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PMO 법에 의한 친핵반응도 결정 (I) Arylmethylchloride의 Chloride 교환반응

        이본수,이익춘,Bon-su Lee,Ikchoon Lee 대한화학회 1969 대한화학회지 Vol.13 No.4

        Arymethychloride의 교환반응에 대한 반응속도 상수를 측정하고 또한 활성화 파라메터를 결정하였다.Substrate의 반응도를 섭동분자궤도(PMO)법으로 설명하였으며 HSAB원리를 이에 적용하였다. 또한 전이상태에서의 탄소-염소공명적분값이 탄소-탄소 공명자분값이 약 67%임을 밝혔다. Rate constans for the chloride exchange of some arylmethylchloride in dry acetone have been determined, and activation parameters have been evaluated. The reactivities of substates are explained with perturbational molecular orbital (PMO) method and HSAB principle. It was found that carbon-chlorine resonance integral at the transition state is a out 67% of ${\beta}$, the carbon-carbon resonance integral.

      • SCOPUSKCI등재

        친핵성 치환반응에 대한 분자궤도론적 연구

        이본수,이익춘,양기열,Bon Su Lee,Lee, Ik Choon,Ki Yull Yang 대한화학회 1981 대한화학회지 Vol.25 No.3

        기체상에서의 이분자 친핵성치환반응에 대한, 고유한 반응성에 대하여 CNDO/2 방법의 분자궤도론적으로 논의 하였다. 친핵체 및 이탈기별로 반응물, 천이상태, 그리고 생성물에 대해 geometry optimization을 하고 구조와 형태를 고찰하였다. CNDO/2수준에서도 정성적인 논의가 가능하였으며 반응성은 친핵체의 염기도와 이로부터 유발된 분극력에 의해 지배되었다 The intrinsic reactivity of $S_N2$reaction in the gas phase was discussed MO theoretically (CNDO/2).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geometry and electronic structure by means of the partial geometry optimization for reactantes, transition states, and products with various nucleophiles and leaving groups. We found that it was possible to discuss qualitatively the reactivity of $S_N2$ reaction with CNDO/2 MO calculation and the reactivity was controlled by basicity and of induced polarizability.

      • SCOPUSKCI등재

        이산화질소 - 오존을 이용한 클로로벤젠들의 니트로화 반응

        이본수,정규현,이원희,김영수,김태형 ( Bon Su Lee,Kyoo Hyun Chung,Won Heui Lee,Young Su Kim,Tae Hyoung Kim ) 한국공업화학회 1996 공업화학 Vol.7 No.3

        니트로클로로벤젠 유도체는 염료, 의약품, 향료 등의 중간체로 쓰인다. 가장 널리 쓰이는 니트로화 반응공정은 질산과 황산의 혼합산을 사용한다. 혼산공정에서는 반응중 생성된 물 때문에 묽은 황산이 주성분인 폐산을 처리해야 한다. 이산화질소와 오존을 함께 사용하여 니트로화 반응을 진행시킬 수 있다. 6당량의 이산화질소, 1.0당량/hr의 오존유속, 반응온도 0℃에서 클로로벤젠의 모노니트로화 반응은 3시간만에 완결되나, 디니트로화 반응은 12시간 소요된다. 일부 방향족 화합물의 니트로화 공정에서 이 방법은 질산-황산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환경문제를 야기한 기존방법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Nitrochlorobenezenes are used as intermediates for dyes, pharmaceuticals and perfumes. By far the most common industrial nitration process employs a mixture of nitric acid and sulfuric acid. Due to water formed in the reaction, the mixed acid nitration requires subsequent separation of spent acid, mainly dilute sulfuric acid. In the stream of ozone, nitrogen dioxide can be used as a nitrating agent for the nitration of chlorobenzene. With 6eq of NO₂ and 1.0eq/hr of ozone flow, the mononitration of chlorobenzene ended within 3hr at 0℃ while the dinitration of chlorobenzene did in 12hr. This method can be employed for the nitration of some aromatic compounds to reduce pollutants from the present mixed-acid process.

      • SCOPUSKCI등재

        Carbon Dianion의 안정성과 전자구조에 대한 분자궤도함수론적 연구

        이본수,이익춘,손창국,Bon Su Lee,Ik Choon Lee,Chang Kuk Sohn 대한화학회 1981 대한화학회지 Vol.25 No.2

        Biindenyl dianion의 존재를 논의하기 위하여 모델 화합물로서 2, 3-dimethyl butadiene 을 취하여 이의 mono 및 dianion에 대하여 CNDO/2 계산을 수행하였다. 또한 부분적으로 기하학적 구조를 최적화함으로써 이들의 전자구조의 변화를 조사하여 보았다. 이 결과 dianion에 미치는 안정화 효과는 mono-anion에 미치는 안정화 효과와 현저하게 다르다는 사실을 알았다. In order to discuss the existence of the biindenyl dianion, we chose the 2, 3-dimethyl butadiene as a model compound and attempted the CNDO/2 calculations for its monoanino and dianion.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electronic structures by means of the partial geometry optimization. We found the stability effects on dianion were markedly different from those on monodianion.

