college students as related to their process of learning activities, and to provide the essential data for improving the service quality of Korean academic libraries. To the end, discussed in details are (1) classifying the everyday learning activities of college students into six types and finding out the special features of their information needs and seeking behavior, (2) figuring out the meanings and use-patterns of academic libraries in their everyday learning, and (3) developing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ir library use behavior and te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ch variables and library use behavior.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with 290 college students, and analyzed for both frequency test and Chi-square test for the discussion.

      • KCI등재

        여성작가가 재현한 신여성이라는 현실 -이선희,박화성, 강경애를 대상으로

        이은주 ( Eun Ju Lee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9

        이선희, 박화성, 강경애는 1930년대라는 동시대를 산 여성작가들이다. 하지만 그들이 작품 속에 재현하고 있는 여류문사(신여성)의 모습은 다르 다. 계몽이 필요한 아이 혹은 속물적 인간으로 재현되거나 자기 욕망과 내 면에 집중하는 근대 개인으로 체현되기도 한다. 박화성은 1930년대 연애 담과 사치, 허영 등의 부정적 에피소드들로 담론화되었던 여류문사에 대 한 소문들을 그대로 받아쓰기하지는 않았지만 당대 가부장 문화에서의 일탈을 욕망하던 신여성을 담아내지는 못 했다. 강경애가 보여주는 여류문사는 1930년 당대 매체를 통해 형성되었던, 조롱과 반감의 대상으로서의 여류문사(신여성)의 모습과 일치한다. 자기 반성을 모르는 사람, 지적 허영 등은 강경애가 포착한 당대 여류문사의 일 면이다. 박화성과 강경애는 신교육을 받은 여성작가로 살았지만, 작품에 서 한 인간으로서의 신여성에 대해서는 특별한 관점을 드러내고 있지 않 다. 부르주아적 감성을 드러낸다고 이야기되는 이선희의 작품 속에 등장하 는 신여성들에게 중요한 것은 자기의 욕망, 감정, 내면의 변화이다. 이선 희의 작품에서 재현된 신여성들은 식민지 근대를 살아야 하는 도시인들의 양면성, 즉 근대 문화를 향유하면서도 그 속에서 느끼는 소외감과 내 것이 될 수 없음에서 느끼는 고독을 육화하고 있다. 1930년대 여성작가들이 신여성을 재현하는 눈은, 조선의 빈궁한 삶(과 공간)을 바라보는 신여성의 시선에도 그대로 투영된다. 박화성의 신여성 은 놀라고 배우는 자세로 조선 하층 현실을 수용한다면, 강경애의 여류문 사는 자기가 사는 세계와 다른 세계, 인간들이 사는 곳이라고 할 수 없는, 그래서 내가 있어서는 안 되는 공간으로 위계화한다. 한편 이선희의 신여 성들에게 농촌과 어촌은 생활과 삶의 공간이 아니라 개인의 욕망과 자아 가 투영되는 배경(자연)이 될 뿐이다. 부르주아 신여성들에게는 나(의 욕 망) 자신에 대한 몰두가 곧 삶이고 생활이었기 때문에 외부세계는 중요한 것으로 선택되지 못 한다. 그들의 현실은 조선 민중의 현실과 다른 것이었 다. Lee Sun Hee, Park Hwa Seong, and Kang Kyeong Ae are female writers who lived contemporarily in the 1930`s. However, the ways they represent female writers (modern women) in their works are distinct. They are reproduced as a girl or a snob who needs enlightening, or they are embodied as a modern individual who concentrates on the personal desire and inner side. Park, Hwaseong did not take down the rumors of female writers who had been discussed on such negative episodes as love stories, extravagance, and vanity in the 1930`s. She, however, failed to show a modern woman who longed to break away from the contemporary culture of patriarchism. The modern woman that Kang, Kyeongae showed corresponds to the image of modern women as a figure of mockery and hostility which was presented on the media of the 1930`s. A woman who does not know self-reflection and possesses intellectual vanity is an aspect of the contemporary female writer that Kang captured. Park and Kang were female writers who received new education, but they do not reveal any particular stance on modern women as a human being in their works. What is important to the modern woman in Lee, Sunhee`s works that have been said to expose bourgeois sentiment is her own desire, emotion, and inner variation. The modern women represented in Lee`s works incarnate ambilaterality of urbanites who had to live in colonial modernism; that is, they bask in the modern culture but they feel a sense of alienation and solitude due to the fact that they cannot actually have it. The perspective of the female writers` in the 1930`s on modern women is starkly reflected on the modern women`s eyes that view Joseon`s penurious life (and space). Park`s modern woman accepts the reality of Joseon`s lower class in a surprised and educational way, whereas Kang`s modern woman hierarchizes it into a disparate space where people cannot live and therefore she should not belong. Meanwhile, for Lee`s modern woma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are not a space for life and living, but they are just a background (nature) on which an individual`s desire and ego are projected. For bourgeois modern women, engrossment in themselves (their desires) is equal to life and livelihood, and thus the outside world cannot be considered significant. Their reality was different from that of Joseon`s general public.

