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CP 시스템에서 사용가능한 DMC (Dynamic Matrix Control) 블록의 개발과 응용

        이영삼,유광명,Lee, Young-Sam,Yu, Kwang-Myung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5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21 No.9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Dynamic Matrix Control(DMC) block for use with a Rapid Control Prototyping(RCP) system and consider the speed control of a DC motor using the developed DMC block. Firstly, we briefly introduce a lab-built RCP system. Secondly, we present a method for implementing a DMC block using C-language, which enables the DMC algorithm to be represented in a library block that can be used in a Simulink environment. Finally, we use the developed DMC block for the speed control of a DC motor, through which we show that the DMC-based control system can be easily implemented and applied to the real-time control of systems with relatively fast dynamics.

      • KCI등재

        사업장 화재 경보음 인지정도에 관한 연구

        이영삼,이동호,Lee. Young-Sam,Rie. Dong-Ho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2

        사업장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소음에 의해 피난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사업장에서 가동되는 각종 기계설비 및 유틸리티 설비의 기기음(암소음)에 의해 화재경보음 인지가 지연되어 사망률이 증가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값비싼 토지 비용 때문에 고층의 아파트형 공장이 도심지 또는 대도시 근방에 많이 건립되고 있다. 이러한 아파트형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 될 경우 인명피해는 더욱 늘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해 실제 상황을 조장하여 경종의 형식 승인 및 검정기술기준 시험세칙(KOFEIS 0305)과 미국방화핸드북(Fire Protection Handbook)의 측정기준 및 예시기준에 따라 조건별로 실험하였다. 실험은 복도에 있는 경종을 소음측정기로 90dB 음량으로 세팅하고 실내에서 기기실로부터 녹취한 기기음을 스피커로 음(70dB, 80dB, 90dB)을 발생시켰다. 그리고 청력에 이상이 없는 20대초 연령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거리별, 출입문의 개 폐 조건별, 기계음 종류별, 방음보호구 착용여부 조건에 따른 경보음 인지정도 측정 및 분석을 하였다. 실험결과 기기실 문을 닫고 방음보호구를 착용 시 대부분의 피험자가 화재경보음을 인지하지 못하였다. 미국방화협회(NFPA)에서는 암소음이 85dB이거나 이상일 경우 다른 경보방법을 강구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기기음과 장소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일률적인 화재경보음의 설계에 대한 제도적 및 법적개선이 요구되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Most work places operating machines have a lot of background noise that affect evacuation from a factory. Especially, a lot of background noise from utility machines cause delay of awareness of fire alarm sound and also increase death rate. Currently, skyscraper type factories have been constructed at around big cities because of high land price. The complexity of skyscraper type factories leads to increase death rate on fire.This study was to research problems using experiment as the same workplace situation according to KOFEIS 0305 and the US Fire Protection Handbook.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the speakers to produce machine sound(70dB, 80dB, 90dB) in the room. The fire alarm sound was produced from a corridor. Also the experiment was done using persons(around 20 years old and without damage of ears) under different conditions such as distance from the alarm system, open and closed doors, machine sounds, and with and without ear protection.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s, it showed that in the case of wearing ear protection, most people could not hear fire alarm sound in the room with closed door. NFPA suggests that the alarm system should be considered of other methods to know alarm sound when the background noise exceeds 85dB or more.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design of the fire alarm systems should not be applied to the workplace without considering background noise and that there needs to be improvement with regulations and the systems.

      • 기울기가 일정한 코드를 사용한 개선된 PDP용 subfield 기법

        이영삼,김린철,이병욱,Lee, Young-Sam,Kim, Rin-Chul,Lee, Byung-Uk 대한전자공학회 2002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39 No.5

        본 논문에서는 plasma display panel에서 동영상을 표현할 때 발생할 수 있는 dynamic false contour (DFC) 등의 화질 열화를 개선할 수 있는 subfield 기법에 관하여 고찰한다. 인접한 subfield 들간의 시간 길이 차이로 인하여 DFC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파악하고, 그 차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울기가 일정한 code를 제안한다. 그리고, 에러의 첨두치와 지속 시간의 trade-off 관계를 고려하여 에러의 절대값의 평균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상이한 시간 길이를 갖는 subfield들을 배열한 code를 제안한다. 제안한 subfield 기법은 계조값에 비례하여 에러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보임으로써 인간의 시각적 특성 관점에서도 적합한 방법임을 입증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new subfield method that can alleviate the visual artifact called the dynamic false contour (DFC), which occurs on plasma display panels. Nothing that the DFC is caused by the difference of time intervals between the adjacent subfields, we propose a constant slope code, in which the differences are maintained to be constant. Also, we propose a subfield code that can minimize the mean absolute error, considering the trade-off between the peak magnitude of the error and its duration. We will show that the proposed subfield method maintains an adequate performance in the view point of the human visual system, since the bound of the errors increases with the gray scale.

      • SCOPUSKCI등재

        RCP 시스템에서 사용가능한 DMC (Dynamic Matrix Control) 블록의 개발과 응용

        이영삼(Young-Sam Lee),유광명(Kwang-Myung Yu)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5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21 No.4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Dynamic Matrix Control(DMC) block for use with a Rapid Control Prototyping(RCP) system and consider the speed control of a DC motor using the developed DMC block. Firstly, we briefly introduce a lab-built RCP system. Secondly, we present a method for implementing a DMC block using C-language, which enables the DMC algorithm to be represented in a library block that can be used in a Simulink environment. Finally, we use the developed DMC block for the speed control of a DC motor, through which we show that the DMC-based control system can be easily implemented and applied to the real-time control of systems with relatively fast dynamics.

