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바일 앱의 메모리 쓰기 참조 패턴 분석

        이소윤,반효경,Lee, Soyoon,Bahn, Hyokyung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1 No.6

        최근 모바일 앱의 수가 급증하면서 스마트폰의 메모리 크기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다. 메모리 매체인 DRAM은 모든 셀이 지속적인 전원재공급 연산을 수행해야 내용이 유지되는 휘발성 매체로 메모리 크기 증가 시 전력 소모도 그에 비례해 늘어난다. 최근 스마트폰의 메모리로 DRAM이 아닌 저전력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여 배터리 소모를 줄이고자 하는 시도가 늘고 있다. 그러나, 비휘발성 메모리는 쓰기 연산에 취약성을 가지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모바일 앱의 메모리 쓰기 참조 트레이스를 추출하고 그 특성을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비휘발성 메모리가 메인 메모리로 채택되는 미래의 스마트폰 시스템에서 쓰기 효율성을 가진 메모리 관리 기법 설계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as the number of mobile apps rapidly increases, the memory size of smartphones keeps increasing. Smartphone memory consists of DRAM and as it is a volatile medium, continuous refresh operations for all cells should be performed to maintain the contents. Thus, the power consumption of memory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DRAM size of the system. There are attempts to configure the memory system with low-power non-volatile memory instead of DRAM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smartphones. However, non-volatile memory has weaknesses in write operations, so analysis of write behaviors is a prerequisite to realize this in practical systems. In this paper, we extract memory reference traces of mobile apps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specially focusing on write operations.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be helpful in the design of memory management systems consisting of non-volatile memory in future smartphones.

      • Non-Robotic, Endoscopic Hemi-Thyroidectomy via Retro-auricular Single-incision Approach : A Preclinical Feasibility Study in Cadavers

        이소윤,선동일,안수현,이일환,박영학,Lee, So-Yoon,Sun, Dong Il,Ahn, Su Hyun,Lee, Il Hwan,Park, Young Hak The Korean Society for Head and Neck Oncology 2014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30 No.1

        목 적 CO2 가스 삽입 없이 내시경 보조 갑상선 절제술, 특히 액와 절개를 이용하는 경우의 대부분은 기구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흉부 또는 유륜에 절개를 넣어 시행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는 후이개 절개를 통하여 추가적 절개 없이 내시경을 이용한 갑상선 절제술 및 중심 임파선 절제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사체연구를 통하여 확인해 보고자 한다. 방 법 사체 이용 해부 및 수술 후이개 내시경 보조 갑상선 절제술이 가능한지의 확인은 수술 시야 및 접근성, 수술 완성도, 그리고 주요 구조물의 보존 여부인 3가지 항목으로 평가하였다. 결 과 수술 시야는 기구를 다루고 수술을 하기에 충분하였으며, 추가 절개 없이 수술을 완성할 수 있었다. 절제된 갑상선 조직의 피막은 손상되지 않았으며, 잔존 갑상선 조직이 없음을 수술 부위를 통하여 확인하여, 수술의 완성도 여부를 평가할 수 있었다. 모든 사체에서 되돌이 후두신경 및 상 또는 하부갑상선의 보존을 확인하였으며, 주변 구조물들의 손상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결 론 로봇이 아닌 후이개 절개를 이용한 내시경 보조 갑상선 절제술은 시행 가능한 접근법 및 수술방법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저항성 들숨근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소윤,한진태,Lee, So Yun,Han, Jin Tae 대한물리치료과학회 2020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Vol.27 No.3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reshold resistance inspiratory muscle training on respiratory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Eighteen patient with stroke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n=9) and control group (n=9) all testing and training.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threshold resistance inspiratory muscle training with resistance adjusted of maximal inspiratory pressure, 60 breathing a day and general physical therapy 30 minutes a day, 5 times a week for 4 weeks. The control group was taken general respiratory muscle training and general physical therapy for 4 weeks in the same way. Respiratory function, walking ability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results were evaluated by ANCOVA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after intervention.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FVC and FEV1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pulmonary function tests (p<0.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and the maximum inspiratory flow rat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maximum inspiratory capacity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p>0.05) but the maximum inspiratory capacity of experimental group some increased than that of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 gave some indications that the threshold resistance inspiratory training may benefit on pulmonary function in people with stroke, and it is feasible to be included in rehabilitation interventions with this population.