      • KCI등재후보

        저염식이를 이용한 cyclosporine 신독성에서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의 영향

        이은주,이은실,하정희,김용진,박용훈,Lee Eun-Ju,Lee Eun-Sil,Hah Jung-Hi,Kim Yong-Jin,Park Yong-Hoon 대한소아신장학회 2000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4 No.2

        목 적 : Cyclosporine(CsA)는 면역 억제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가장 중요한 부작용인 신독성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다. 이에 저염식이를 한 쥐에서 유발되는 만성 CsA 신증에서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억제제(ACEI)가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흰 쥐를 대상으로 하여 표준식이(NSD), 저염식이(LSD), NSD+CsA. LSD+CsA, NSD+CsA+ACEI, LSD+CsA+ACEI를 1-6군으로 분류하여 공급하였다. 6주 후 혈중 CsA농도, 혈청 sodium, potassium, GFR을 측정하였고, 신장의 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성 적 : 혈중 CsA농도와 sodium치는 각 군간에 차이가 없었고 potassium치는 CsA 단독 투여시에는 식이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CsA와 ACEI를 병용 투여시에는 NSD군에 비해서 LSD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사구체 여과율은 CsA만 투여한 경우나 CsA와 ACEI를 병용투여한 경우에서 NSD군에 비해 LSD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NSD를 시행한 경우에서는 CsA만 투여한 경우보다 ACEI를 병용투여했을 때 GFR이 더 감소하였다 (P<0.05). 조직학적 소견은 CsA투여에 의한 근위부 세뇨관 위축, 간질의 섬유화와 PAS염색 양성인 과립들이 출현하였고 이는 NSD군보다 LSD군에서 더 저명하였으며 ACEI를 병용시에도 LSD군에서 이러한 변화가 더 저명하게 관찰되었으나 ACEI 투여 전과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염분 부족은 renin-angiotensin system을 활성화해서 CsA 신증을 더욱 가중시키며, ACEI는 LSD로 유발된 CsA 신증에서 신기능의 화학적 지표와 조직학적으로 더욱 악화시컸다. 이 결과로 LSD로 인해 더욱 조장될 수 있는 간접적인 신허혈 상태에서는 ACEI는 신관류를 개선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신독성이 더욱 악화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Purpose: Cyclosporine(CsA) is a potent immunosuppressant but the use of CsA is associated with various side effects, especially nephrotoxicity. In tile kidney, salt depletion activates tile renin-angiotensin-aldosteron(RAS) system and accentuates chronic CsA nephropathy. We postulate that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s(ACEI) can prevent chronic CsA nephropathy, since ACEI may inhibit this cascades. This study was aimed to assess the effect of ACEI on chronic cyclosporin nephropathy in salt depleted rats. Methods: 36 Fischer-344 rats were divided into 6 goups. Group I received normal salt diet(NSD). Group II received a low salt diet(LSD). Group III received CsA with a NSD. Group IV received CsA with a LSD. Group V received NSD+CsA with ACEI. Group VI received LSD+CsA with ACEI. Rats were sacrificed after six weeks and the glomerular filtration rate(GFR), serum sodium, potassium and whole blood cyclosporine levels were measured. Renal tissues me sampled for the observation of histological changes. Results: No differences in blood CsA level & serum sodium were found between groups during the course of this experiment. Serum potassium in group VI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group IV and V (P<0.05). In groups treated with CsA only and in those where CsA was combined with ACEI, GFR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more decreased in LSD than NSD, and GFR in group V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group III (P<0.05). Renal histologic lesions associated with CsA which consisted of cortical interstitial fibrosis, tubular atrophy and hyalinization of arterioles were more severe in tile LSD group. But,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ile groups treated with CsA and ACEI, and the groups treated with only CsA. Conclusion: Salt depletion associated with the activation of the RAS system accentuated chronic CsA nephrotoxicity, but, ACEI could not reduce the functional and morphological changes of salt depleted kidneys, in which nephropathy can be exacerbated in spite of the blocking of the angiotensin II pathway.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lucidate whether Am ameliorated the effect of salt-depleted CsA nephrotoxicity upon the effective renal blood flow.

