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이데거와 난민: 하이데거의 횔덜린 해석을 중심으로

        이방연 한국하이데거학회 2024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72

        이 논문에서 필자는 하이데거 사상과 연계하여 난민 문제를 논의한다. 논문의 목적은 그의 존재사상에서 난민에 대한 논의가능성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난민 문제를 새롭게 이해하여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위해 필자는 횔덜린의 시와 안티고네 해석에 대한 하이데거의 입장을 고찰한다. 필자가 난민 문제를 예술작품을 통해 논의하는 이유는 현실과 이에 거리를 두는 작품의 차이를 통해 해결방안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이 논의에서 필자는 귀향이 나타나기 위해서는 인간이 근원적으로 조국을 떠난 난민이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필자는 하이데거가 생각하는 노모스와 에토스의 관계를 통해 난민의 귀향을 모색한다. 왜냐하면 인간이 체류하는 영역인 에토스는 존재에 의한 할당(노모스)에 따라 발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난민 문제에 대한 이 해결책은 난민과 연계하여 우리가 지금 목도하는 적대감과 폭력을 하이데거가 거부하기에 등장한다. 그에게 있어 난민 문제의 해결은 예술작품에서 등장하는 인간의 근원적 태도 변경을 통해 가능하다. 이 변화는 인간다움의 회복이기에, 인간의 모든 행동보다 더 근원적이며, 그 때문에 더 중요하고 시급하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discussing refugees in terms of Heidegger’s philosophy of being as well as to elucidate the refugee problem and find a solution. To this end, we examined Heidegger’s position on Hölderlin’s poetry and interpretation of Antigone. An analysis of a work of art reveals a solution through the difference between reality and works that distance themselves from it. We emphasized that people are considered refugees if they have fundamentally left their homelands. We examined the return of refugees to their homelands through the correlation of nomos and ethos from Heidegger’s perspective because ethos, the space where humans dwell, can be found on the basis of how it is assigned (nomos) through being. A solution to the refugee problem arises from Heidegger’s rejection of the hostility and violence that we experience today. For him, the problem can be solved through change in the fundamental human attitudes discussed in a work of art. Since this change is a restoration of humanity, it is more basic than all human activities and is therefore more important and urgent.

      • KCI등재

        니체와 괴테 - 니체의 비극의 탄생을 중심으로

        이방연 한국니체학회 2022 니체연구 Vol.42 No.-

        In dieser Abhandlung werden wir das Verhältnis zwischen Nietzsche und Goethe erörtern, das in der Schrift Die Geburt der Tragödie dargestellt wird. Anhand von Nietzsches Goethe-Interpretation stellen wir folgende These auf: Obwohl sich Goethe eigentlich der zwei Kunsttrieben der Natur, nämlich des Apollinischen und des Dionysischen bewusst ist, verbindet er diese beiden Triebe nicht mit der von Nietzsche anvisierten “Kunst”. Was ist der Grund für sein Scheitern, wenn Goethe die Verknüpfung dazwischen vernachlässigt? Meines Erachtens liegt der Grund dafür darin, dass er in Nietzsches Augen die Begriffe “Kunst” und “Phantasie” missversteht, die sich wesentlich auf die Nachahmung der Natur beziehen. Dagegen zielt Goethes Absicht darauf, die Natur primär aus dem Erkenntnisvermögen des Menschen heraus zu vermuten. In Hinsicht auf die Beziehung zwischen Natur und Kunst wird also der Vorrang des mimetischen Verstehens bei Nietzsche deutlich vom Vorrang der Fähigkeit der menschlichen Erkenntnis bei Goethe unterschieden. 우리는 니체와 괴테의 관계를 니체의 비극의 탄생을 중심으로 다룬다. 니 체는 괴테가 자신의 핵심 개념인 아폴론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을 의식했 음에도 불구하고 이 두 요소를 예술과 결합시키지 못했다고 비판한다. 그렇다면 아폴론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선이해를 지닌 괴테는 왜 실패할 수밖에 없었는가? 이에 대한 답을 우리는 자연의 모방과 관련된 예술과 상상력을 그가 오인했다는 니체의 입장에서 찾는다. 반면에 괴테의 의도는 자연을 인간의 인식 능력에서 추측하는 데 있었다. 따라서 자연과 예술의 관계에서 니체에게는 모방 적 이해가, 괴테에게는 인간의 인식능력이 부각된다는 차이가 있다.