      • 〈징셰비□록〉에 나타난 조선 후기 명·청 인식론 탐구 -안경의 서사를 중심으로-

        이소윤 ( Lee So Yun ) 동방비교연구회 (구 한국동방문학비교연구회) 2018 동방문학비교연구 Vol.8 No.-

        본고는 <징셰비□록>의 중심인물인 안경의 서사를 분석함으로써 이 작품이 말하고 있는 명·청 인식의 문제를 논의하였다. 안경은 간신 화신을 처단하고 충신으로 현달하고자 하는 남성적 영웅 심리를 가지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는 정계를 은퇴한 노년 남성이다. 또한 안경은 명나라의 후손이지만 동시에 청나라의 충신이기도 한 양가적 아이덴티티를 지닌 인물이다. 이러한 인물 설정으로 인해 그는 직접 적수의 목을 베어내지 못하며 명나라 재건파를 논리적으로 제압해내지도 못한다. 어쩔 수 없이 그에게는 남강월, 운수선생과 같은 인물들의 조력이 필요하다. 문제적인 것은 안경이 명나라 재건파와의 논리 싸움에서 압승을 거두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운수선생이 당대의 대명의리론을 거부하는 세력을 나타낸다면 명나라 재건파는 대명의리론을 지지하는 세력을 드러낸다. 그리고 안경은 두 세력 사이에서 갈등하는 사대부들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군신지의와 화이지변 사이에서 고민하는 안경의 모습은 19세기 초중반 조선의 지식인들에게는 낯선 것이 아니었다. 화신으로 상징되는 불안한 중화문명 앞에서 당대에 명·청 인식론은 복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징셰비□록>은 안경을 중심으로 한 여타 인물들 사이의 서사 구도를 통해 당대에 여러 갈래로 존재하고 있던 명·청 인식을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본고의 논의는 <징셰비□록>이 청나라에 대한 우호적 감정을 설파한다고 이해했던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분석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text aims to discuss the issues of Ming-Qing epistemology as presented by < Jingsebiterok > through the exploration of the narrative of its key characte, Angyeong. Angyeong has the mentality of a masculine hero who wants to get rid of treacherous Hwasin and be a loyalist. However, in reality, he is an elderly retired man who has left the political circles. Furthermore, Angyeong shows an ambivalent identity by being a descendant of the Ming but also a loyalist of Qing. Such haracter settings prevent him from personally cutting the throat of his enemies nor and logically suppressing the Ming rebuilding groups. Hence, Angyeong inevitably needs the help of characters such as Namgangwol and teacher Unsu. The key factor here is that he did not win against the Ming rebuilding groups at logical warfare, causing problems. If teacher Unsu does a show of power by refusing to swear loyalty to the Ming, the Ming rebuilding groups similar flex their influence by supporting the idealism of the era. Angyeong here represents an intellectual man torn between two different influences. This image is one that is familiar to the intellectual men of the early to mid -19th century Choseon. Ming-Qing epistemology of the era shows complex characteristics in the face of the anxious Sinocentric Civilization that symbolizes Hwasin. Hence, we can say that < Jingsebiterok > is a work that presents the Ming-Qing epistemology that existed as several strands of the era’s ideology through the narrative structure between the other characters when in focus of Angyeong. Thus, this paper's discussion is significant as it goes beyond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es that merely state < Jingsebiterok >'s amicable emotions towards the Qing dynasty.

      • KCI등재

        제주도 서사무가 <서귀포본향당본풀이>에 나타난 권력과 젠더의 향배(向背) - `신부 바꿔치기` 화소를 중심으로

        이소윤 ( Lee So-yu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7 탐라문화 Vol.0 No.54

