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강유역 낙랑계토기의 변천과 전개 양상

        이우재(Lee, Woojae) 한국상고사학회 2021 한국상고사학보 Vol.114 No.114

        본고는 북한강유역 낙랑계토기의 변천 양상을 파악하는 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그리고 지역별로 그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 나아가 낙랑계토기가 나타나던 시기의 북한강유역 물질문화의 흐름을 분기별로 파악해 보았다. 먼저 변천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북한강유역 낙랑계토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북한지역 낙랑토기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이 점차 옅어지면서 독자적 변화 과정을 거쳤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에 낙랑토기에서 확인되는 특징적 속성들을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낙랑계토기에서 나타나는 유의미한 속성들을 통해 기종별로 분류 기준을 세워 형식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북한강유역에서 나타나는 물질문화상의 특징적 변화들을 기준으로 단계를 구성하고, 단계별로 낙랑계토기 기종과 형식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낙랑토기 제작기법은 늦은 단계까지 지속되지만 단계적으로 형태·양식적 측면에서 변형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몇몇 기종과 형식은 단계별로 새롭게 출현하거나 낙랑토기의 영향이 강하게 남아 있는데 이는 서북한지역과의 지속적 교류에 따라새롭게 등장한 낙랑계토기로 이해된다. 또한 평저호와 타날문단경호는 형식 변화가 단계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나기에 이를 중심으로 낙랑계토기 단계별 변천안의 큰 틀을 설정하였고, 기타 기종들을 단계 안에 위치시킴으로써 북한강유역 낙랑계토기 변천안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본고에서 설정한 변천안을 토대로 지역별 낙랑계토기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결과 춘천 지역 취락에서 기원후 1세기 어느 시점에 낙랑계토기가 출현한 이후 2세기에 이르러 주변 지역으로 점차 확산된 것으로 보았다. 낙랑계토기 변천 마지막 단계에 이르러 북한강유역 전역에서 낙랑계토기가 확인되는 가운데 가평 대성리 유적, 홍천 태학리 유적 등으로 대표되는 대규모취락들이 각지에서 출현 또는 성장하였던 것으로 보았다. 낙랑계토기의 변천과 전개 양상, 그리고단계 구분에서의 표지자료를 통해 북한강유역 물질문화의 분기를 Ⅰ기와 Ⅱ-1기, Ⅱ-2기로 나누고각 시기별로 그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낙랑계토기 단계별 변화 및 전개 과정과 기존 편년연구를 통해 알려진 물질문화상의 변화가 상호 연동되어 나아가는 일련의 흐름을 짚어볼 수 있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Lelang-type pottery in settlements in the Bukhan River basin. In addition, I examined the development of Lelang-type pottery by region, and furthermore, identified the flow of material culture in the Bukhan River basin during the period when the pottery first appeared. First,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development, I assumed that Lelang-type pottery in the Bukhan River basin went through its own changes as the characteristics of Lelang pottery in the western North Korea region gradually faded over time. Thus,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 properties identified in Lelang pottery and set up models by establishing classification criteria for each type through the significant properties found in Lelang-type pottery. In addition, I constructed the phases based on characteristic changes in material culture in the Bukhan River basin, and looked at the types and models of Lelang-type pottery phase-by-phase. As a result, I could see the making techniques of Lelang-type pottery lasting until late phases, but being transformed in terms of form and style by phase. However, some types and models were newly introduced by phase or strongly influenced by Lelang pottery, which were understood as a newly emerged Lelang-type potteries due to continuous exchanges with the western North Korea region. Also, the changes of the Flat-bottomed Jar and the Beating- Patterned, Short-Necked Jar were more clearly identified than other models. Therefore, I proposed an idea how Lelang-type pottery in the Bukhan River basin was developed by focusing on the changes of the two models and positioning other models within the phase. Next, I looked at the development of Lelang-type pottery by region based on the idea set by this study. As a result, it was believed that Lelang-type pottery appeared at some point in the 1st century A.D. in Chuncheon region and gradually spread to neighboring areas in the 2nd century. While Lelang-type pottery was identified throughout the Bukhan River basin at the last phase of the development, I understood that large-scale settlements like Daeseong-ri site in Gapyeong or Taehak-ri site in Hongcheon had appeared or grown in various regions. Through the changes, aspects of development, and markers used for phase division, I divided the divergence of the material culture in the Bukhan river basin into Phase Ⅰ, Phase Ⅱ-1, and Phase Ⅱ-2, and examined it phase-by-phase.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point out a series of flows in which the phase-by-phase development of Lelang-type pottery and the changes in material culture known through existing polarization studies are being interconnected.