      • KCI등재

        탄산화된 콘크리트 이미지 특성과 자동 검출 기법

        이방연 한국콘크리트학회 2017 콘크리트학회논문집 Vol.29 No.6

        이 논문의 목적은 콘크리트의 탄산화 영역을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는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개발된 기법은 이미지에서 녹색의 밝기값을 추출하는 절차, 실루엣 지수를 통해 부분적 탄산화 이미지를 판별하는 절차, 이진화기법과 모폴로지 기법을 통해 탄산화 영역을 검출하는 절차, 최외각 다각형을 통해 검출성능을 향상시키는 절차, 검출 결과를확인하는 절차로 이루어진다. 5개의 다른 특징을 갖는 이미지를 통해 검증한 결과 개발한 기법은 탄산화된 영역과 탄산화되지않은 경계 부분에 골재가 위치한 경우를 제외하고 자동으로 탄산화가 진행된 영역을 검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하이데거의 「시에서의 언어」에서 영혼 개념

        이방연 범한철학회 2019 汎韓哲學 Vol.94 No.3

        Im Aufsatz “Das Ding” erläutert Heidegger den Aspekt der Sterblichkeit des Menschen: “Die vernünftigen Lebewesen müssen erst zu Sterblichen werden.” Diese Behauptung klingt aber ungewöhnlich, weil sie sich ausschließlich unter der Bedingung aufstellen lässt, dass sich das vernünftige Lebewesen nach Unsterblichkeit sehnt. In der vorliegenden Arbeit werden wir uns ansehen, wie man die von ihm aufgestellte Behauptung verstehen kann. Dazu werden wir anhand von Heideggers Aufsatz “Die Sprache im Gedicht. Eine Erörterung von Georg Trakls Gedicht” das Verhältnis zwischen Geist und Seele erläutern. Dabei gilt es sichtbar zu machen, in welchem Sinne Heidegger dieses Verhältnis denkt. Der Kernpunkt unserer Auffassung liegt darin, dass seine Interpretation des Verhältnisses zwischen Geist und Seele im Zusammenhang mit dem Gedanken über die Sterblichen und das Geviert zu verstehen ist. Nach Heidegger muss man annehmen, dass der Mensch kein vernünftiges Lebewesen ist, das sich nach Unsterblichkeit sehnt, sondern sterblich ist. Die Betonung der Sterblichkeit des Menschen besagt, dass jeder Mensch erst als solcher bestimmt werden kann. Das ist nur möglich, insofern die Sterblichkeit im Menschen die Hoffnung darauf wecken kann, dass er ein Verständnis der Geviert-Welt zeigen kann. Im Trakl-Aufsatz versucht Heidegger folglich, aufgrund der Bestimmung der sterblichen Seele das neue “Menschengeschlecht”, das erst diese Seele hat, und sein neues, ideales “Abendland” zu denken. Dieses Abendland ist für ihn nichts anderes als die Geviert-Welt. 하이데거는 「사물」에서 인간의 사멸에 대해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이성적인 생명체는 우선 죽을 자들이 되지 않으면 안 된다.” 하지만 이 주장은 이성적인 생명체는 불멸을 추구한다는 것을 전제하기에, 이상하게 들린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어떻게 위의 주장을 이해할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하이데거의 논문인 「시에서의 언어: 게오르그 트라클의 시에 대한 논구」를 토대로 정신과 영혼의 관계를 논의할 것이다. 이와 함께 하이데거가 어떤 의미에서 정신과 영혼의 연관을 사유하는지에 대해 다룰 것이다. 우리의 논의의 핵심은 정신과 영혼의 관계에 관한 하이데거의 해석은 죽을 자들과 사방에 관한 사유와 관련이 있다는 데 있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인간은 불멸을 추구하는 이성적인 생명체가 아닌 사멸하는 존재라는 것을 사람들은 받아들여야 한다. 인간의 사멸의 강조는 인간이 비로소 인간으로서 규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이데거는 「시에서의 언어」에서 사멸하는 영혼의 규정을 토대로 이 영혼을 지닌 새로운 “인간종족”과 새로운 이상적인 “저녁의 나라”를 사유하길 시도한다. 그에게 있어 이 저녁의 나라는 사방세계와 다르지 않다.