      • KCI등재

        교대로 운전되는 두 개의 UV/광촉매반응기로 구성된 폐가스 처리시스템에서의 광촉매의 비활성화 및 재생 특성

        이은주 ( Eun Ju Lee ),정찬홍 ( Chan Hong Chung ),임광희 ( Kwang-hee Lim ) 한국화학공학회 2021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9 No.4

        본 연구에서는 교대로 운전되는 두 개의 UV/광촉매 반응기로 구성된 폐가스 처리시스템의 운전단계와 단계별 광촉매의 비활성화의 상관관계를 사용된 광촉매에 대한 기기분석을 통하여 규명하였다. 선행연구[Lee와 Lim, Korean Chem. Eng. Research, 59(4), 574-583 (2021)]의 광촉매 반응기 시스템 운전에 사용되지 않은 광촉매를 담지한 다공성 SiO<sub>2</sub> 담체(A4), 1회 운전하는 동안 사용되고 재생을 경험하지 않은 광촉매를 담지한 다공성 SiO<sub>2</sub> 담체(A1), 2회 운전에 사용되고 1회 재생된 광촉매를 담지한 다공성 SiO<sub>2</sub> 담체(A2) 및 3회 운전에 사용되고 2회 재생된 광촉매를 담지한 다공성SiO<sub>2</sub> 담체(A3)와, 1차 재생(AD1) 또는 3차 재생(AD3)된 광촉매를 담지한 다공성 SiO<sub>2</sub> 담체에 대한 BET 분석, SEM, XPS, SEM-EDS 및 FTIR 분석 등을 수행하여, 광촉매를 담지한 다공성 SiO<sub>2</sub> 담체의 비활성화 및 재생 특성을 포함하는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로서, 3회 이상의 여러 번 재생을 수행하는 광촉매의 적정 재생 온도를 200℃ 미만으로 도출하였다. 이러한 광촉매의 적정 재생 온도는 BET 분석결과에서 도출된 기공에 흡착된 에탄올 산화분해 중간생성물의 대부분이 완전 분해가 되어 기공이 재생되는 재생 온도와 거의 일치하였다. 특히, XPS 분석 결과는, 선행 연구[Lee와 Lim, Korean Chem. Eng. Research, 59(4), 574-583 (2021)]에서 광촉매 반응기의 첫 번째 운전 후에 광촉매의 미세한 비활성화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XPS 분석 결과는, 선행연구[Lee와 Lim, Korean Chem. Eng. Research, 59(4), 574-583 (2021)]에서 광촉매 반응기의 두 번째 운전에서 비교적 큰 광촉매의 비활성화가 발생하여 첫번째 운전성능보다 약 5%만큼 못 미치는 에탄올과 황화수소 각각의 제거효율을 초래하였으나, 세 번째 운전에서의 에탄올과 황화수소의 제거효율은 두 번째 운전에서의 에탄올과 황화수소의 제거효율 실험 결과와 거의 비슷하였다는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한편, AD3를 사용하여 선행연구[Lee와 Lim, Korean Chem. Eng. Research, 59(4), 574-583 (2021)]에서와 같은 광촉매 반응기의 네 번째 운전을 수행할 것을 가정하면, 두 번째 운전에서보다 더 큰 광촉매의 비가역적 비활성화의 발생으로 인하여 에탄올과 황화수소 제거효율이 가장 크게 저하되리라 예상되었다.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operating stages of waste air-treating system composed of two alternatively-operating UV/photocatalytic reactors, and the deactivation of photocatalyst used in each operating stage, was investigated by instrumental analysis thereon. The repeated deactivation and subsequent re-generation of photocatalyst used in the waste air treating system of previous investigation performed by Lee and Lim (Korean Chem. Eng. Research, 59(4), 574-583(2021)), were characterized on virgin photocatalyst-carrying porous SiO<sub>2</sub> media (A4), used photocatalystcarrying porous SiO<sub>2</sub> media (A1, A2 and A3) collected from the corresponding photocatalytic reactor upon 1<sup>st</sup>, 2<sup>nd</sup>, and 3<sup>rd</sup> run, respectively, regenerated photocatalyst-carrying porous SiO<sub>2</sub> media upon 1 time-run (AD1) and 3 times regenerated photocatalyst-carrying porous SiO<sub>2</sub> media upon 3 time-runs (AD3) by instrumental analysis including BET analysis, SEM, XPS, SEM-EDS and FT-IR. As a result, the proper regeneration-temperature for deactivated photocatalyst to be regenerated several times (more than 3 times), was suggested below 200℃. Such temperature of deactivated photocatalystregeneration was almost consistent to the one, according to BET analysis, at which tiny nano-pores blocked by adsorbed ethanol-oxidative and degraded intermediates (AEODI), were regenerated to be reopened through almost complete mineralization of AEODI. In particular, the results of XPS analysis indicated an incurrence of insignificant deactivation of photocatalysis upon 1<sup>st</sup> run of UV/photocatalytic reactor (A or C) of the previous investig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XPS analysis were consist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previous investigation in that 1) deactivation of photocatalyst incurred during 2<sup>nd</sup> run of the UV/photocatalytic reactor (A or C) resulted in decreased removal efficiency, by ca. 5% and 5%, of ethanol and hydrogen sulfide, respectively, compared with its 1<sup>st</sup> run; 2) there was i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moval efficiencies of its 2<sup>nd</sup> run and 3<sup>rd</sup> run. Furthermore, the removal efficiencies of ethanol and hydrogen sulfide for hypothetical 4<sup>th</sup> run of photocatalytic reactor in the previous investigation, using AD3, were expected to decrease, compared with its 3<sup>rd</sup> run, by much more than those for 2<sup>nd</sup> run in the previous investigation did, compared with its 1<sup>st</sup> run.

