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하는 건설기업 ESG 활동 및 성과 사례

        이윤선,문혁,이태식,Lee, Yoonsun,Moon, Hyuk,Lee, Tai Sik 한국건설관리학회 2021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22 No.2

        지구 환경문제가 국제적인 문제로 부상하면서 국제사회는 글로벌 이슈(기후 변화, 빈곤퇴치, 인권 등)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가능발전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실행하고자 다양한 조직적 노력을 시도하며 통합해오고 있다. 최근 파리기후협정과 SDGs 달성에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고자 지속가능한 금융의 투자가 확대되며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사회·지배구조가 기업의 미래 경쟁우위와 수익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무형자산이 되어, 국내외 기관 투자자와 자산운용사들은 ESG 성과를 기반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ESG 성과 정보 공개를 요구하는 국제적 기준과 이니셔티브를 도출하고, 건설기업의 ESG 활동 및 성과 수준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건설산업이 코로사19 사태, 탄소 중립, 중대 재해 발생 등으로 당면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ESG 생태계를 구축하고, 무형자산 측정 및 관리를 위한 플랫폼 개발의 기본 자료로 활용되어 녹색 금융이 주는 비지니스 기회와 일자리 창출 등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Global governments and initiatives have attempted and integrated various organizational efforts to implement the 17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presenting a new paradigm of sustainable development to address global issues (climate change, poverty eradication, and human rights). Recently, investment in sustainable finance has expanded to finance the attainment of goals set out in the Paris Agreement and SDGs. Non-financial factors such as environment, social responsibility, and governance (ESG) have become intangible assets that determine the future competitiveness and profitability of companies. Domestic and foreign institutional investors and asset management companies have been expanding their investments based on the ESG performance of companies. In this study, we aim to deriv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initiatives that require disclosure of information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ESG performance and analyze construction companies' ESG activities and performance lev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s to develop platforms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ESG ecosystem and the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intangible assets. These could ultimately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crisis in the future due to the outbreak of the COVID-19 pandemic, fostering net-zero emissions, and preventing fatal workplace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 구체축열복사냉난방시스템과 외기전담공조시스템의 통합 적용에 따른 냉방성능 평가

        이윤선(Lee, YoonSun),이겨레(Lee, Keo-Re),정웅준(Chung, Woong June),임재한(Lim, Jae-Han) 대한건축학회 2018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8 No.1

        In order to decrease energy consumption of heating and cooling in building, Thermally Activated Building System(TABS) is provided due to energy efficient performance and reduction of peak loa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oling performance of TABS with Dedicated Outdoor Air system(DOAS) in Korea climate. DOAS coupled with a parallel sensible cooling could be promising because TABS handles sensible heat load only. Compared to Air Handling Unit system(AHU), DOAS allows for 22.3% more use of cooling performance of TABS. The integration of DOAS and TABS increases the potential for building energy saving.