      • 웹-모니터링용 전송데이터의 압축을 위한 wavelet 기법의 적용

        이영삼(Young-Sam Lee),배금동(Geum-Dong Bae),김성호(Sung-Ho Kim)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4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14 No.1

        일반적으로 재해 방제용 시스템은 측정 데이터를 현장에 설치된 데이터 로거에 저장하고 일정시간 후 체계적인 분석을 위해 데이터 로거에 저장된 데이터를 원격의 서버로 전송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신뢰도가 높은 재해 방제용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서는 계측 현장에 되도록이면 많은 센서들이 설치되어야 함과 동시에 짧은 시간 간격으로 원격의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전송 데이터의 양은 관측구간이 넓어짐에 따라 늘어나게 되며 따라서 전송 효율을 극대화를 위해서는 측정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 데이터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데이터 압축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wavelet 이론을 웹-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하여 봄으로써 이의 유용성을 확인 하고자 한다.

      • KCI등재

        Matlab과 USB DAQ 장치를 이용한 Rapid Control Prototyping System 개발

        이영삼(Young-Sam Lee),양지혁(Ji-Hyuk Yang),김석윤(Seuk-Yun Kim),김원식(Won-Sik Kim),권오규(Oh-Kyu Kwon)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2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8 No.10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nd cost-effective RCP (Rapid Control Prototyping) system based on Matlab/Simulink and a DAQ (Data Acquisition) unit with the high speed USB communication interface. The proposed RCP system has a feature that a computer on which Simulink is running acts as a realtime controller and a DAQ unit performs data acquisition, transmission of the data to and from a computer, and the application of control data received from the computer. For its implementation, we develop 10 communication blocks each of which is constructed by using S-func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data communication speed and thus to reduce the sampling period of the overall control system, we propose to use a batch transfer strategy through the USB interface. The proposed RCP system has several advantages over existing methods such as good maintainability, portability due to the USB interface, low cost, and no necessity for C-code generation even though it can only be applied to control systems with moderate sampling rates.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RCP system can be useful in teaching control-related topics to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 KCI등재

        예측제어의 마이크로콘트롤러 구현을 위한 QP 해법과 그 적용방법

        이영삼(Young-Sam Lee),경기영(Gi-Young Gyeong),박재헌(Jae-Heon Park)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4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20 No.9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by which QP (Quadratic Programming) problems can be solved in realtime so that we can implement the predictive control algorithm on a microcontroller system. Firstly, we derive a solution to QP problems by converting the original QP problems to its equivalent least squares with inequalities. Secondly, we propose a predictive control algorithm that can give good realtime computation performance by utilizing the fact that some parameters needed for solving QP problems can be computed offline. Finally, we illustrate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give good realtime features by running the C-code application constructed using the proposed method on a microncontroller system.

      • KCI등재

        마이크로캡슐을 활용한 분전반 소화용구 개발에 관한 연구

        이영삼(Young-Sam Lee),백수호(Soo-Ho Baek)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7

        대한민국 소방청 화재통계자료(2015~19년)를 원인별로 분석해보면, 전기로 인한 화재가 47,135건, 기계적 원인에 의한 화재가 22,852건, 가스누출에 의한 화재가 871건순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주요 화재의 원인이 전기화재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기화재 중 소화설비의 적용 및 시공이 어려운 분전반 등의 소공간 화재를 대상으로 마이크로캡슐 소화약제의 KFI기준 충족 유·무 및 제품을 제작 후 현장에 적용하여 화재 적응성을 3회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화재접촉 이후 캡슐 안에 있던 소화약제가 방사되어 평균 4.48초에 노르말헵탄(n-heptane)의 화재가 진압되었다. 따라서 한국소방산업기술원(KFI) 소공간 B급 소화시험의 “예비연소 종료 후 90초 이내에 소화되고 재발화 되지 아니할 것” 기준을 충족하였다. 그리고 용도별로 제품을 제작한 소화용구를 현장에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제품에 화염접속 후 평균 1.87초에 토치의 연소화염이 소화되었다. 또한 본 소화용구는 기존 실린더 타입의 부피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였다. 하지만 본 소화약제 및 용구에 대한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등이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소방청 및 소방관련 전문기관에서는 본 소화약제 및 제품에 대한 검증을 통하여 성능검증기준, 형식승인기준, 현장적용기준 등의 제정에 대해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fire statistics of the nation"s fire department (2015~19), 47,135 fires were caused by electricity, 22,852 by mechanical causes, and 871 by gas leakage. Hence, the most common cause of fires is electric fir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fire adaptability of microencapsulated fire extinguishing agents was tested by applying the KFI to determine agent performance and field application against small space fires, such as electric distribution boards in which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is difficult to apply and construct. Tests showed that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nside the capsule was released after fire contact, and an n-heptane fire was extinguished within 4.48 seconds on average. Therefore, the KFI small space B-level fire-extinguishing test by the Korea Institute of Fire and Industry met the criteria that the fire was extinguished and did not reoccur within 90 seconds after the end of preliminary combustion. In addition, after experimenting with the field application of the product for each purpose, the burning flame of the torch was extinguished within 1.87 seconds on average. This fire extinguisher (agent) dramatically improved the volume problem of existing cylinder-type fire extinguishers for small spaces.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National Fire Safety Code (NFSC) for this agent and extinguish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act standards for field application. Furthermore, the National Fire Agency and fire-related specialized agencies need to review the enactment of performance verification standards, type approval standards, and field application standards by verifying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and pro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