        제주도 서사무가 <서귀포본향당본풀이>의 일부 이본에서 바람운은 `제주도`출신의 `서울` 대사의 아들로, 고산국과 지산국은 `중국` 대신의 딸들로 등장한다. 통상적으로 제주도 `외부` 출신의 신은 `내부` 출신의 신보다 좌정상 우위를 차지한다. 따라서 바람운이 중국 대신에게 지산국과의 혼인 허락을 구하면서 목숨의 위협까지 느끼는 것은 `중국`이 표상하는 `외부`와 제주도가 표상하는 `내부`의 위계가 서사 내부에서 일정한 긴장관계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중국 대신은 가부장적 전권을 첫째 딸인 고산국에게 위임하기 위해 둘째 딸 지산국 대신 고산국을 신방에 들여보낸다. 그러므로 혼인 이후 눈이 맞아 야반도주한 바람운과 지산국을 `역적`으로 규정하는 고산국의 목소리는 바로 아버지인 중국 대신의 목소리이다. 이때 고산국은 `가부장적 여성`이다. 그런 의미에서 고산국이 동생에게 성(姓)을 바꾸라고 요구하는 것은 아버지의 계보에서 나갈 것을 요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혼인을 기점으로 두 여성인물의 성격은 변화한다. 고산국과 지산국은 더 이상 아버지에 의해 `신부 바꿔치기` 될 수 있는 자기 의지 없는 여성의 몸이 아닌 것이다. 그런데 고산국이 자신의 몸에 가부장의 논리를 새기고 있다면 지산국은 자신의 몸을 가부장의 논리에서 미끄러져 나오도록 한다. 가부장 사회에서 여성이 혼인을 매개로 한 가부장에게서 다른 가부장에게로 이동된다는 것을 주지한다면 지산국은 정식 혼인을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결과적으로 `누구에게서`도 `누구에게로`도 이동되지 않는다. In some versions of the Jeju shaman epic Seogwipo- Bonhyangdang- Bonpuri, Baramun is the son of a `Seoul` Buddhist priest from `Jeju-do` and Gosanguk and Jisanguk, both appear as the daughters of a `Chinese` minister. Generally, a Jeju-do god considered an `external` is positioned as superior to an `internal` god. Therefore, when Baramun feels his life is being threatened while asking the Chinese minister for Jisanguk`s hand in marriage,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influence of the hierarchy of `China` and `Jeju-do` being exercised, each symbolizing the `externals` and `internals` respectively. But, the Chinese counsel sends Gosanguk into the room instead of the Jisanguk, in order to entrust the firstborn Gosanguk with patriarchal authority. So, when Gosanguk defines Baramun and Jisanguk, both who fall in love and elope after the matrimony, as `traitors` it is actually the voice of her father. At this time, Gosanguk is `patriarchal woman`. In that sense, when Gosanguk demands her sister to renew her surname, she is also demanding that she get out of her father`s lineage. Meanwhile, both female character`s personality change after the matrimony. Gosanguk and Jisanguk are not just woman`s body without self-will that can be `bride shifting` by their father. However, while Gosanguk has the patriarchal logic engraved in herself, Jisanguk lets her body slip away from the patriarchal logic. Recognizing that in a patriarchal society a woman is transferred from one patriarch to another through matrimony, Jisanguk technically did not move `from someone` to `being someone`s` for she did not have an official matrimony.

      • KCI등재후보

        에니어그램 상담전략 프로그램을 통한 상담사례-부모와의 갈등개선을 중심으로

        이소윤 ( Lee So-yun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2018 명상심리상담 Vol.19 No.-

        목적: 내담자의 성격을 깊이있게 알고싶고, 이해하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권유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 행동특성과 명상상담 전략(인경,2016)을 이론적 배경으로 했다. 방법: 총 6회기로 진행. 1회기 면접과 성격검사, 2회기 대인관계 탐색, 3회기어린시절 경험나누기와 나중심가계도 그리기, 4회기 자아개념과 집착, 5회기 성격역동, 6회기 성장과 본질로 진행함. 결과: “감정이 일어날 때 알아차리기”를 통해 직면하는 방법을 배웠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는 모습을 보임, 본인이 원하는 공부를 찾아 열심히 생활하고 있음, 부모님과의 갈등사례에서 가슴답답하고 심장이 빨리 뛰고 불안한 감정을 영상관법을 통해 해소됨. 결론: 에니어그램 상담과 영상관법, 바디스캔이 보편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좋은 방법이 마음이 힘든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고 적극적으로 도울수 있는 기회를 찾아봐야겠다. Purpose: This study was motivated by the idea that the researcher had better know and understand the client's personality more deeply.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oretical backgrounds of Enneagram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meditation counselling strategy. (Ingyeong, 2016) Methodology: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six sessions in total: the first one by interviews and personality examination; the second by explor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third by sharing of childhood experiences and drawing of me-centered family trees; the fourth by self-concept and obsession; the fifth by personality dynamics; the six by growth and essentials. Result: The clients learned how to confront emotions through "becoming aware of them when they arise", and appeared to be able to express their own emotions and thoughts. They lived an active life in pursuit of their wanted study and could clear off suffocating excessive anxiety through the IBMM (Image-Based Mindfulness Meditation) in the face of conflicts with their parents.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Enneagram counselling, the IBMM and body scan generally had a good effect on most of people. The researcher sincerely wishes this good method can help distressed people and would like to find further opportunity to help them more a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시플로덱으트린류를 이용한 새로운 플루코나졸 수성 주사제의 설계