      • KCI등재

        서남해지역 민속음악의 무속기반과 재창조 전통

        이윤선(Lee Yoonsun) 한국무속학회 2007 한국무속학 Vol.0 No.15

        본고는 산조와 창극을 중심으로 한국 서남해지역의 민속음악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개괄하고 그 특징과 관련 인물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 글이다. 흔히 서남해는 협의의 권역과 광의의 권역으로 나누는데, 본고에서는 협의의 권역인 서남해를 대상으로 삼았다. 내륙지역으로는 목포를 중심으로 무안군, 영암군, 해남군, 강진군이 포함되며, 섬지역으로는 신안군, 진도군, 완도군이 포함된다. 이들 지역이 서남해의 가장 중심된 지역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서남해에서 발전되거나 전개된 민속음악은 무수히 많지만 그 중에서 산조와 판소리, 그리고 창극을 본고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 음악이 巫係 및 음악인들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먼저는 각 지역의 무속적 배경을 연행자와 연행 순서 등으로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무속인들은 일정한 시점에 이르러 동인 조직을 결성하게 되는데, 그 중심이 신청(재인청)이다. 신청 조직은 시대를 거쳐 오면서 무속음악의 예술화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무속음악의 재창조작업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도도한 흐름은 갖가지 국악 관련 협회나 단체들로 발전하고 급기야 서남해 민속음악의 중추지라고 판단되는 진도지역에 국립남도국악원을 설립하게 되는 토대로 작용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특히 신청조직은 서남해지역의 민속음악 중에서도 기악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것으로 보았다. 기악 및 창극 발전의 여러 가지 단서들로는 가야금산조 창시자로 불리는 영암의 김창조 및 그 예하 명인들, 대금산조의 창시자로 불리는 진도의 박종기, 창극의 창시자로 불리는 무안의 강용환 등을 들 수 있다. 무속음악이 서남해민속음악사에서 토대적 맥락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전남지역의 세습무가 자체가 무가, 춤, 놀이를 토한 예술성, 연희성이 강조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도 드러난다고 생각하였다. 무속음악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예술음악으로 재창조되어 온 맥락을 전제한다는 뜻이다. 이 재창조적 맥락 속에서 산조가 짜여지고, 판소리가 전개되며 또 창극이 시도되었다고 생각하였다. 결국 서남해지역은 상고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도서지역과 영산강이 끊임없이 만나고 소통하는 공간이라는 점을 확인한 셈이며, 도서와 내륙이 영산강을 매개로 끊임없이 서로 만나서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내거나 변화시키는 문화접변의 현장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무엇인가 끊임없이 창조해내는 능력이 지리적 조건을 통해서 생태적으로 잉태되었으며 그 인물들이 이 지역 민속음악을 재창조해왔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has its purpose on summarizing how the folk music in the southwest area, Korea was developed centering around Sanjo(Korean instrumental music) and Changguk(Korean classical opera) and inquiring into their features. Usually, the southwest is divided into two part; a circle in a broad sense and a circle in a narrow sense. The study makes the last one as the object. As an inland area, the circle includes Muan county, Yeongam county, Haenam county, and Gangjin county centering around Mokpo city, and also includes Shinan county, Jindo county, and Wando county as an islands area. This is because the study thinks that those area are the most important area of the southwest sea. There are a lot of folk music which has developed and spreaded in the southwest sea, but, among them, the study makes it as the object of study to Sanjo, Pansori(a traditional Korean narrative song), and Changguk, because the study estimates that these musics make an effort on a shamanic music directly and indirectly. First, the study briefly exams the shaman background of each area according to performers and performing orders. Shamans made a coterie organization up to a point of time, and the core of the organization was Shincheong(Jaeincheong, a group or organization of shaman and court musician). The organization made an important role in the artistic process of shamanic music as times goes by. This can be called as the re-creational work of shamanic music. The study emphasizes on these calm current because the current became many associations or groups of Korean music and after all, functioned as a foundation which, in Jindo county, established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Namdo Performing Arts to be regarded as the central place of the southwest folk music. Especially, the organization of Shincheong seems to contribute on the development of instrumental music among the folk music in the southwest area. Many evidences for the development of instrumental music and Changguk can be found in some examples; Kim Chang-jo who is called as the originator of Gayageum Sanjo(Korean instrumental music for Gayageum) and masters under his banner; and Park Jong-gi in Jindo who is called as the originator of Daegeum Sanjo(Korean instrumental music for Daegeum); and Kang Yong-hwan in Muan who is called as the originator of Changguk. The study figures out that the shamanic music has its basic context in the history of folk music of the southwest sea, and this fact can be found in that the hereditary dance of Jeonnam area itself has characters which an artistic feature and an enjoyable feature are accentuated by songs, dances, and plays.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the shamanic music doesn't come to the end as itself, but premises the context to be re-created as an artistic music. In the context of this re-creation, Sanjo is made up, Pansori is developed, and Changguk is attempted. Conclusionally, the southwest sea area is confirmed as a space which islands area and Youngsan River perpetually has met and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Therefore, the area can be said as the space of a cultural assimilation to re-create a new culture or change an old culture. Namely, it can be the area where perpetual creative power ecologically has been born by a geographical condition.

