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규 지방공무원 기본교육훈련의 전이효과 영향요인 분석: 신규자와 중간관리자의 비교

        이승모(李承謀),박순종(朴舜鍾),석환(李錫煥) 한국정책과학학회 2021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지방자치단체 신규공무원 기본교육훈련의 전이효과에 미치는 교육기대의 영향을 신규자 집단과 중간관리자 집단의 시각에서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종속변수에 해당하는 전이효과는 업무와 태도의 두 가지 차원을 포함하였다. 독립변수에 해당하는 교육기대는 업무역량에 대한 기대와 태도역량에 대한 기대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선행연구의 핵심적인 분석대상인 교육운영 및 개인적 특성은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신규자와 중간관리자 간에 전이효과에 대한 교육기대의 영향력 차이를 확인하였다. 중간관리자는 업무기대와 태도기대 모두 전이효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중간관리자와 비교할 때, 신규임용자의 업무기대는 전이효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태도기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하지 않았다. 통제변수 중에서는 교육운영의 전이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 이론적·실천적 함의로 교육기대 개념의 다차원성, 교육과정 관련 집단간 전이효과 비교·분석의 중요성, 신규자 기본교육훈련 과정설계에 있어서 신규자 집단과 중간관리자 집단 등 다면적 수요조사의 체계적 수행 등을 도출하고 이 연구의 한계 극복을 통한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s of educational expectations on the transfer of training of basic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new public officials in local govern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new public officials and managers. The transfer of training, a dependent variable, was composed by integrating the work and attitude side. Educational expectation, an independent variable, was divided into expectations for work capability and attitude capability. Education operation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set as control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expectations on the transfer of training between new public officials and managers were confirmed. The manager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 transfer in both work and attitude expectation. Compared with the manager, the work expectation of new public officials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the transfer. Attitude expectations did not exer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ransfer. A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e multi-dimensionality of the educational expectation, a comparative approach between groups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ransfer, and multi-faceted and systematic survey in designing the basic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new public officials were presented.

      • KCI등재

        Electroforming을 이용하여 제조한 Ni 기판의 기계적 특성 및 내마모 거동 분석

        이승이,장석헌,창민,최준혁,주진호,임준형,정승부,송건,Lee, Seung-Yi,Jang, Seok-Hern,Lee, Chang-Min,Choi, Jun-Hyuk,Joo, Jin-Ho,Lim, Jun-Hyung,Jung, Seung-Boo,Song, Keun 한국재료학회 2007 한국재료학회지 Vol.17 No.10

        We fabricated the Ni plate by electroforming process and evaluated the microstructure, mechanical properties and wear behavior of the Ni plate. Specifically, the effects of addition of wetting agents, SF 1 and SF 2 solutions, on the microstructure and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microstructure and surface morphology were characteriz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and atomic force microscopy (AFM), respectively, and friction coefficient was measured by the ball-on-disk method. We found that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Ni plate were changed with kind and amount of wetting agents used. The hardness and tensile strength of Ni plate formed without wetting agents was 228 Hv and 660.7 MPa, respectively, whiled when wetting agent was added, those were improved to be 739 Hv and 1286.3 MPa. These improvements were probably due to the finer grain size and less crystallization of Ni. In addition, when both wetting agents were added, the friction coefficient was reduced from 0.73 to 0.67 which is partially caused by the improved hardness and smooth surface.