      • 李應台(1556~1586) 묘 출토 상의류의 분류와 구성법

        이은주(Lee Eun-Joo) 한복문화학회 2002 韓服文化 Vol.5 No.3

        This study proposes a classification standard of the upper garment based on the excavated costume from the grave of Eung- T ae Lee(1556-1586) found at JeongSang-dong, Andong, KyungBuk province, Korea on APril 1998. This study also classifies the remaining clothes by the proposed standard and shows their characteristics and constructive methods.<br/> The first classification standard of the upper garment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clothes cover the upper<br/> body are the male upperwears.<br/> The second classification standard is based on the whole scale such as back length, width, and sleeve length and the third one is based on the other components including the shape of collar, length of side-open, armpit gusset. materials. arrangement of color.<br/> The upperwears from the grave of Yeung- Tae Lee consist of 7 pieces for male, 3 pieces for female. and 1 piece for children. Jukori. Hansam. and Jucksam are classified into male upperwear category, Jangjugori without side-open and Danjugori without side-open are classified into female upperwear category.<br/>

      • KCI등재

        지역사회 중노년기 성인의 연령군별 낙상두려움 관련 요인

        이은주,이은숙,Lee, Eun Ju,Lee, Eun Sook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22 동서간호학연구지 Vol.28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fear of falling (FOF) in different age groups from community-dwelling mid to late-adults. Methods: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FOF, data of 162,684 adults over 45 years of age from 2019 Community Health Survey was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with complex samples. Results: Factors related to FOF found in all age groups were sex, previous experience of falls, physical activity levels over moderate intensity, subjective health status, number of chronic diseases, stress, depression, and cognitive decline. In the 45-64 age group, the FOF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s of low education level and low monthly household income. In the 65-74 and over 75 age groups, the FOF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s of not living with spouse and walking not practiced. Conclusion: We suggests that understanding of risk factors and early detection of fall risk patients in each age group are necessary to establish and apply tailored fall prevention program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the FOF in community-dwelling mid to late-ad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