      • 중국 주산군도(舟山群島) 어민화(漁民畵)를 통해서 본 민화의 민속학적 접근

        이윤선(Lee Yoonsun) 한국민화학회 2016 한국민화 Vol.- No.7

        중국 주산군도(舟山群島)에 어민화(漁民畵)가 있다. 절강성 무형유산 1호로 지정되었다. 어민들이 직접 그리고 향유하는 그림이었다. 1950년대 공산주의 프로파간다 기능을 했던 농민화의 영향을 받아 재창조된 장르로 보인다. 본고는 중국의 어민화를 사례 삼아 민속학적 범주에서 어떻게 민화에 접근하고 그 의미들을 드러낼 것인가 주목했다. 어민화를 대상으로 하니 자연스럽게 섬과 바다에 주목하게 되었다. 민화에 대한 개념이나 의미는 야나기 무네요시 이후로 많은 주의주장들이 있었다. 하지만 민속학자들이 접근하는 민화논의는 거의 없다. 한국에는 아직 어민화라는 개념이나 접근이 없다. 하지만 당신도 등 어민과 관련된 전통적인 그림들이 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서양화중에서도 민화적 기법이나 철학을 가진 작품들이 생겨났다. 이들을 총체적으로 중국의 어민화라는 개념을 차용해 해석할 여지가 있음을 밝혔다. 다종다양한 민속의 범주 속에 나타나는 기능화(機能畵)로서의 민화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민화의 기능성을 중요시 한다면 응당 이것은 당대 시민들의 수요와 연계되어야 하며 장르를 뛰어넘는 접근방식이 실험되어야 한다고 봤다. 본고에서 소개한 중국의 어민화는 한국 민화가 향후 실험하거나 혹은 전통적인 민화 범주를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 한중을 넘어선 동아시아 전반의 연관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이것이 중국의 어민화를 소개하고 분석함을 통해서 얻어낸 본고의 성과라 할 수 있다. There are folk paintings of the fisherman in Chinese Zhoushanqundao(舟山群島). They are designated as the first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Zhejiang Province. They are the pictures drawn and enjoyed by the fishermen themselves. It seems that they are recreated genre under the influence of farmers’ paintings which functioned as the communist propaganda in 1950s. Taking an example of the folk paintings of the Chinese fisherman, this paper focused on how to approach to the folk paintings in light of the folklore category and how to disclose their meaning. As the objects of analyzing being the folk paintings of the fisherman, I naturally came to pay atention to islands and sea. There were many isms and arguments about the concepts and meanings of the folk paintings since Yanagi Muneyoshi(柳宗悅). However, there are few arguments on it approached from the folklorists. In Korea, there is no concept and approach of the folk paintings of the fisherman. However, there are traditional paintings about fishermen like Dangshindo (堂神圖, painting of the folk god). In modern times, among western style paintings have emerged works which have the skill and philosophy of the folk paintings. It is explained that they can be interpreted by generally borrowing the concept of Chinese folk paintings of the fisherman. It seems to be worthwhile to look at the folk paintings as the functional paintings which appear in the various categories of folklore. If we think highly of the function of the folk paintings, it seems to be necessary that they have to be connected to the contemporary people’s needs and therefore, approaches surpassing the genres have to be experimented. Chinese folk paintings of the fisherman dealt in this paper are useful for the later experiment with Korean folk paintings and for analyzing their categories. We need to bear in mind the relatedness of the whole East Asia which surmounts Korea and China. This could be the outcome of this paper which introduces and analyzes Chinese folk paintings of the fisherman.