        이소윤(So Yun Lee),전인구(In Koo Chun) 大韓藥學會 2001 약학회지 Vol.4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1uence of cyclodextrins (CDs): and different acids on the solubility of fluconazole, and to formulate its more concentrated parenteral aqueous solution. Solubility studies of fluconazole with β- CD, 2-hydroxypropyl-β-CD (HPCD), sulfobutyl ether β-CD (SBCD) and dimethyl-β-CD (DMCD) were performed. The aqueous solubility of fluconazole was measured in different concentrations of different acids with or without addition of CDs. Solubility of fluconazole increased in the rank order of β-CD 1H-NMR studies confined the formation of an inclusion complex of fluconazole with HPCD. It was also shown by the NMR studies that the complex formed was a 1:1 complex. Among the different acids used, maleic acid and phosphoric acid increased solubility of fluconazole. The lower the pH of solution is, the more fluconazole dissolved, regardless of acids. Addition of HPCD (50 mM) to acid solutions increased the solubility about two times. New fluconazole injections at a dose of 10 mg/ml could be prepared in aqueous solutions containing 10% HPCD or 15% SBCD. These parenteral solutions did not form any precipitates at 4oC and was very stable at elevated temperature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it is possible to develop a parenteral aqueous solution of fluconaEole with a smaller injection volume using HPCD or SBCD.

      • KCI등재

        종교와 국가 권력의 관계 그리고 여성 : 몽골의 무조신화 다얀 데레흐를 중심으로

        이소윤(Lee, So Yun) 한국몽골학회 2021 몽골학 Vol.- No.67

        본 연구에서는 다얀 데레흐 신화를 중심으로 각편의 변이 양상을 조명함으로써 신앙과 국가 권력의 관계 그리고 여성의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 다얀 데레흐 신화는 샤머니즘과 티베트 불교, 또 몽골제국과 샤머니즘, 그리고 여성의 ‘몸’과 관련한 문제 등을 폭넓게 읽어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신화 속 다얀 데레흐의 위상은 각 서사의 지향점이 샤머니즘에 있느냐 혹은 티베트 불교에 있느냐에 따라 편차를 드러내고 있다. 샤머니즘에 지향점이 있는 서사에서는 다얀 데레흐가 달라이 라마와의 내기에서 승리하며 티베트 불교에 지향점이 있는 서사에서는 달라이 라마와의 논변에서 지고 라마승의 재고에 갇히는 등의 굴욕을 당한다. 주목할 것은 다얀 데레흐와 칭기즈 칸이 결탁하는 자리에 칭기즈 칸의 딸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향후 샤머니즘과 몽골제국의 운명이 결정되는 순간, 모든 갈등의 시발이 되었던 여성의 ‘몸’은 마치 처음부터 그것이 문제가 아니었다는 양 사라져 있다. 특히 일부 서사에서 칭기즈 칸의 딸은 그녀 혼자만이 집요한 살육의 추적 대상이 된다. 그런데 이때 어머니가 되어본 적도 없는 칭기즈 칸의 딸이 사후에 ‘어머니 나무’로써 제의의 대상이 된다는 사실은 유념할 만하다. 이 서사에서도 여성의 ‘몸’은 결국 모성 담론에 귀속됨으로써 남성들의 연대에 이바지하기 때문이다.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state power and women s issues were discussed by illuminating the variations of each versions, focusing on the myth of Dayan Derech. The Dayan Derek myth provides an opportunity to broadly read shamanism, Tibetan Buddhism, the Mongol Empire, shamanism, and issues related to the “body” of women. Dayan Dereh s status in mythology reveals deviations depending on whether the direction of each narrative is in shamanism or Tibetan Buddhism. In the narrative oriented towards shamanism, Dayan Dereh wins a bet with the Dalai Lama, and in the narrative oriented to Tibetan Buddhism, he is humiliated, such as losing in an argument with the Dalai Lama and being trapped in the lama s storage. It is noteworthy that there is no daughter of Genghis Khan in the collusion between Dayan Dereh and Genghis Khan. The moment the fate of shamanism and the Mongol Empire is decided in the future, the women s body , which started all conflicts, disappears as if it was not a problem from the beginning. In other words, in this narrative, the ‘body’ of a women only appears as a kind of expedient for the solidarity of men. In this triangular composition of Dayan Dereh, Genghis Khan, and Genghis Khan s daughter, the key is no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le and female characters,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ale charac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