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공항 생체인식기술의 지속이용의도와 프라이버시 염려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후기기술수용모델(Post-Acceptance Model)을 기반으로 -

        이수경 ( Soo-kyoung Lee ) 한국항공경영학회 2024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22 No.2

        늘어나는 항공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공항 운영의 디지털 전환 및 효율적인 프로세스 구현이 필요하며 이러한 움직임의 하나로 IATA는 생체인식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신원 인증기술인 ‘One ID’서비스를 확대할 방침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2021년 한국공항공사는 혁신계획에 따라 ‘One ID’확대를 예고한 바 있으며, 이에 따라 이용객의 손정맥 바이오 정보가 여객 프로세스뿐만 아니라 공항 면세점 등 쇼핑 결제에 이르기까지 바이오 정보의 이용처가 확대될 전망이다. 생체인식기술은 승객의 고유한 신체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정보의 위조나 변조의 위험을 사전에 제거하여 공항 보안 수준을 높이고 출입국 절차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나 반면에 개인의 신체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발생하는 프라이버시 침해에 따른 문제가 있다. 개인의 의지와는 다르게 개인정보가 침해될 것을 우려하는 프라이버시 염려는 해당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것인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공항 생체인식기술 적용이 확대될 시점에 이용자의 기술 수용 관점을 넘어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므로, 본 연구는 후기수용모델을 기반으로 이용자들의 서비스 지속이용의도와 프라이버시 염려와의 영향 관계를 실증하여 연구의 차별화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24년 2월 20일부터 27일까지 공항 생체인식 기술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 338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공항 생체인식기술에 대한 이용자의 기대일치는 인식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이 채택되었고, 기대일치는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가 채택되었다. 그리고 가설 3. 생체인식기술 경험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된 유용성은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지속이용의도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여 가설 4가 채택되었다. 또한 생체인식기술 사용에 대한 만족은 지속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나타내어 가설 5가 채택되었다. 프라이버시 염려의 조절효과는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이 낮은 집단의 경우가 기대일치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고, 인식된 유용성은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이 높은 경우가 낮은 집단보다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어 가설 7. 인식된 유용성과 만족 간의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와 가설 8. 기대일치와 만족 간의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가설 6. 기대일치와 인식된 유용성 간의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와 가설 9. 인식된 유용성과 지속이용의도 간의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 그리고 가설 10. 만족과 지속이용의도 간의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차별점은 첫째, 안면인식을 포함한 생체인식기술 활용 영역이 더욱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 정보시스템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사용의도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모델인 후기수용모델(PAM)을 중심으로 공항생체기술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는 점과 둘째, 바이오인식 정보 유출로 인한 다양한 사회적 문제 야기에 착안하여 정보제공자의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을 함께 고려하여 염려수준 차이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는 점이다. 그러나 생체인식기술 종류에 따른 변인 관계에 유의미한 차이분석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조절효과 차이 분석, 프라이버시 보호 정책 차이에 따른 국가별 비교 연구 등이 후속연구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increasing demand for air travel,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airport operations and the implementation of efficient processes are necessary. As part of this movement, the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IATA) plans to expand its ‘One ID’ service, a digital identity verification technology based on biometrics. In South Korea, the Korea Airports Corporation announced plans to expand ‘One ID’ in 2021, according to its innovation plan. This expansion is expected to extend the use of passengers’ palm vein biometric information not only in passenger processes but also to shopping payments in airport duty-free shops. While biometrics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of using passengers’ unique physical information to prevent the risk of forgery and tampering, thus enhancing airport security levels and facilitating immigration procedures, it also poses privacy infringement issues arising from the use of personal body information. Concerns about privacy violations, regardless of individual consen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decision to continue using such services. This study aims to differentiate by empiricall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service and their privacy concerns, based on the Post-Acceptance Model (PAM). For this research, we analyzed the responses of 338 general public participants who have experienced airport biometrics technology services from February 20 to 27, 2024. The analysis supported Hypothesis 1, that users’ expectation confirmation positively affects perceived usefulness, and Hypothesis 2, that expectation confirmation positively influences satisfaction.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perceived usefulness of the biometrics technology experience positively affects satisfaction and, consequently, the intention to reuse, supporting Hypotheses 3 and 4. Satisfaction from using biometrics technology also positively impacts the intention to continue use, confirming Hypothesis 5. The moderating effect of privacy concerns showed that for groups with lower levels of privacy concerns, the perceived usefulness impacts satisfaction more significantly in groups with higher privacy concerns, and the impact of expectation confirmation on satisfaction is greater, verifying Hypotheses 7 and 8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privacy concern levels. However, Hypotheses 6, 9, and 10, related to the moderating effects of privacy concern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xpectation confirmation, perceived usefulness,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use, were not supported. The novelty of this study lies firstly in its empirical analysis of airport biometrics users based on the PAM at a time when the utilization area of biometrics technology, including facial recognition, is expanding. Secondly, it considers the privacy concerns levels of information providers and analyzes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se concerns levels, taking into account the various social problems caused by biometrics information leaks. Further research might be needed to analyz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ccording to the type of biometrics technology, the differences in moderating effect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 comparative study of privacy protection policies across countries.