      • KCI등재

        골재의 입도분포 변화에 따른 PE 섬유보강 고연성 시멘트 복합체의 인장성능

        이방연,강수태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0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4 No.5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PE fiber-reinforced highly ductile cementitious composite having high tensile strain capacity more than 2% under the condition of containing aggregates with large particle siz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nsile behavior of composites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and distribution of aggregates in the composite. Compared with the mixture containing silica sand of which particle size is less than 0.6 mm, mixtures containing river sand and/or gravel with the maximum particle size of 2.36mm, 4.75mm, 5.6mm, 6.7mm were considered in the experimental desig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s of aggregates were adjusted for the optimized distribution curves obtained from modified A&A model by blending different sizes of aggregates. All the mixtures presented clear strain-hardening behavior in the direct tensile tests. The mixtures with the blended aggregates to meet the optimum curves of aggregate size distributions showed higher tensile strain capacity than the mixture with silica sand. It was also found that the tensile strain capacity was improved as the maximum size of aggregate increased which resulted in wider particle size distribution. The mixtures with the maximum size of 5.6mm and 6.7 mm presented very high tensile strain capacities of 4.83% and 5.89%, respectively.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it was possible to use coarse aggregates in manufacturing highly ductile fiber-reinforced cementitous composite by adjusting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이 연구에서는 입경이 큰 골재를 사용하면서 2% 이상의 인장변형률 성능을 나타내는 고연성 PE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 개발을 목적으로 골재의 크기와 입도분포에 따른 고연성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인장거동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0.6mm 이하의 입경들로 구성된 규사를 사용한 배합을 기준으로 최대입경 2.36mm, 4.75mm, 5.6mm, 6.7mm의 강모래 및 강자갈을 사용한 배합을 비교하여 성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골재의 입도분포는 수정 A&A 모델에 기반한 최적입도분포곡선에 가깝도록 세분화된 입경별 혼합비율을 조절하였다. 직접인장실험을 통해 구한 인장거동은 모든 배합에서 뚜렷한 인장변형률 경화 거동을 보였다. 골재 입경별 혼합비율을 조절하여 입도분포가 최적곡선에 가깝도록 한 경우에는 모든 배합에서 규사를 사용한 경우보다 높은 인장변형률 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골재의 최대입경이 커서 입도분포가 넓을수록 높은 인장변형률 성능을 보였으며, 최대입경 5.6mm, 6.7mm의 굵은 골재를 포함하는 경우 각각 4.83%와 5.89%의 매우 높은 인장변형률 성능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를 통해 적절한 입도분포 조절을 통해 굵은 골재를 사용하면서도 고연성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제조가 가능함을 보였다.

      • KCI등재

        Numerical technique for chloride ingress with cover concrete property and time effect

        이방연,Mohamed A. Ismail,김혁정,유성원,권성준 사단법인 한국계산역학회 2017 Computers and Concrete, An International Journal Vol.20 No.2

        Durability problems initiated from steel corrosion are unseen but critical issues, so that many researches are focused on chloride penetration evaluation. Even if RC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re exposed to normal environment, chloride ingress varies with concrete surface conditions and exposed period.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technique for chloride behavior evaluation considering time effect on diffusion and surface conditions assumed as double-layered system. For evaluation of deteriorated surface condition, field investigation was performed for concrete pavement exposed to deicing agent for 18 years. In order to consider enhanced surface concrete, chloride profiles in surface-impregnated concretes exposed to chloride attack for 2 years from previous research were investigated. Through reverse analysis, effectively deteriorated/ enhanced depth of surface and the related reduced/enlarged diffusion coefficient in the depth are simulated. The proposed analysis technique was evaluated to handle the chloride behavior more accurately considering changes of chloride ingress within surface layer and decreased diffusion coefficient with time. For the concrete surface exposed to deicing agent, the deteriorated depth and enlarged diffusion coefficient are evaluated to be 12.5~15.0 mm and 200% increasing diffusion coefficient, respectively. The results in concrete containing enhanced cover show 10.0~12.5 mm of impregnated depth and 85% reduction of chloride diffusion in tidal and submerged conditions.