      • KCI등재

        The Impact of a Multidimensional Item on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DIF) : 다차원 문항이 차별문항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Yoonsun Lee(이윤선) 한국교육평가학회 2007 교육평가연구 Vol.20 No.4

        미국에서 실시되는 대부분의 표준화 검사는 단일 차원을 측정하도록 개발되어졌다. 그러나 그 목적과는 달리 문항들이 하나 이상의 차원을 측정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수학능력을 측정하는 검사에서 문항이 고도의 읽기 능력을 요구할 경우 그 문항은 수학능력 외에 언어 능력을 함께 측정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다차원 문항은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는 다차원 문항이 차별문항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세 가지 가설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첫째, 관찰 집단과 잠재 집단간의 능력 차이가 차별 문항 기능과 어떤 영향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둘째, 문항이 주요차원과 이차적인 차원을 측정하는 정도와 차별문항기능과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마지막으로 표본크기가 차별문항기능에 주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관찰 집단과 잠재 집단 간의 능력 차이가 없을 때 문항은 차별문항기능으로 감지되지 않았다. 그러나 두 집단 간의 능력 차이가 클수록 문항은 차별문항능력을 뚜렷하게 나타냈다. 집단 간의 능력 차이와 더불어 문항이 이차적인 차원을 측정하는 정도 역시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문항이 이차적인 차원을 측정하는 정도가 클수록 차별문항기능을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표본크기 역시 차별문항기능에 주요 요인으로 조사되었으며 각 집단에 1000명의 피험자가 있는 경우가 500명의 피험자가 있을 때보다 차별문항기능을 발견하는데 용이했다. A simulation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ifferences in mean of ability distribution between the reference and focal groups, weight and sample size on the use of SIBTEST to detect DIF. Results are presented for two configurations, those in which there is no simulated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non DIF) and those in which DIF was created within the simulation. The mean of Type I error rates were close to the nominal level for both the simulations across all sample sizes when the target item was multidimensional but there was no ability distribution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and focal groups on the secondary dimension. However, the mean of Type I error rates showed high when there was a mean difference on the primary dimension with the same ability distribution on the secondary dimension. In the DIF configurations, main effects of weight, differences in means, and sample size (N) were the major factors in explaining the outcome measures.

      • KCI등재

        Investigating Construct Validity of the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Test (ELPT)

        Yoonsun Lee(이윤선) 한국교육평가학회 2008 교육평가연구 Vol.21 No.1

          최근 수년간 미국 학교에서 두드러진 현상은 영어가 제 2 언어인 학생들이 급증했다는 것이다. 영어 학습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연방 정부와 주 정부들은 학생들의 영어 능력을 측정하는 도구 개발 및 평가에 주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의 한 주에서 실행하고 있는 언어 능력 검사의 구인 타당도를 검증한 연구이다. 이 검사는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네 개의 영역을 통해서 영어 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유치원생부터 고등학교 학생들을 네 개의 학년 범주로 나누어서 분류하고 있다. 이 검사의 구인 타당도 검사는 상관관계, 탐색적 요인 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첫째, 모든 학년 범주에서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영역은 모두 언어 능력 검사의 총점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도구의 내적 구조를 검사하기 위해 실행된 탐색적 요인 분석과 확인적 요인 분석은 이 도구가 단일 차원 모델이라는 것을 입증하였으며 직각회전 방식에 의한 주성분 방법을 통한 탐색적 요인 분석의 결과 유치원생부터 초등학교 2학년까지는 세 가지 요인이 관찰되었고 3학년부터 고등학생까지는 두 가지 요인(학습 언어와 사회적 언어)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서 네 가지 가설적인 모형을 검사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다차원 모형보다 단일 차원의 모형이 언어 능력 검사를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investigate test construct validity of a statewide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Test (ELPT), intercorrelation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ere conducted on a randomly selected group of 10,000 students in each grade band (Primary, Elementar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otaling 40,000 students. Intercorrelations in the Primary band between the Composite score and Reading and Writing scores were higher than Listening and Speaking. The evidence of unidimensionality was found in all grade bands from both EFA and CFA. The rotated pattern yielded two factors, academic language and social language in the Elementar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bands, whereas it generated three factors, Reading/Writing as one factor, Listening, and Speaking in the Primary band. CFA evaluated four hypothetical models; 1) unidimensional model, 2) unidimensional model with error variances correlated, 3) multidimensional model, 4) hierarchical model. The unidimensional model with error variances correlated provided the best fit to the data. Finally, results showed that Reading comprehension and Writing prompt scores became strong indicators as grade bands increase.