      • KCI등재

        Factors influencing metabolic syndrome perception and exercising behaviors in Korean adults

        Soo-Kyoung Lee(이수경),Mikyung Moon(문미경)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2

        본 연구는 기계 학습법 중 하나인 XGBoost를 이용하여 대사증후군을 인지하고 신체활동을 수행하는 집단을 예측하고자 2014년 7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시도되었다. 이에 2009-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연구자료로 사용하였고 370,430명의 성인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대사증후군의 인지 및 신체활동 실천정도에 따른 단계로 3단계로 구분하였다:Stage 1(무인지, 무 신체활동), Stage 2(인지, 무 신체활동), and Stage 3(인지, 신체활동). 예측변수로는 5년간의 지역사회건강조사 중 공통으로 수집된 문항으로부터 161개의 특성을 선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R program을 이용하여 XGBoost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정확도는 0.735 이었으며, 가장 영향을 미치는 10개의 특성은 나이, 교육수준, 체중조절시도 경험, EQ-5D 운동능력, 영양표시 확인, 개인 건강보험가입 유무, EQ-5D 일상활동, 금연광고경험 여부, 통증유무, 당뇨에 대한 보건기관의 교육 경험 순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XGBoost가 보건의료빅데이터를 이용한 질병의 예방과 관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는데 유용한 도구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대사증후군에 취약한 계층을 확인하고 이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ich factors would predict metabolic syndrome (MetS) perception and exercise by applying a machine learning classifier, or Extreme Gradient Boosting algorithm (XGBoost) from July 2014 to December 2015.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KCHS), representing different community-dwelling Korean adults 19 years and older, from 2009 to 2013. The dataset includes 370,430 adults. Outcomes were categorized as follows based on the perception of MetS and physical activity (PA): Stage 1 (no perception, no PA), Stage 2 (perception, no PA), and Stage 3 (perception, PA). Features common to all questionnaires for the last 5 years were selected for modeling. Overall, there were 161 features, categorical except for age and the visual analogue scale (EQ-VAS). We used the Extreme Boosting algorithm in R programming for a model to predict factors and achieved prediction accuracy in 0.735 submissions. The top 10 predictive factors in Stage 3 were: age, education level, attempt to control weight, EQ mobility, nutrition label checks, private health insurance, EQ-5D usual activities, anti-smoking advertising, EQ-VAS, education in health centers for diabetes, and dental care.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XGBoost can be us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using healthcare bigdata.

      • KCI등재

        산성염모제 시술 후 모발세정에 따른 모표피 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이수경 ( Soo Kyoung Lee ),이근광 ( Keun Kwang Lee ) 한국미용학회 2010 한국미용학회지 Vol.16 No.4

        This paper presents the findings of a study to identify the changes that occur in hair cuticles after acid dyeing and washing. The cuticles are examined through a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o identify these changes. The study shows that the hair cuticle ends without washing and pH balancing after application of acid hair dye showed some loosens. However, when the dyed hair cuticle is repeatedly washed with alkali, acid or post-dyeing wash, the hair gloss becomes tarnished, the hair cuticle end loosens, the hair comes off at the cuticle layer, or the hair cuticle is seriously damaged beyond recognition. The dyed hair cuticle with pH balancing treatment shows less serious damage than those without the treatment. But when using dye washing, without any pH balancing, there was no damage to the epidermis.