      • KCI등재후보

        Flexural performance and fiber distribution of an extruded DFRCC panel

        이방연,Byung-Chan Han,조창근,김윤용 사단법인 한국계산역학회 2012 Computers and Concrete, An International Journal Vol.10 No.2

        This paper presents the mix composition and production method that was applied to an extruded Ductile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 (DFRCC) panel, as well as the flexural performance, represented by deformation hardening behavior with multiple cracking. The effect of fiber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n the flexural behavior of the panel is also addressed. In order to demonstrate the fiber distribution effect, a series of experiments and analyses, including a sectional image analysis and micromechanical analysis, was performed. From the experimental and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flexural behavior of the panel was highly affected by a slight variation in the mix composition. In terms of the average fiber orientation, the fiber distribution was found to be similar to that derived under the assumption of a two-dimensional random distribution, irrespective of the mix composition. In contrast,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for the fiber orientation was measured to vary depending on the mix composition.

      • KCI등재

        하이데거의 문화 개념

        이방연 한국하이데거학회 2020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59

        In der vorliegenden Arbeit werden wir Heideggers Kulturbegriff erörtern. Sein Kulturbegriff wandelt sich jeweils in seinen drei Denkphasen: (1) Die Pflege des Menschen in der frühen Denkperiode, (2) die Arbeit des Menschen in der mittleren Denkphase und (3) die Verwirklichung der Pflege des Seins in der späten Periode. (1) Anhand von Heideggers Disputation mit Cassirer, die in Davos 1929 stattfand, werden wir die Differenz derartiger “Kulturen” bei beiden Denkern erläutern. (2) Im Denken des mittleren Heidegger können wir den Kulturbegriff aufgrund seiner Überlegung zur Bodenständigkeit betrachten. (3) In seiner späten Denkphase beabsichtigt er, durch die Kultur (d. h. die Verwirklichung der Pflege des Seins) die zukünftige Welt zu eröffnen. Warum macht Heidegger während seiner ganzen Denkperiode den Kulturbegriff zum Thema? Denn der von ihm als Pflege oder Arbeit angesehenen “Kultur” liegt die Funktion zugrunde, das Seiende als solches erscheinen zu lassen. Unsere Erläuterung des heideggerschen Kulturbegriffs kann zum besseren Verständnis für das Verhältnis des Menschen zum Sein beitragen. 우리는 본 논문에서 하이데거의 문화 개념을 다룬다. 그의 문화 개념은 그때마다 (1) 자신의 전기 사유에서 인간의 돌봄, (2) 중기 사상에서 인간의 노동, (3) 후기 사유의 단계에서 존재의 돌봄의 구현으로 변화된다. (1) 우리는 1929년 다보스에서의 하이데거와 카시러의 논쟁을 기반으로 하여 두 사상가에게 있어 문화 개념의 차이를 논의한다. (2) 우리는 하이데거의 중기 사상에서 문화 개념을 토착성에 관한 그의 숙고를 토대로 삼아 고찰한다. (3) 그는 후기 사유에서 문화(즉 존재의 돌봄의 구현)를 통해서 미래의 세계의 건립을 도모한다. 그렇다면 하이데거는 자신의 전체 사상에서 왜 문화 개념을 주제로 삼는가? 그 이유는 그에 의해 돌봄이나 노동으로서 이해되는 문화가 존재자를 그 자체로서 나타나게끔 하는 기능을 지니기 때문이다. 그의 문화 개념에 대한 숙고는 인간과 존재의 관계를 보다 잘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