      • KCI등재
      • KCI등재

        김우철 시 평가 양상을 통해 본 북한 문학사 서술 변화 : '평화적 민주건설 시기'~'전후복구건설 및 사회주의 기초건설 시기'를 중심으로

        이승이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6 No.-

        북한 문학사가 북한 체제의 성립과 더불어 고안된 사실은 이미 알려진 바다. 북한 문학사는 1946년 토지개혁과 민주개혁의 완성, 1948년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정부 수립, 1949년 조소 및 국제주의 친선, 1953~1956년 반종파 투쟁, 1956년 도식주의 비판, 1958년 사회주의 개조 완성, 1959년 부르주아 잔재와의 투쟁, 1967년 반종파 투쟁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서술 변화를 거쳐 왔다. 이러한 서술 변화는 '김일성을 주체로 하는 민족해방서사의 틀을 잡는 과정'에서 일어난 불가결한 현상이었다. 본 글은 1950년~1990년대 사이에 출판된 5종의 북한 문학사를 대상으로, 이들 문학사에 수록·평가된 김우철 시 작품을 통해 체제 변화에 따른 문학사 서술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북한 문학사 서술 변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59년판 문학사는 조소 및 국제주의 친선 주제를 중시하였고, 도식주의에 대한 비판이 일면서 비판·풍자 작품에 대한 비교적 자유로운 평가가 가능했다. 둘째, 1978년판 문학사부터는 주체문예이론이 공식화됨으로써 수령 칭송 주제와 항일혁명 주제가 강조되었다. 이는 1967년 유일사상 확립 이후 김일성 권력의 절대화 과정과 관련된다. 셋째, 모든 북한 문학사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민족 해방 및 건설의 감격으로써 토지개혁의 의의와 수령 형상 주제를 중요하게 다루었다. 이로써 1959년판 문학사 서술이 마르크스 레닌주의 방법에 기초하여 카프 문학을 북한 문학 전통으로 세우는 데 기여하였다면, 1978년판 이후 문학사 서술은 주체 방법에 기초하여 항일혁명 문학을 북한 문학 전통으로 세우는 데 기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It is well known that the literary history of North Korea was devised along with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There has been narrative change in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throughout the land reform and the democratic revolution in 1946, establishment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n 1948, Korea-Soviet Union and internationalism friendship in 1949, the anti-sectarian struggle from 1953 to 1956, criticism against schematism in 1956, the completion of socialism reconstruction in 1958, the fight against remnants of bourgeois in 1959, and the anti-sectarian fight in 1967. The narrative change had been an indispensable one "in the process of framing narration of national liberation led by its leader, Kim, Il-Sung." This thesis is to review Woo-cheol Kim's poems in five kinds of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published from 1950 to the 1990s to see the narrative change of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throughout regime change. Woo-cheol Kim's poems were classified into those only in the 1959 version, others from the 1978 version, and the others in all versions.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change of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is as follows: First, the narrative change in the 1959 version highlighted the theme of Korea-Soviet Union and internationalism friendship, and literary works with criticism and satire were relatively freely evaluated as there was criticism against schematism tendency at that time.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on appeared from the 1978 version was that the themes of praise of its leader and revolution against Japan were emphasized as the Juche literary theory was formulated. Third, the common narrative characteristics in all versions of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was that the implications of land reform and figuration of leader became important at a greater and lesser extent. As such, there were changes of highlights and evaluation of North Korean literary narration between 1959 and 1978 versions. If the 1959 version of literary history had contributed to establishment of KAPF literature as the tradition of North Korean literature based on Marxism-Leninism method, the literary history from the 1978 version was to make anti-Japan revolution literature the tradition based on the Juche method.

      • KCI등재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창작시 감상교육 연구 — 대학 ‘문학창작실기론’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이승이 현대문학이론학회 2019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6

        본고는 대학의 ‘문학창작실기론’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가 작성한 자기보고식 감상평‧감상 후기‧수업 후기 등을 분석 자료로 활용하여 창작시 감상교육이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방법이자 결과로 충분히 활용될 가치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창작시 감상교육은 작독자이자 동료 학습자 간 의사소통구조를 생성하고, 말하기-피드백을 활용한 감상 과정에서 일어나는 인지적‧정서적‧의사소통적 요소에 관심을 두었다. 이를 위해 발렛-레너드(Barrett-Lennard)의 순환적 공감모형(cyclical empathy model)을 재구성하여, 타인을 향한 공감‧텍스트를 향한 공감‧자기를 향한 공감의 세 방향으로 나누어 공감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음 몇 가지 공감(empathy) 및 공감능력의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공감은 정서적 요소로 인해 타인에 대한 유사성 혹은 근접성 정도에 따라 깊이를 조절한다. 타인을 향한 공감은 준비단계에서 이미 공감 편견, 공감 과잉, 공감 거부 등 감상 입장을 결정하고 공감에 이르는 전 과정을 방해하기도 하고 돕기도 하는 가장 원초적인 힘으로 작용한다. 둘째, 공감은 인지적 요소로 인해 명백하게 자기와 타인을 분리하고 교감과 공감을 구분한다. 텍스트를 향한 공감은 조율단계에서 자‧타 감정을 식별하여 부정적인 교감, 부분적인 교감, 긍정적인 교감 등을 가려냄으로써 공감을 선택하고 조절한다. 셋째, 공감은 의사소통적 요소로 인해 나(A)가 자아(a)를 떠올려 조율하는 섬세한 과정으로 자기를 향한 공감을 통해 완성된다. 공감은 타인과의 관계에서뿐만 아니라 자기와의 관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자기-타인, 나(A)-자아(a)의 공감이 동시에 충족되는 이중공감(primordial empathy)의 특성을 지닌다. 끝으로, 공감은 면대면 의사소통 구조 속에서 말하기-피드백의 창작시 감상 횟수를 거듭할수록 능력이 향상된다. 공감능력은 초생적 공감(primordial empathy)과 같이 선천적인 측면이 있기는 하지만 후천적인 학습을 통해 충분히 개발될 수 있다. 미래사회는 호모 엠파티쿠스(homo empathicus)를 지향하고 공감이 담당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면서 자연스럽게 공감교육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공감은 인간의 본성이다. 그러나 긍정적인 인간 발달에 필수적인 요소인 성숙한 공감능력은 저절로 성숙되는 것이 아니므로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공감교육은 더 활발하게 이루어져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