      • KCI등재

        제 3문화 아이들(Third-Culture Kids: TCKs)의 문화적소속감 부재와 심리적안녕감 간의 관계 : 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

        이수경 ( Lee Soo-kyoung )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해외 거주 관련 변인에 따라 문화적소속감 부재, 심리적안녕감, 적응유연성의 변인들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파악해 보고, 문화적소속감 부재와 심리적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대상은 해외에 1년 이상 거주한 경험이 있으며, 서울, 경기, 지방대도시 소재 일반학교 및 국제 학교에 재학 중인 총 163명의 중·고등학생들로서, 2016년 4월~7월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심리적안녕감과 적응유연성은 문화적소속감 및 애착부족, 문화적 고향 부재, 문화적 고향 필요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귀국 시기가 늦어질수록 문화적소속감 및 애착부족, 문화적 고향 필요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안녕감과 적응유연성은 한국에 10년 이상~15년 미만 거주한 경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적 소속감 부재의 하위요인인 문화적소속감 및 애착 부족과 심리적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은 완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제 3문화 아이들의 적응유연성의 향상을 통해 문화적소속감 및 애착 부족이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을 감소시켜 줄 것이라 추론해 볼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에 적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함의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hird culture kids in the aspects of cultural homelessn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and th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homeless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63 middle·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Gyeonggi, Provincial centers who had resided abroad more than one year.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had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s with lack of cultural group membership and attachment, lack of a cultural home, need for a cultural home. Second, older of age returning to their home country corresponded to greater levels of lack of cultural group membership and attachment, need for a cultural home. Beside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of the students who have lived more than 10 years less than 15 years in Korea were the highest.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ck of cultural group membership and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confirmed. So, if resilience of TCKs could be enhanced by improvement of protection factors, nega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could be reduced.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counseling Third Culture Kids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기업 e-러닝의 학습전이 사례연구: 국내 보험사의 직무교육을 중심으로

        이수경 ( Soo Kyoung Lee ),김소나 ( So Na Kim ),변숙영 ( Sook Young Byun ),권성연 ( Soung Youn Kwo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학습전이를 측정하기 위해 양적인 방법과 질적 접근을 병행하여, 기업 e-러닝에서 나타나는 학습전이의 양상을 보다 체계적이며 구체적으로 검증하고 학습전이의 과정에서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이 실제적으로 학습전이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위해 국내 A기업에서 `완전판매 및 민원주요사례`과정을 이수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최종 응답자 262명의 자료를 가지고 학습전이 영향요인과 학습전이와의 통합적인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또한 학습자가 3개월간 작성한 학습전이 기록지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이루어졌다.연구결과, 첫째, 적합도지수를 통해 구조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였으며, 둘째,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자 특성 요인, 교육프로그램 요인, 조직 환경 요인이었다.셋째, 이들 간의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는 교육프로그램 요인이 가장 컸고, 다음으로 학습자 특성 요인, 그리고 조직 환경 요인의 순이었다.이러한 결과는 맥락에 따라 각 기업마다 특화된 e-러닝 과정 개발 및 운영 전략이 필요하며, 특히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높은 교육프로그램 요인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내용구성 및 설계에 있어서 현장지향적 접근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figure of learning transfer in corporate e-Learning systematically and concretely by using the diverse and elaborate methodology which combines quantitative approach with qualitative approach, and analyze how various factors affect learning transfer practicall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learners who were enrolled in a e-Learning course `perfect selling and cases of civil complaint` at L company in Korea. This company was one of the largest companies in the field of finly.e and insully.e. And this course was about elldicating mis-selling in insully.e contracts and reacting promptly in case of various civil complaint. A total of 262 cases were analyzed for the iasegratedin insully.e contractsthe factors n insed tous civil complaint. nous civil complaint. Alao, addiere anaanalysis of learning transfer jyzed fowhich learners hadowrietctsfor thrac A tths was conduct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sfollow62 Fir. Ththe structural model was verified touhave a sfee able fitness by the goodness-of-fit test. Second, affecting factors were learners` chconc aficticThtlearning progond, and oetctsfor thearnnvirthsullrnx. epting for supervicot. noupacr support. Third, learning progond hadothe great in insuve iafniny.e followed by learners` chconc aficticThtoetctsfor thearnnvirthsull. This sfeuou implicg facthclrnach company should establish, in different situor thraccustomized strasegand casthe designing noumanaging corporate e-Learning for learning transfer.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learning program factors which had strong effects on learning transfer relatively first, and to adopt the field-oriented approach in substance construct and design e-learning contents.