      • KCI우수등재

        국내 여름철 기후조건에서 DOAS와 TABS 통합시스템 냉방운전시 실내온열환경 및 운전특성 평가

        이윤선(Lee, YoonSun),이겨레(Lee, Keo-Re),정웅준(Chung, Woong June),임재한(Lim, Jae-Han) 대한건축학회 2018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4 No.11

        To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of HVAC system in buildings, thermally activated building system(TABS) has been applied to low energy building because of energy efficient performance and reduction of peak load. DOAS coupled with a parallel sensible cooling could be promising because TABS handles sensible heat load on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door thermal environment and cooling operation characteristic of TABS with dedicated outdoor air system(DOAS) in Korea climate. Indoor thermal environment and operation characteristic of TABS integrated with DOAS are investigated at different TABS operation schedules and climate conditions by simulation tests. The result shows that the DOAS is more suitable for hot and humid climates. And also it show that the potential of intermittent operation of TABS.

      • 민화민속학 시론

        이윤선(Lee, YoonSun) 한국민화학회 2017 한국민화 Vol.- No.8

        민이 주체가 되고 민이 대상이 되는 그림들을 살펴봤다. 민에 의해, 나아가 민을 위해 그려지거나 판각되는 그림이 대상이었다. 즉 민에 의해 수행되고 민을 위해 배려되는 그림의 총화를 말하는 것으로 정리하였다. 민속학에서 접근하는 그림과 민화학에서 접근하는 그림들로 나누어볼 수 있었다. 한 마디로 말하면 ‘민의 그림’이다. 하지만 조동일이 말했던 민화, 민요, 민담의 언설은 구시대의 것이 되었다. 민화는 전통민화와 창작민화를 아우르며 장르를 발전시켜왔다. 민요와 민담은 순수한 그 자체에 묶여 가요나 스토리텔링으로 확장되지 못한 측면이 크다. 민화는 통합의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풍속화의 장르와 어떻게 교접하는가의 숙제가 남아 있다. 이에 민화민속학이라는 개념을 제안하였다. 민에 의한 민을 위한 민의 그림이나 새김예술의 총체라는 점에서 이 제안은 유효하다고 판단하였다. 민화민속학의 범주에서는 민요나 민담이 가지는 한계는 물론 민화가 가지는 한계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지 않을까? 민화민속학에 대한 반론과 토론이 광범위하게 일어나기를 기대한다. I looked at pictures that Popular(民) is the subject and Popular(民) is the object. Painting and engraving by popular and for popular. I judged by unify as a whole that be conducted by popular and be considerate by popular. That are divided, Painting approach from folklore and approach from Minhwa(folk painting). In a word, it is painting of popular. But an opinion of Cho dong-il was of the old age, a folksongs and a folktale, folk painting(minwha) are called brothers. Minhwa(folk painting) has developed put together traditional Minwha and creative Minhwa. Korea folksong and folktale was tied up for itself. So, it didt expand to popular song and storytelling. On the other hand, Minhwa is advantage on itself. Nevertheless Mihwa remains assignment for negotiation to genre art. So, I put forward conception of Folkpainting(Minhwa) folklore. It is painting and engraving depend on popular, for popular, of popular. I think that this suggestion is hold good. This is an alternative to overcome limitation, folkpainting, folktale, folksong. I expect to widespread, controversy and debate on folk painting(Minwha) folklore.