      • KCI등재

        국내 건설사업관리 기술인력 역량평가 개선모델(I<sup>2</sup>CEC)

        강성미,차민수,이우재,지우종,조훈희,유위성,Kang, Seongmi,Cha, Minsu,Lee, Woojae,Ji, Woojong,Cho, Hunhee,Yoo, Wisu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20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21 No.2

        ICEC는 경력, 학력, 자격 등 건설기술인의 역량을 정량화하여 종합한 뒤 해당점수에 따라 건설기술인에게 특급, 고급, 중급, 초급 등 4가지 기술등급을 차등 부여함으로써 기술 인력의 효율적 관리 및 적재적소로의 배치를 목적으로 도입된 제도이다. 하지만 시행 7년 차에 접어든 2020년 현재, ICEC는 본래의 도입취지와는 달리 인력배치기준, 역량지수 배점기준 및 기술등급 구분 등에 있어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행 건설기술인 역량지수(ICEC)에 기반 한 기술인력의 운영 및 평가체계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건설기술인의 역량에 비례하는 경력지수를 제시함으로써 역량평가 개선모델인 I<sup>2</sup>CEC를 개발하였다. 그 결과, 초급 인정을 위한 최소 역량지수를 낮춰 건설사업관리 기술인력의 신규진입이 가능하며, 건설기술인의 실제 역량에 부합하는 경력지수 산정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국내 건설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효율적인 인력양성 및 경력관리 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ICEC (Index of Construction Engineer's Competency) quantifies the competence of construction engineers using such parameters as experience, education, and qualifications and assigns four technical grades (expert, advanced, intermediate, and beginners) to construction engineers according to their scores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and loading of technical personnel. However, as of 2020, the seventh year since its implementation, ICEC has shown many problems in its application, unlike its intended purpose. So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is required to provide improvement measures that can cope with the changing labor market environment and complement the current ICEC.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the career management system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ICEC, suggested a career index proportional to the competence of construction engineers from the beginner to the expert level, and developed an effective capability evaluation model I<sup>2</sup>CEC. The improved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provides a means to comprehensively judge the performance, experience, and the professional work abilities of construction management engineers.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manpower and career management systems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 KCI등재

        Sloped-LOM 방식 3D 프린터를 이용한 비정형 EPS 거푸집 제작 공법 개발

        안희재,이동윤,지우종,이우재,조훈희,Ahn, Heejae,Lee, Dongyoun,Ji, Woojong,Lee, Woojae,Cho, Hunhee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20 No.2

        Recently, free-formed construction technology is becoming a new measure of representing technological superiority and sociocultural ingenuity. However, the CNC processing technology utilizing the existing wood and iron form has limitations in terms of the manufacturing time and material cos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method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free-formed EPS form using S-LOM-based 3D printing technology were suggested. Furthermore, through the mock-up tes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anufacturing time and precision with CNC milling technology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 that S-LOM-based 3D printing technology has reduced manufacturing time about 57.4% compared to CNC milling technology during the free-formed EPS form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compared to the design drawings, the maximum error value was 20.5mm, proving the applicability of S-LOM-based 3D printing techn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S-LOM method and the activation of S-LOM method by verifying the applicability of S-LOM-based 3D printing technology. 최근 비정형 건축물이 한 나라의 기술적 우월성을 나타내는 새로운 척도로 부상하기 시작하면서 비정형 건축물을 효율적으로 제작하는 기술이 중요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목재, 철재 거푸집 등을 CNC 기술로 가공하여 비정형 거푸집을 제작하는 방식은 제작시간과 재료 비용 측면에서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LOM 방식의 3D 프린팅 기술을 통한 비정형 EPS 거푸집 제작 공법을 개발하고 제작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또한 실물 모형 시험을 통해 기존 CNC 밀링 기술과의 제작시간 및 정밀도에 대한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S-LOM 방식의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할 경우 CNC 밀링 기술 대비 약 57.4%의 제작시간 단축 효과가 있었다. 또한 S-LOM 방식의 3D 프린팅 기술의 경우 설계도면 대비 약 20.5mm의 오차의 최대 절댓값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거푸집 제작시간과 정밀도 측면에서 S-LOM 방식 기술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여, S-LOM 방식 기술의 개선 및 공법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WP 발족 5년차의 해외진출 지원 성과와 과제