      • KCI등재

        사인(私人)에 의한 인격권 침해와 손해배상책임

        이수경(Lee, Soo-Kyoung) 한국재산법학회 2021 재산법연구 Vol.38 No.3

        최근 공중파의 한 시사고발프로그램에서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한 성착취 동영상에 일반인의 얼굴이 합성되어 유포되는 피해사례가 소개되면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성범죄물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인 이슈로 떠올랐다. 이들은 자신들의 초상이 이러한 영상에 합성되었는지도 모른 채 생활하다가 주변에 의하여 자신의 피해사실을 알게 되는 경우도 많아 예방은커녕 대비책도 제대로 없는 실정이다.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할 경우, 사인(私人들)도 얼마든지 이러한 합성 영상물을 만들어 판매, 유포하기가 쉬워지며, 이러한 경우 사인에 의하여 영상이나 사진이 합성되어 유포될 경우 한 번 게시된 영상물은 수거가 불가능하고, 확산을 막기도 극히 어렵기 때문에 인격권의 침해는 피해의 구제가 쉽지 않다. 언론기관을 통한 가짜뉴스의 유포․확산이 아닌, 일반인인 사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인격권의 침해 유형에 대하여 본고에서는 첫째, 딥 페이크 기술을 활용하여 음란 영상물을 제작하여 판매하는 행위, 둘째, 이러한 기술로 만들어진 영상을 사회연결망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를 이용하여 가짜뉴스로서 퍼뜨리는 행위,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SNS를 통하여 접근하거나 개인의 신상정보를 알아내어 피해자에게 손해를 끼친 경우와 같은 스토킹 범죄로 인한 영역 등의 세 가지 영역에서의 사인에 의한 인격권의 침해를 살펴보고, 이로 인하여 발생한 불법행위에 대하여 피해자가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도록 특별법의 규정을 보완하거나, 악의적 고의의 행위로 인한 징벌적 손해배상의 적용 가능성도 살펴보고자 한다. Recently, the issue of digital sexual assault crim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has emerged as a social issue as a case of damage in which the faces of the general public are synthesized and distributed in a sexual abuse video using deep fake technology. The number of female victims in the general citizen is also increasing significantly. They often live without knowing whether their portraits have been synthesized into these images, and they often learn about their damage by their surroundings, so they do not have proper countermeasures, needless to say not to being prevented. Using deep fake technology makes it easier for individuals to create, sell, and distribute these sexual abuse videos as much as they want. In this case, due to the nature of online-network system, once a video or photo is synthesized and distributed, it is impossible to re-collect once posted, and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prevent the spread, so infringement of personal rights is not easy to remedy damage. There are several types of damages about personal rights that can be made by individuals. This paper studies the act of producing, distributing, and selling pornography using deep fake technology, especially spreading videos made with these technologies as fake news. And as can be seen from the act of defaming the victim using fake news or deep fake video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the perpetrator approached the victim through SNS or found out personal information, causing damage to the victi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ay to get liabilities of victims by infringement, such as areas due to such stalking crimes. Regulations and the provisions should be reorganized so that victims can receive compensation for damages for illegal infringement occurring in the three areas. If the victim is harmed with malicious intentions, punitive liability for damages may also be considered.

      • KCI등재

        국악 기악영역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분석

        이수경(Lee, Soo-Kyoung),이미선(Lee, Mi-Sun)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3