      • KCI등재

        연령층별 민요 부르기의 일생 의례적 성격

        이윤선(Lee YoonSun) 비교민속학회 2009 비교민속학 Vol.0 No.39

        본고는 오늘날 민속학이 맞닥뜨린 생태민속학적 전망과 지평에 부응하여 그 의미를 민요학과 연결지어보자는 취지에서 시도되었다. 연령층별 구연종류가 다르다는 것은 이미 선학들에 의해서 고구된 바 있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이를 민요 분류의 중요한 전거로 삼기로 하였다. 연령층별로 부르는 민요가 다르기 민요는 각각의 시기별 구연의 정서를 반영하고 있다고 보았다. 민요가 연령층의 일정한 이해를 수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는 뜻인데, 이는 그간의 반영론이나 거울론으로는 풀 수 없는 까닭에 보다 적극적인 대응론으로 해명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개체요를 분류하고 선택하는 접근 방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국의 민요는 노동요, 유희요, 의례요(의식요) 등의 기능적 분류를 수용해왔다고 볼 수 있으며, 후대에 오면서 동요가 민요의 범주 안에 포함되었음을 살펴보았다. 이를 1기, 2기, 3기로 나누어 각각 민족민요학, 현장민요학, 생태민요학으로 나누어 보았다. 생태민요학은 다시 응용민요학과 생태민요학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응용민요학을 문화콘텐츠와 교육 등의 활용측면에서 접근하는 것이라면, 생태 민요학은 적층순환성을 기반으로 하는 민요의 일생의례적 성격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어떻게 민요가 친환경적이고 친자연적인 그래서 순환적인 저엔트로피적 삶을 영위하는 데 일조할 수 있겠는가 하는 측면을 생태민속학의 접근방향에 비추어 해석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고의 갈무리라고 할 수 있는 제3기적 맥락의 민요연구는 교육 및 활용 등으로 그 피드백을 이어가야 한다고 보았다. 민요의 활용 특히 교육적 활용이나 응용에 관해서는 현행교과서에 게재되어 있는 제재곡과 참고곡 등의 민요교육을 포함하여, 음악치료학에서 있어서 민요의 활용, 지역문화산업 등에서의 민요의 활용, 나아가서는 지역사람들이 민요를 다시 부르거나 민요적 심성을 회복하는 프로그래밍 등으로 이어가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생태민요학 혹은 생태민속학이 마땅히 지향해야 할 접근일 것이며, 그 일환으로 시도된 것이, 민요가 가진 일생의례적 성격 즉, 적층순환의 정보를 드러내는 의미였다고 보았다. This study attempts to look at today’s folklore?which has to meet the outlook and horizon of the ecological folklore?and connect its meaning with folk songs. Many scholars have already studied that the types of oral narrations are different for each age group; therefore, in this paper, they will be used as important evidences for classifying the folk songs. The folk songs sung by each age group are different; it reflects the sentiments of the oral narrations for each group. This means that the folk songs help us understand somewhat the different age groups; it should be explained using the correspondence theory?which is more aggressive?since it cannot be explained with the reflection theory or the mirror theory. The approach method used for the classification and selection of the individual folk songs were examined. The Korean folk songs have been classified according to its functions like work songs, play songs and funeral songs (ritual songs); the nursery songs were incorporated into the category of folk songs for the future generations. The ethnic folk songs, the performance folk songs and the ecological folk song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first term, the second term and the third term. The ecological folk songs can again be divided into the applied folk songs and the ecological folk songs : the applied folk songs take the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applications like culture contents and education; and the ecological folk songs have the life ritual of character which is based on the layered circularity. Therefore, the paper attempts to look at how the folk songs are environmentally-friendly and pro-nature and helps lead a circular and low entropy life by taking the approach of an ecological folklore. Especially the last part of this paper?the research on the folk songs of the third term?should be used as feedback in education and application. The application of the folk songs such as the educational application and adaptation should include the following : the folk song education like sanction music and reference music published in the current text books; the application of the folk songs in music therapy and regional culture industry; which leads to programs that brings local people to sing the folk songs again or recover the minds of folk songs. This is the rightful direction in which the ecological folk songs or the ecological folklore should head towards; and as part of this attempt, the folk songs showed the life ritual of character which provides the information of layered circula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