        심유섭 ( Shim Yuseop ),이우재 ( Lee Woojae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세계적으로 물시장은 2017년 기준 7,252억불 규모의 거대한 시장이며 향후 2022년까지 연평균 4.0%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각국은 물산업을 유망산업으로 분류하여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노력중이다. 반면 국내 물시장은 정체 상태로 선점경쟁에서 뒤쳐져 있어, 강소기업 육성 및 해외진출 촉진을 통해 돌파구를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다. 환경부 2019년 물산업 통계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물산업을 영위하는 사업체는 15,473개이며, 이들 사업체의 물산업관련 매출액은 약 43조 2500억원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의 2.2%, 환경산업 총 매출액의 43%에 해당된다. 물산업은 고용유발 및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높아 글로벌시장 선점 시 우리 경제의 新성장동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나, 국내 물기업은 대부분 영세하여 해외 진출을 위한 자체역량 확보가 미흡하고 수출 참여율 또한 저조한 편이다. 국내 물산업은 공공분야 비중이 높고 연구개발 활동이 저조해 정부 주도하에 강력한 육성정책을 마련해야 하는 분야다. 이러한 인식하에 환경부 주도로 한국물산업협의회(KWP, Korea Water Partnership)가 설립되었다. 한국물산업협의회는 민·관협력증진을 통해 국내 물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고자 2015년에 출범하여 2018년 6월 「물관리기술 발전 및 물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의 국회통과 이후 법정단체 지위를 획득하였다. 그간 한국물산업협의회는 해외선진 물시장 테스트베드 구축 및 기술평가 지원, 국내 물산업 마케팅 지원 및 홍보, 물산업 클러스터 및 파트너쉽간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및 국내 물산업 정보 공유, 민관 협력·동반성장 기반조성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였다. 특히 전세계 물시장의 25% 이상을 차지하는 미국 물시장 진출을 위해 EPA 협력사업 진행, WERF, NSF 등 물관련 기관과 MOU 체결, WEF, AWWA의 전시회 참가, 현장에서의 기술 검증 지원 등을 통해 국내 물산업의 해외 마케팅 및 진출을 지원하여, 몇 년전부터 우리나라 우수한 물기술이 미국에 수출하는 성과들도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다. 또한 2020년 3월 물산업진흥법 시행령 제14조에 따른 혁신형물기업 지정·지원 제도 업무의 위탁수행 기관으로 지정되어 향후 2029년까지 10년간 매년 10개의 기업을 지정하여 혁신기술 개발 및 고도화, 검·인증, 현장 적용, 해외진출 등을 지원하게 된다. 국내 물기업이 해외진출을 하기 위해서 아직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해외 표준, 인·검증과 같은 기술장벽을 허물고, 물산업 선진국들이 선도·선점하고 있는 물관리기술의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 한국물산업협의회는 지난 5년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물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대표 협의체로서 성공적인 자리매김을 하기 위해 다음 5년을 준비해야 한다. 궁극적으로 한국물산업협의회가 추구해야 할 가치는 가격, 성능, 품질 3요소를 넘어서 한국 물산업 브랜드의 신뢰 구축이 되어야 한다.

      • KCI등재

        <문화, 문학> : "R16 코리아" 대회의 문화콘텐츠적 가치

        김기국 ( Gigook Kim ),이우재 ( Woojae Lee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비교문화연구 Vol.39 No.-

        Significance of the R16 Korea Contest as Culture Contents. Known for relentless practice and intense moves, widespread presence on the Internet, strong ethnic elements highlighting Korean physical attributes and collective culture, b-boying occupies a special place in Korea today. News of four consecutive wins in major b-boy contests around the world have changed the common public conception that b-boys are simply a group of problem boys and students in hip-hop clothes intent on showing off their dance moves. B-boying is no longer perceived as a dance that is performed in the shadowy underground but as a dynamic and beautiful art form of physical expression that is part of today’s popular culture. This paper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R-16 Korea as culture contents and its main event, the World B-boy Masters Championship. It introduces how the contest has developed since 2007 to reach popular influence and gain international recognition. The paper also compares R-16 Korea to the world’s four major b-boy contests, Battle Of The Year, UK B-boy Championship, Free Style Session, and Red Bull BC One to see if any distinctions could be found among them and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R-16 Korea as cultural content in its rise to one of the world’s top 5 major b-boy contests. Finally,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for b-boying to become more established as part of Korea’s culture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