        본 연구는 국악 기악영역 교육에서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유발에 활용 가능한 스마트 기기 어플리케이션의 조사와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스마트 교육의 자기주도적, 흥미, 수준과 적성, 풍부한 자료, 정보기술 활용 등의 주요 개념을 음악교육에 활용하면 기악, 창작 등의 기본 영역에서 능률적이고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국악기악영역 중 ‘가야금’, ‘단소’, ‘소금’, ‘장구’, ‘해금’을 선정하여 안드로이드와 iOS 두 운영체제에서 활용 가능한 국악기 어플리케이션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조 가야금’ 어플리케이션은 터치위치에 따른 음의 세기의 조절, 농현의 표현과 정보 수집이 가능하며 현의 색 변경기능, 계명 표기, 농현의 폭 조절, 이동도법과 고정도법에 따른 율명 표기에서 유무가 관찰된다. 둘째, ‘단소’ 어플리케이션은 소리세기의 조절과 농음의 표현 방법, 시김새 표현의 유무, 지공 배치, 추가적인 음정 설정의 차이점을 나타낸다. 셋째, ‘소금’ 어플리케이션은 농음의 표현이 가능하고 소리 세기의 조절, 농음 표현의 방법, 음정의 추가와 시김새 표현 여부가 차이점으로 나타난다. 넷째, ‘장구’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지정한 박자에 따른 장단별 부호의 악보와 시범 연주를 포함하고 있다. 다섯째, ‘해금 어플리케이션은 고정 도법의 계명표기 및 퇴성과 추성의 표현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pplication of smart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learner’s interest and motivation. This study selected etudes suggested for five instrument learning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and analyzed applications for smart education that are availab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anjo Gayageum’ application, controlling intensity of sound, expression of vibrato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ouch, collection of information, and controlling of the width of vibrato were available. There was also an indication of Yulmyeong according to movable Do. Second, ‘Danso’ application showed difference in the control of sound intensity, method of expression of fortis, existence of Sigimsae, configuration of additional intervals etc., Third, applications of ‘Sogeum’ allowed expression of fortis and collection, method of expression of fortis, addition of intervals and expression of Sigimsae. Fourth, ‘Janggu’ application included demonstrative performance for sign by rhythm according to the beat designated by learners. Fifth, ‘Haegeum’ application included indication of note for fixed Do, and function for expression of Toeseong and Chuseong.

      • KCI등재

        e-Learning 환경에서 학습자 및 학습과정 특성에 따른 학습전략 차이 분석

        이수경 ( Soo Kyoung Lee ),권성연 ( Soung Youn Kwo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기업의 e-Learning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학습전략의 사용 수준을 파악하고 이러한 학습전략의 활용이 학습자의 특성과 학습과정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궁극적으로는 e-Learning에서 학습자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학습자 및 학습과정 특성에 맞는 지원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e-Learning 수강 경험이 있는 총 2,971명의 학습자에게 학습전략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들의 응답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학습전략 사용의 수준은 대체로 3.0 이상(5.0 만점)의 사용 수준을 보였고 이 가운데 선택, 목표설정, 시간관리, 모니터링, 실제적 활용(적용) 전략 등의 사용은 3.5점 이상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료학습이나 교강사와 상호작용과 같은 전략은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 특성에 따라 학습전략 사용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연령별 차이는 학력에 비해 다양한 학습전략 유형에 걸쳐 사용 수준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성보다는 남성이, 연령이 높아질수록 학습전략 사용이 높아졌다. e-Learning 수강 경험의 정도에 있어서도 e-Learning 강좌를 많이 수강한 학습자일수록 전반적으로 학습전략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학습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과정의 특성에 따른 학습전략 사용의 차이도 나타났다. 고급 과정, 자기계발 과정을 수강한 학습자가 보다 적극적인 학습전략 사용을 하였으며 수강한 과정의 분야에 따라 보다 빈번히 사용하는 전략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성인 학습자 및 학습과정의 특성에 맞는 학습전략 지원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adult learner`s learning strategies in actual e-Learning process and its different features which may vary depending on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courses` characteristics. This study took 2,971 learners who had attended e-Learning courses and was conducted in the methodology of online survey. Using the data, the learners` learning strateg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various variables of learners and course characteristics. As a result, firstly the learners conducted learning strategies in the degree of over 3.0(perfect score, 5.0). The learners more actively used the following learning strategies among them; selecting, goal-setting, time-managing and monitoring. In contrast, the strategies related to the interaction were less used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Secondly, The result showed that features of learning strategies varies according to learner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s, and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Especially, learners who had more learning experiences in e-Learning showed higher degree use of learning strategies compared to those who had less experienced. It also revealed that the nature of e-Learning courses are influential factors for their learning strategies. Noticeable differences on learning behavior were found depending on whether learners took required, introductory courses or elective, advanced ones. It is recommended to consider these findings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future e-Learning co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