      • SCOPUSKCI등재

        염화 포름산 알킬의 구조와 반응성. 할로겐화 이온 교환반응에 대한 분자궤도론적 고찰

        이본수,이익춘,Lee, Bon Su,Lee, Ik Choon 대한화학회 1974 대한화학회지 Vol.18 No.4

        CNDO/2 MO theoretical studies and kinetic studies of halide exchange reactions for alkylchloroformates have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structure-reactivity relationship of alkylchloroformates. From the result of energetics, it was concluded that the most stable configuration of alkylchloroformate is that in which alkyl group and chlorine are trans to each other, and that the hindered rotation about the bond between the carbonyl carbon and alkoxy-oxygen bond is attributed to the ${\pi}-$electron delocaliza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 large charge separation is due to -M effect of carbonyl and alkoxy oxygens and-I effect of chlorine. The order of rates in solvents studied was $(CH_3)_2 > CO > CH_3CN{\gg}MeOH.$</TEX< The nucleophilic order showed the qualitative trends of $I^->Br^->Cl^-$ in protic solvent, and of Cl^->Br^- >I^-$ in dipolar aprotic solvents. Alkyl group contribution has the decreasing order of $CH_3-> C_2H-{\gg}i-C_3H_7-.$ The solvent effect has been interpreted on the basis of initial and final state contribution. A transition state model has been suggested, and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 most favorable mechanism is the addition-elimination. From the results of activation parameters and electronic properties, an energy profile has been proposed. Structural factors determining reactivities of alkylchloroformates have been shown to be charge, energy level of ${\alpha}^*LUMO$ to C-Cl bond and ${\alpha}^{\ast} $antibonding strength with respect to C-Cl bond in this MO. Charge and polarizability of nucleophile, and the interaction of these effects with solvent structures are also found to be important. 염화포름산 알킬의 할로겐화 이온 교환반응을 반응속도론적으로 연구하고, 이의 전자 구조적 특성을 CNDO/2 MO계산으로 연구하였으며 이로부터 구조와 반응성 간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염화포름산 알킬의 에너지면에서의 가장 안정한 입체배치가 알킬기와 염소원자 사이가 서로 트랜스인 입체배치임을 알았으며, 결합주위의 회전장애가 {\pi}-전자 비편재화에 기인됨을 밝혔다. 염화포름산 알킬은 하전분리가 심한 극성물질이며, 이것이 카르보닐 산소와 알콕시 산소의 효과 및 염소의 효과에 기인됨을 밝혔다. 반응속도에 미치는 용매효과는 $(CH_3)_2CO>CH_3CN{\gg}MeOH$순으로 반응성이 감소되는 작용을 나타냈으며, 친핵성도는 양성자성 용매중에서 $I^->Br^->Cl^-$, 비양자성 용매 중에서 $Cl^->Br^->I^-$이었으며 알킬기의 기여는 $CH_3->C_2H_5->i-C_3H_7-$순이었다. 초기상태와 천이상태의 안정화 기여를 기초로 용매효과를 해석하였으며 초기상태 탈용매화의 특성으로 친핵성도를 논의하였다. 이 반응에 대하여 가장 유리한 메카니즘을 첨가-제거 메카니즘으로 제안하였다. 염화포름산 알킬의 반응성을 결정하는 구조적 요인은 하전, C-Cl 결합에 대하여 ${\alpha}^{\ast}$인 LUMO의 에너지준위 및 이 MO에서 C-Cl결합의 반결합세기임을 밝혔다.

      • KCI등재

        Pyridinolysis of O-Aryl Phenylphosphonochloridothioates in Acetonitrile

        이본수,이해황,Bilkis Jahan Lumbiny,어디까리 대한화학회 2008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29 No.9

        The kinetics and mechanism of the reactions of Y-O-aryl phenylphosphonochloridothioates with X-pyridines are investigated in acetonitrile at 35.0 oC. The negative value of the cross-interaction constant, ρXY = −0.46, indicates that the reaction proceeds by concerted SN2 mechanism. The observed kH/kD values involving d-5 pyridine (C5D5N) nucleophiles are greater than unity (1.05-1.11). The net primary deuterium kinetic isotope effects, (kH/kD)net = 1.28-1.35, excluding the increased pKa effect of d-5 pyridine are obtained. The transition state with a hydrogen bond between the leaving group Cl and the hydrogen (deuterium) atom in the C-H(D) is suggested for the studied reaction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